Ethnic Image Characteristics Expressed in $21^{st}$Century Fashion - Focusing on Korea, China, and Japan -

21세기패션에 나타난 에스닉 이미지 -한국.중국.일본을 중심으로-

  • 강정현 (건국대학교 예술문화대학 의상디자인) ;
  • 박명희 (건국대학교 예술문화대학 의상디자인학과)
  • Received : 2010.06.11
  • Accepted : 2010.07.15
  • Published : 2010.08.31

Abstract

The ethnic image in modern fashion can be interpreted as a trend of post-modernism, which appeared after modernism's established style. It has relativity, pluralism and variety, and it tries to revive style of the past. This makes style that borrows and combines image and style of different era and culture as distinctive feature, and in turn is expressed by a new image that is combined with the country's clothes. Also, thanks to the customers who are tired of artificiality and convenience, gift of modern science and technology, simple and natural sensitive marketing and being 'raw' are getting popular as new trend. Today's ethnic image is not merely borrowing visual, superficial image of culture and clothes of other ethnic group, but pursuing natural as purely created by human senses rather than being polished. In terms of ethnic image's formative beauty and aesthetic value, foreign and domestic collections are compared. But for domestic image, only Korean ones are researched, and for foreign designer's fashion image, there are ethnic styles of Japan, China and Korea. Although the documents of domestic designers that I investigated is not sufficient, canonic simple being of oriental image that is seen by the westerners is summarized.

Keywords

References

  1. 박명희 (1991). 1980년대 패션에 나타난 포스트모더니즘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85.
  2. 윤명지 (1992). 현대패션에 나타난 오리엔탈리즘.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6.
  3. 황춘섭 (1999). 민속의상. 서울: 수학사, p. 82.
  4. 정삼호 (1997). 1990년대 현대패션의 흐름을 통해 고차란 패션스타일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가정문화연구소, p. 68.
  5. 이상례 (1994). 현대패션디자인에 나타난 동방풍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1.
  6. 의상디자인 연구회 (1992). 세계민속의상과 패션. 서울: 학문사, p. 12.
  7. 이순홍, 이경손, 조선희 (2002). 세계복식과 패션정보. 서울: 교문사, pp. 120-121.
  8. 박종희 (1995). 1990년대 패션에 나타난 복고풍에 관한 고찰-1960년대 mode의 재현을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45.
  9. 정연자 (1993). 한국 패션에 나타난 민속풍(ethnic look) 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1(4), p. 128.
  10. 최영옥 (2005). 현대 에스닉 패션의 특성분석. 한국의류산업학회지, 7(5), p. 481.
  11. 최병식. 동양 미술사학, 대구: 계명문화사, p. 164.
  12. 김화숙(2008). 기모노에 내재된 일본의 전통적 미의식에 관한 고찰.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57.
  13. Andreas Echkart (1929). Geschichte der Koreanische Kunst. 권영필 역 (2003). 조선미술사. 서울: 열화당, p. 34.
  14. Andreas Echkart (1929). Geschichte der Koreanische Kunst. 권영필 역 (2003). 조선미술사. 서울: 열화당, p. 57.
  15. 이희승 (1959. 2). 멋에 대해-조윤제박사에게. 자유문학, pp. 208-215.
  16. 이은숙 (1997). 한중일의 조형의식 비교. 디자인학회, 22, p. 87.
  17. 강숙희 (1999). 한국미술에 있어서 자연주의적인 선의 미감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8.
  18. 권종택 (1996). 보림한국미술관13 -사람을 닮은 그릇, 서울: 보림출판사, p. 78.
  19. 팡리리 (2004). 중국 문화 14-중국도자기, 구선심 역, 서울: 대가, p. 126.
  20. 다채사각주병, 17C 자료검색일 2009. 11. 14, 자료출처 google. co. kr/image
  21. 北村美術館(2004). 東亞洲漆藝-中, 韓, 日漆器, 서울: GOHO Art Books, p. 21.
  22. 北村美術館(2004). 東亞洲漆藝-中, 韓, 日漆器, 서울: GOHO Art Books, p. 11.
  23. 北村美術館(2004). 東亞洲漆藝-中, 韓, 日漆器, 서울: GOHO Art Books, p. 27.
  24. 北村美術館(2004). 東亞洲漆藝-中, 韓, 日漆器, 서울: GOHO Art Books,p. 29.
  25. 한명대 (1997). 조선미의 탐구자들, 서울: 학고재 p. 157.
  26. 강숙희 (1999). 한국미술에 있어서 자연주의적인 선의 미감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36.
  27. 팡리리 (2004). 중국 문화 14-중국도자기, 구선심 역 서울: 대가, p. 129.
  28. 정양모 (1998). 너그러움과 해학. 서울: 학고재 p. 204.
  29. 박용숙 (1991). 한국의 미학사상. 서울: 일원서각, p. 223.
  30. 권하진 (2006). 아시안 에스닉룩의 조형성과 미적 가치에 관한 연구. 복식학회, 56(6), p. 115.
  31. 스캔들 -조선상열지사, 자료검색일 2009. 11. 14, 자료 출처 movie.naver.com
  32. 경극 패왕별희, 자료검색일 2009. 9. 14, 자료출처 mo vie.naver.com
  33. 小野健吉(1994). 時代着物と帶男山御戶盤石. 日本.
  34. 신윤복, 미인도, 자료검색일 2009. 9. 14, 자료출처mo vie.naver.com
  35. 치파오입은 여인들, 자료검색일 2009. 9. 14, 자료출처 image.naver.com
  36. 기모노, 자료검색일 2009. 9. 14, 자료출처 image.naver.com
  37. 최영옥 (2005). 현대 에스닉패션의 특성분석. 한국의류산업학회지, 7(5), p. 483.
  38. 이정선 (1998). 한국 조형 응용을 통한 현대의상개발연구. 국민대학교 대학원, p. 20 재인용 원저. 하용득(1989). 한국의 전통색과 색채심리. 서울: 명지사, pp. 15-16.
  39. 최환외 (2005). 현대중국의 이해. 경북영남대학교 출판부, p. 87.
  40. 김교회 (2003). 패션경향에 따른 메이크업에 관한 연구-1990년 대 후반부터 2000년 초반까지 컬렉션을 중심으로.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7.
  41. 정흥숙 (2000). 일본복식의 조형적 특성에 관한 고찰. 국제 여성연구소 연구 논층, 9, p. 249.
  42. 이영희. 서울패션위크, 서울. 2004-05ss. 자료검색일 2009. 6. 10, 자료출처 elle.atzine.com
  43. 구오페이. Beijing fashion show, 2010fw 자료검색일 2009. 6. 10, 자료출처 www.designflux.
  44. Hiroko Koshino. paris Collection. 2009-10 fw. 112. gap Japan Co. Ltd. p. 45.
  45. Loewe. paris Collection. 2006ss. 78. gap Japan Co. Ltd. p. 124.
  46. John Galliano paris Collection. 2008-09 fw. 91. gap Japan Co. Ltd. p. 67.
  47. Gianfranco ferre paris Collection. 2009-10 fw. 112. gap Japan Co. Ltd. p. 89.
  48. Ann Marie Fiore & Patricia Ann Kimle (1997). Understanding Aesthetics for the Merchandising & Design Professional. New York: Fairchild Publication, pp. 348-3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