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음식관광의 참여활동이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Food Tourism's Activities on Visiting Intention

  • 투고 : 2010.04.26
  • 심사 : 2010.07.22
  • 발행 : 2010.08.28

초록

본 연구는 음식관광의 가능성을 파악하고, 음식과 관련된 참여활동이 방문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여 음식관광객을 유인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설문지는 250부를 배포하여 248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결과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음식관광의 분석에서 음식관광을 경험한 사람은 43.5%, 18.5%는 경험은 없지만 관심이 있고, 그 형태는 유명한 맛 집 방문과 음식문화축제 참여로 나타났다. 아직, 음식관광 형태는 단순하지만 충분히 음식관광이 활성화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의미된다. 둘째, 관광지에서 추구하는 음식성향은 현지주민이 추천하는 음식, 내 입맛에 맞는 음식, 지역특산품 및 향토음식, 재래시장 방문, 먹거리 축제/음식문화 체험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단양지역을 방문할 경우 응답자들은 송이 능이버섯 전골, 항아리 맥적구이, 소백산 산채비빔밥, 곤드레 마늘솥밥의 향토음식을 선택하려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음식관광의 참여활동에서 '음식문화 경험', '건강지향', '음식의 지식/정보추구'의 순으로 방문의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paper is 1) to find out food tourism possibility with representative local food in Dan Yang, 2) to suggest some guidelines to draw food tourists with how activities related with food affect on visit intention. The questionnaires are distributed 250 in Kyoung gi provice including Seoul. then used for data analysis 248. The results are as followed; First, 43.5% of the all respondents means for having food tourism, but 18.5% means no experiences, just having interest in food tourism. The types of food tourism showed simply visiting famous restaurant or participate on food festival. That means high possibility for food tourism. Second, tourists are tend to chose it according to recommend food by local residents, personal own taste, local cuisine & ingredients, visiting for traditional market in community, and participate on food festival in tour destination. Third, respondents are trying to chose local cuisine such as mushroom broth, mackjeok gui(Korean style barbeque), mixed rice with various herb, and rice with garlic & geondrei herb. Fourth, three variables which are food culture oriented, knowledge & information of food, health oriented in food tourism had high significant in visit intention.

키워드

참고문헌

  1. 박기용, 21세기 글로벌경쟁시대의 외식산업 경영학, 대왕사, 2009.
  2. 이영주, 강원도 음식관광 활성화 방안연구, 강원 발전연구원, 2007.
  3. J. C. Henderson, “Food as a Tourism resources; A view from Singapore,” Tourism Recreation Res. Vol.29, No.3, pp.69-74, 2004.
  4. S. Quan and N. Wang, “Towards a structural model of the tourist experience: An illustration from food experiences in tourism,” Tourism Management, Vol.25, No.3, pp.297-305, 2004. https://doi.org/10.1016/S0261-5177(03)00130-4
  5. 이준엽, 권미영, “음식관광객의 관여가 음식관광 참여활동과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경영연구, 제13권, 제2호, pp.177-198, 2009.
  6. 대홍기획, Changing Korean, 마케팅컨설팅그룹, 2002.
  7. 장혜진, “이탈리아의 지역음식문화에 관한 고찰: 전통요리를 중심으로”, 한국조리학회지, 제9권, 제4호, pp.203-220, 2003.
  8. 장혜진, “유럽의 음식문화”, 외식경영연구, 제6권, 제2호, pp.209-211, 2003.
  9. E. Wolf, Culinary Tourism: A Tasty economic proposition. www.culinarytourism.org., 2002.
  10. A. M. Hijalager and G. Richards, Tourism and Gastronomy, Routledge, London, 2002.
  11. P. Boniface, Tasting Tourism: Travelling for Food and Drink, Burlington: Ashgate, Aldershot, 2003.
  12. C. M. Hall, L. Sharples, R. Mitchell, N. Macionis, and B. Cambourne, Food Tourism around the world: Development, Management & Markets. Butterworth-Heinemann, 2003.
  13. 김천중, 이주형, “한국전통음식의 문화관광상품화 방안에 관한 연구”, 호텔경영학 연구, 제7권, 제1호, pp.163-188, 1998.
  14. 권세정, 이정하, “향토음식개발 및 관광상품화 방안에 관한 연구: 경상북도 북부지방을 중심으로”, 한국관광산업연구, 제19권, 제0호, pp.49-60, 2004.
  15. 신서영, 장해진, 양일선, 정라나, 이해영, “컨조인 트분석을 이용한 한국전통음식 관광상품 선택속성에 관한 연구”,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제9 권, 제5호, pp.654-662.
  16. 양일선, 장해진, 신서영, 정라나, “한국전통음식 문화를 소재로 한 인바운드 관광상품 개발”, 외식 경영연구, 제7권, 제3호, pp.87-116, 2004.
  17. 서윤정, 한국전통음식에 대한 만족도 조사연구: 방한 일본관광객을 대상으로, 경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18. 권미영, “경주지역 방문객들의 전통음식에 대한 평가”, 문화관광연구, 제10권, 제1호, pp.37-47, 2008.
  19. C. M. Hall and R. Mitchell, Wine and Food Tourism. In N. Douglas, N. & R. Derrett. Special Interest Tourism. Wiley, 2001.
  20. C. M. Hall and L. Sharples, The consumption of experiences or the experience of consumption? An introduction to the tourism of taste, Food Tourism Around the World: Development, Management and Markets. Oxford. Butterworth-Heinemann, 2003.
  21. Canadian Tourism Commission, 2002
  22. 이소영, 음식관광자원 인벤토리 및 음식관광상품 경쟁력 평가도구개발, 연세대학교 대학원 식품영양학과 석사학위논문, 2008.
  23. Kirshenblatt-Gimblett B. Foreword. In L. M. Long(Ed). Culinary Tourism. Lexington. The University Press of Kentucky. pp.11-14, 2004.
  24. J. Kivela and J. C. Crotts, “Tourism and Gastronomy: Gastronomy's influence on how tourists experience a destination,” J. of Hospitality & Tourism Research, Vol.30 No.3, pp.354-377, 2006(8). https://doi.org/10.1177/1096348006286797
  25. Int'l Culinary Tourism Association, Introduction to Culinary Tourism from, 2008. http://www.culinarytourism.org/introduction.html
  26. Y. Hu and J. Ritchie, “Measuring destination attractiveness: A contextual approach,” J. of Travel Research, Vol.32, No.2, pp.25-35, 1993. https://doi.org/10.1177/004728759303200204
  27. O. Jenkins, “Understanding and Measuring Tourist Destination Images,” Int'l J. of Travel Research, Vol.1, No.1, pp.1-15, 1999.
  28. L. M. Long, “Culinary tourism,” Kentucky: The University Press of kentucky, 2004.
  29. L. M. Long, “Food pilgrimages: Seeking the sacred and the authentic in food,” Appetite, Vol.47, No.3, p.393, 2006.
  30. 엄서호, 서천범, 레저산업론 3판, 학현사, 2004.
  31. B. Korissoff, M. Bohman, and J. Caswell, A Global food Trade and consumer demand for quality: Kluwer Academic/Plenum Publishers, 2002.
  32. P. Dittermer, Dimensions of the hospitality industry: An introduction. 3rd ed. New York: Wiley, 2001.
  33. A. M. Hjalager and G. Richards, Tourism and gastronomy. 1st edition, London: Routledge, 2002.
  34. 고범석, 강성우, “대구지역 향토음식의 인식도에 관한 연구: 대구 동인동 찜갈비를 중심으로”, 한국조리학회지, 제10권, 제4호, pp.15-30, 2004.
  35. J. G. Molz, Tasting an imagined thailand: Authenticity and culinary tourism in Thai restaurant. In L. K. Long. Culinary Tourism. Lexington: The University Press of Kenturkey, 2004.
  36. L. M. Long, “Culinary Tourism: A folkloristic perspective on eating and otherness,” Southern Folklore. Vol.55, No.3, pp.181-204, 1998.
  37. 윤선희, 음식관광 관여와 지역애착도가 여행지 음식추구성향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38. 이소연. 음식관광 관여도와 음식에 대한 관심이 관심지 추구성향에 미치는 영향분석,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39. 이민정, 음식에 대한 관심도가 관광지 선택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전통문화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40. 김은혜, 이민아, “음식관광에 대한 소비자의 인식 및 요인분석”,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제15 권, 제1호, pp.83-93, 2010.
  41. 이정원, 이상미, 문보영, “에스닉레스토랑의 이미지가 음식관광 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 외식경영연구, 제12권, 제5호, pp.205-227, 2009.

피인용 문헌

  1. A Study on the Intake and Satisfaction Levels of Busan Foods among Japanese Tourists vol.42, pp.4, 2013, https://doi.org/10.3746/jkfn.2013.42.4.644
  2. The Effect of Food Tourism Behavior on Food Festival Visitor’s Revisit Intention vol.10, pp.10, 2018, https://doi.org/10.3390/su101035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