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racteristics of the Sewing Methods Used for Women's Jeogori, and the Factors of their Changes in Modern Times

근대이후 여자저고리 봉제방법의 특징과 변화요인

  • Received : 2010.05.18
  • Accepted : 2010.06.15
  • Published : 2010.08.31

Abstract

The research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wing methods used for women's Jeogori in modern Korea. The results are following. In the 1920s sewing of shoulder parts was started, and in the 1930s sewing by hand had reduced by dissemination of sewing-machine, and in the 1940s the Som-jeogori declined by the matter of economic and sanitary issues. In the 1950s four-fold sewing emerged, and during the 1960s the gause-lined triple-layered Jeogori was in fashion, and in the 1970s the Ggaeggi-jeogori and much elaborated Jeogori became in vogu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wing methods are changed by following factors. First, the dissemination of sewing-machine in the 1930's enabled fast and precise sewing of Jeogori which reduced the rate of clothes mending and the production period. Second, by development of washing method, the dry cleaning became common, resulting cleaner washing and better preservation. Third, introduction of western clothes gave rise to modernized Han-bok which was changed into practical and simple one. Fourth, by the introduction of synthetic textile and industry development, Jeogori with no armhole line or right Seop line was made using wide selection of textiles. Fifth, in 1945~60s, women learned' good wife and wise mother' education and the use of sewing machine in school. The clothing lifestyle affected the sewing method's change, for example, clothes sewed strongly by sewing machine not to take clothes apart, and attaching button instead of Go-reum to save clothes.

Keywords

References

  1. 小川安朗(1979). 民族服飾の生態. 東書選書33, p. 15.
  2. 한글학회 (1991). 우리말 큰 사전. 어문각, p. 342.
  3. 한글학회 (1991). 우리말 큰 사전. 어문각, p. 341.
  4. 2009. 1. 13. http://krdic.naver.com/detail.nhn?docid=3142200
  5. 한글학회. (1991). 우리말 큰 사전. 어문각, p. 646.
  6. 배래를 호아서 뒤로 꺽거 인도를 치고 - 金淑堂 (1925). 朝鮮裁縫全書, p. 21.
  7. 김진홍.조우현 (2008). 근대이후 저고리 안감 깃 봉제방법 소고. 한국의상디자인학회, p. 145.
  8. 이선재 (1996). 여자저고리의 시기적 변천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생활과학연구지.
  9. 최은수 (2008). 1890년-1960년대 여자저고리 감정. 服飾, 58(5), p. 183.
  10. 장인우 (1999). 조선중기 저고리의 복원적 고찰 -충북대학교 박물관 소장품을 중심으로-, 출토유의 및 근대 복식 논문. 충북대학교 박물관, p. 105.
  11. 서울신문 1949년 8월27일.
  12. 서울신문 1950년 6월7일.
  13. 이현진 (2009) 近代여자저고리 변천 연구: 경기여고 경운박물관 소장 유물 중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 7.
  14. 이영희 (2008). 파리로 간 한복쟁이. 디자인하우스, p.137.
  15. 신문박물관 (2004). 한국의 신문광고 100년. 신문박물관, p. 9.
  16. 차옥선․세탁문화연구소 (1999). 신문으로 본 우리의 세탁문화 100년. 경춘사, p. 4.
  17. 고부자 (2001). 우리생활 100년 -옷-, p. 172.
  18. 홍병숙․정미경 (1996). 나일론이 의생활 및 섬유산업발달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1945년부터 1970년을 중심으로-. 服飾, 28, pp. 31-32.
  19. 홍병숙․정미경 (1996). 나일론이 의생활 및 섬유산업발달에 미친 영향에 관한 연구-1945년부터 1970년을 중심으로-. 服飾, 28, pp. 36.
  20. 고부자. (2001). 우리생활 100년 -옷-, p. 179.
  21. 이현진. (2009) 近代여자저고리 변천 연구:경기여고 경운박물관 소장 유물 중심.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 8.
  22. 고부자. (2001). 우리생활 100년 -옷-, p. 141.
  23. 차옥선․세탁문화연구소. (1999). 신문으로 본 우리의 세탁문화 100년. 경춘사, p. 49.
  24. 차옥선․세탁문화연구소. (1999). 신문으로 본 우리의 세탁문화 100년. 경춘사, p. 49.
  25. 차옥선․세탁문화연구소. (1999). 신문으로 본 우리의 세탁문화 100년. 경춘사, p. 10.
  26. 이태옥 (2006). 19세기 이후 여자 저고리 변천에 관한 실증적 연구 -형태 및 봉제를 중심으로-. 인하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 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