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 of a Food-Related Lifestyle on the Consumption of and Satisfaction with Korean Foods, and Intention to Revisit

식생활라이프스타일이 한식소비와 만족도 및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0.05.18
  • Accepted : 2010.07.28
  • Published : 2010.08.28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look into a comparison of the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behavior toward the consumption of and satisfaction with Korean foods, and intention to repurchase Korean foods by identifying the food-related lifestyles of Korean consumers. As a result of research, food-related lifestyle was divided into five dimensions, namely the pursuit of health, convenience, safety, economic efficiency, and the pursuit of taste factors. Consumers' food-related lifestyles were confirmed to exhibit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residential area, age, occupation, educational background, and income, an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consumption behavior of Korean foods. In detail, the food-related lifestyles of consumers in their twenties showed a higher tendency for convenience and the pursuit of taste factors, and consumers in their forties or over were likely to pursue both economic efficiency and taste factors at the same time. Overall, the pursuit of safety was discovered as being the highest tendency. Also, the food-related lifestyle that most significantly affected satisfaction with Korean foods appeared to be health and the pursuit of taste factors, and satisfaction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ntion to revisit.

본 연구는 국내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식생활라이프스타일을 파악하여 한식소비행동에 있어서 인구통계적인 특성비교와 한식에 대한 만족도 및 재방문의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식생활라이프스타일은 건강추구, 편의성, 안전성, 경제성, 맛추구요인 등 다섯 가지 차원으로 도출되었다. 소비자의 식생활라이프스타일은 성별, 거주지역, 연령, 직업, 학력, 소득 등 인구통계적 특성과 한식소비행동특성 등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20대 연령층의 식생활라이프스타일은 편의성과 맛추구성향이 높으며, 40대 이상 연령층은 경제성과 맛을 동시에 추구하는 성향을 보이고 있었다. 전체적으로는 안전성추구성향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만족도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식생활라이프스타일은 건강과 맛추구요인으로 나타났으며, 만족도는 재방문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전혜경, 김양숙, 김행란, “농촌진흥청의 농식품 및 한식세계화 연구개발 방향”, 식품산업과 영양, 제14권, 제1호, pp.12-20, 2009.
  2. 이민아, “한식의 세계화전략”, 식품과학과 산업 12월호, pp.2-15, 2008.
  3. 방문규, “한식 산업화.세계화 추진계회(안)”, 식품산업과 영양, 제14권, 제1호, pp.1-11, 2009.
  4. 김명희, “한식 메뉴 상품 품질 평가에 관한 연구”, 외식경영연구, 제8권, 제2호, pp.173-192, 2005.
  5. 전인순, 이재섭, 노민경, “한식당 서비스품질과 서 비스가치에 대한 외래 관광객 반응 연구”, 호텔경영학연구, 제16권, 제5호, pp.185-200, 2007.
  6. 임현정, “만족도와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한식당의 지각된 품질요인에 관한 연구-한국을 방문한 아시아 관광객의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조리학회지, 제16권, 제1호, pp.209-225, 2010.
  7. 서경화, 이수범, 신민자, “일본, 중국유학생의 한국음식에 대한 기호도 및 한식당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제19권, 제6호, pp.715-722, 2003.
  8. 이해주, 장미향, 백남길, “한식점 외식 동기 유형에 따른 선택 속성에 관한 연구”, 호텔리조트카지노연구, 제6권, 제2호, pp.209-220, 2007.
  9. 이현주, “호텔 이용고객의 한식당 선택 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 서울 시내 특1급 호텔 한식당을 중심으로 -”, 한국조리학회지, 제10권, 제3호, pp.119-134, 2004.
  10. 서선희, 류경미, “중국 현지인의 한식에 대한 인식과 한식 레스토랑 만족도 및 재방문의도-방문 경험과 방문 빈도 차이을 중심으로-”,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제24권, 제2호, pp.126-136, 2009.
  11. 강기주, 이지희, “문화예술 공연관람객의 라이프 스타일에 관한 탐색적 연구: 뮤지컬 공연관람객을 중심으로-”, 경영학연구, 제30권, 제4호, pp.1143-1167, 2001.
  12. 설훈구, 이상호, 전재균, “식생활라이프스타일 유형에 관한 연구”, 외식경영연구, 제10권, 제2호, pp.267-284, 2007.
  13. 전원배, 박인규,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호텔레스토랑 선택속성에 관한 연구”, 관광연구, 제15권, 제1호, pp.187-200, 2001.
  14. 김미정, 정효선., 윤혜현, “대학생의 식생활라이프스타일에 따른 레스토랑 선택속성에 관한 연구”,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제22권, 제2호, pp.210-217, 2007.
  15. 반주원, “서울시 여성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군집분석과 외식행동에 관한 연구”,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제23권, 제3호, pp.377-387, 2008.
  16. 정효선, 윤혜현, “식생활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외식소비성향에 관한 연구: 수도권지역 대학생을 중심으로”, 외식경영연구, 제10권, 제2호, pp.93-117, 2007.
  17. 김태희, 이승하, 박홍현, “외식소비성향에 따른 소비자유형분석”, 관광연구저널, 제20권, 제3호, pp. 313-323, 2006.
  18. http://www.foodi.com/fooddb, 한국식품정보원, 식품세계, 2010.
  19.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한식의 위기, 스파게티, 스시에 밀려 한정식당이 사라진다, 2009(2).
  20. K. G. Grunert, K. Brunso, and S. Bisp, "Food-related lifestyle in France," MAPP project paper, Aarhus School of Business, 1995.
  21. I. Ryan, "Food-related lifestyle segments in Ireland with a convenience orientation," Journal of International Food and Agribusiness Marketing, Vol.14, No.4, pp.29-47, 2004. https://doi.org/10.1300/J047v14n04_03
  22. 김연선, “청주지역 대학생의 식생활라이프스타일 군집유형에 따른 패밀리레스토랑 선택속성의 차이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외식경영연구, 제12권, 제5호, pp.51-71, 2009.
  23. 김경희, 김경민, “식생활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중국소비자의 한식 소비행동에 관한 연구”, 식품유통연구, 제27권, 제1호, pp.41-62, 2010.
  24. R. L. Oliver, "Measurement and evaluation of satisfaction process in retail settings," Journal of Retailing, Vol.57, No.3, pp.25-48, 1981.
  25. M. A. Jones, D. L. Mothersbaugh, and S. E. Beatty, "Swithching Barriers and Repurchase Intentions in Services," Journal of Retailing, Vol.76, No.2, pp.259-272, 2000. https://doi.org/10.1016/S0022-4359(00)00024-5
  26. 이창기, 권영린, “레스토랑 고객만족과 재방문의사에 영향을 주는 선택속성에 관한 연구”, 호텔관광연구, 제7권, 제1호, pp.83-113, 2001.
  27. 이애주, 박대환, 박진우, “외식업체의 서비스품질이 고객만족과 재방문의도,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부산지역 패밀리레스토랑을 중심으로", 호텔경영학연구, 제12권, 제1호, pp.191-213, 2003.
  28. 고재윤, 유은이, 정미란, “고객접점 서비스요인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서울시내 특1급 호텔레스토랑을 중심으로”, 호텔경영학연구, 제15권, 제 2호, pp.89-103, 2006.
  29. 박기용,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뷔페레스토랑 고객의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호텔경영학연구, 제17권, 제6호, pp.81-99, 2008.
  30. 허선귀. “라이프스타일 유형에 따른 가정대용식 (HMR)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관광대학원 호텔경영학과 석사학위논문, 2007.
  31. C. Casper, Some place like home. Restaurant Business, Vol.96, No.15, pp.63-74, 1997.
  32. A. I. A. Costa, "M. Dekker, R. R. Beumer, F. M. Rombouts, and W. M. F. A. Jongen, consumer-oriented classification system for home meal replacements," Food Quality and Preference, Vol.12, No.4, pp.229-242, 2001. https://doi.org/10.1016/S0950-3293(01)00010-6
  33. 전혜미, 이수범, “컨조인트 분석을 통한 HMR 상 품 개발에 대한 연구”, 호텔경영학연구, 제18권, 제49호, pp.301-315, 2009.
  34. http://news.kukinews.com/article/print.asp-더 방치할 수 없는 비만인구증가, 국민일보 쿠키뉴스, 2010(3).

Cited by

  1. Diet-related Behaviors, Perception and Food Preferences of Multicultural Families with Vietnamese Wives vol.17, pp.5, 2012, https://doi.org/10.5720/kjcn.2012.17.5.589
  2. Selection Attributes of Korean Restaurants Based on the Level of Involvement Using Conjoint Analysis vol.29, pp.5, 2013, https://doi.org/10.9724/kfcs.2013.29.5.553
  3. A study of the characteristics of Dongchimi consumption behavior for development of new Dongchimi products vol.45, pp.2, 2015, https://doi.org/10.1108/NFS-08-2014-00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