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of the College Curriculum using the Competency-based Model

역량기반의 전문대학 교육과정 개선 방안

  • 최길성 (동아방송예술대학 방송통신과)
  • Received : 2010.08.30
  • Accepted : 2010.09.28
  • Published : 2010.10.28

Abstract

Competency, a frequently mentioned word in connection to the recent education reform, is often used in discussing a paradigm shift from the education focusing on knowledge to the one emphasizing students' adaptability to the real social life. In order to foster talents equipped with practical knowledge and skills geared to the requirements of the jobs, education at college level also need to be improved by reforming the current curricula. This paper aims to develop better ways for college education based on the scrutiny of the pros and cons of the current curricula of colleges. To this end, it reviews preceeding studies on this subject and examines the applicability of the model of competency-based education. We analyse whether this model can be applied to college education or not. By indicating specific ways to apply the standards of the basic-level job competency developed by Human Resources Development Service of Korea to job training courses, the study also aims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education at college.

최근 교육개혁과 관련하여 자주 언급되고 있는 '역량'이라는 단어는 학문과 지식을 중시했던 기존 교육이 현실 사회 적응력을 중시한 교육으로 변화됨을 나타낼 때 주로 사용된다. 전문대학의 교육도 장차 직업생활에서 요구되는 실천적 역량을 갖춘 인재를 양성하는데 적합하도록 교육과정의 개선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전문대학 교육과정 운영 실태에 대한 문제점을 파악하여 해결방안을 모색해 보았으며, 역량기반 교육모델에 대한 선행연구 자료를 검토하여 전문대학 교육과정에 적용 가능성을 분석하여, 도입이 타당함을 제시하였다. 또한 한국산업인력공단에서 개발한 직업기초능력 표준을 직업교육의 교과내용으로 반영하고 이를 운영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효과적으로 교육과정을 개선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경종, 김종우, “전문대학 교육과정 모형개발과 운영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1.
  2. 강경종, 이건남,. “직업기초능력 함양을 위한 전문대학 교양 교육과정 개발방안”, 농업교육연구, 제22권, 제1호, pp.79-113, 2003.
  3. 김종우, 이용환, “전문대학 교수의 교수능력과 수행기준 개발",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제41권, 제1호, 2009
  4. 김진모, “기업의 인적자원 개발을 위한 역량 중심의 교육과정 개발”, 농업교육연구, 제20권, 제2호, pp.109-128, 2001.
  5. 나승일, 장석민, 서우석, 김진모, 이성, “산업체 기초직업능력표준과 활용방안”, 한국산업인력공단, 2004.
  6. 나승일, 정철영, 김주섭, 구자길, 김강호, 장현진, “기초직업능력표준 제도화 방안”,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제40권, 제2호, pp.161-188, 2008.
  7. 박민정, "대학교육의 기능과 역할변화에 따른 대안적 교육과정 담론: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교육적 함의", 교육과정연구, 제26권, 제4호, pp.173-19, 2008.
  8. 박세일, 이윤철, "2010직업교육 선진화정책 토론집 자료2010-07호",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 2010.
  9. 박보영, “역량기반 치의학교육의 개념과 교육철학적 의미에 대한 고찰”, 직업능력개발연구, 제11권, 제1호, pp.215-235, 2008.
  10. 소경희, "역량기반 교육의 교육과정사적 기반 및 자유교육적 성격 탐색", 교육과정연구, 제27권, 제1호, pp.1-20, 2009.
  11. 소경희, 이상은, 박정열, “캐나다 퀘벡주 교육과정 개혁사례 고찰: 역량기반 교육과정의 가능성과 한계”, 비교교육연구, 제17호, 제4호, pp.105-128, 2007.
  12. 송경호, 박민정, "역량기반 교육개혁의 특징과 적용가능성 탐색", 한국교육, 제34권, 제4권, pp.155-182, 2007.
  13. 오헌석, "역량중심 인적자원개발의 비판과 쟁점분석", 경영교육논문집, 제47권, pp.191-210, 2007.
  14. 윤정일, 김민성, 윤순경, 박민정, "인간능력으로서의 역량에 대한 고찰: 역량의 특성과 차원", 교육학회지, 제45권, 제3호, 2007.
  15. 윤찬근, 이정표, “전문대학교육의 경쟁력 제고 및 국제화 방안”,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 2010.
  16. 이광우, “미래 한국인의 핵심 역량 탐색을 위한 세미나”,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자료, ORM 제2008-14호.
  17. 이성호, 강경석, 임형택, “대학교양교육과정의 편성과 운영개선방안 연구”, 한국대학교육협의회, 1988.
  18. 이윤철, 김병조, 이철승, 임민영, 박수경, 윤문연, “선진직업체제 강화 방안”,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 제2009-10호
  19. 임언, 최동선, 박민정, “미래사회의 직업세계에서 요구하는 핵심 역량 연구”, 경제.인문사회연구원회 협동연구총서, 2008.
  20. 이지연, 정윤경, 최동선, 김나라, “미국.프랑스.필란드.덴마크의 교과통합 진로교육 [교육과정과 연계된 진로교육 운영모델 구축(II)]”,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9.
  21. 정재창, 민병모, 김종명, “알기쉬운 역량 모델링”, PSI컨설팅, 2008.
  22. 정철영, "직업기초능력 강화방안",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4.
  23. 정태화, 전종호, 홍광표, 이길순, 이병욱, "직업교육 혁신 2020",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제2009-5호.
  24. 최욱, “기업교육 체계수립 개발 사례: DACUM과 CBC의 비교”, 교육공학연구, 제13호, 제91-121호, 2002.
  25. C. R. Finch and J. R. Crunkilton, “Curriculum development in vocational and technical education: planning, content, and implementation(5th ed.). Needham Heights, MA: Allyn & Bacon, 1999.
  26. G. Lum, “Where's the competence in competence-based education and training?". Journal of Philophy of Education. Vol.33, No.3, pp.403-418, 1999. https://doi.org/10.1111/1467-9752.00145
  27. Mimistry of Education, Quebec education program, 2001.
  28. R. Moore, "For knowledge : Tradition, progressivism and progress in education reconstructing the curriculum debate," Cambrige Journal of Education. Vol.30, No.1. pp.17-36, 2000. https://doi.org/10.1080/03057640050005753
  29. OECD. Definition and selection of competencies : Theoretical and conceptual foundation (DeSeCo). OECD Press. 2003.
  30. R. Pring, Closing the gap: Liberal education and vacational preparation. London: Hodder & Stoughton, 1995.
  31. D. Rychen and L. Slganik, Key Compentencies for a successful Life and a Well-Functioning Society. Cambridge: Hongrefe & Huber Publishers, 2003.
  32. L. M. Spencer and S. M. Spencer, Competence at work: Models for Superior Performance. (민병모외 역.(1998). 핵심역량모델의 개발과 활용. 서울: PSI컨설팅), 1993.
  33. F. E. Weinert, Concept of Competence: A conceptual clarification. in D. S. Rychen, & L. H. Salganik, (Eds.) Defining and Selecting Key Competencies. Hongrefe & Huber Publishers: Seattle, Toronto, Bern. 2001.
  34. M. F. D. Young. The curriculum of the future : From the new sociology of education to a critical theory of learning London : Falmer Press.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