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New Trend on the Types of Public Art Projects Since 2000 in Korea

2000년대 이후 한국의 공공미술 프로젝트 유형

  • 김혜진 (한양대학교 응용미술학과)
  • Received : 2010.05.18
  • Accepted : 2010.08.24
  • Published : 2010.08.28

Abstract

The object of this paper is to observe concepts and forms of public art projects that have been performed so far since 2000 by the domestic Non-Government Organizations (NGO) and the Government. For public art to improve social awareness of practical power to change human life and the environments of social, political, cultural and economic by providing a smooth communication flow to the community and help them reach a new level. Therefore, in this paper, we try to find out the status and diagnosis of domestic public art projects and make recommendations that public art should focus on community not itself for the future direction.

본 논문에서는 국내에서 행해져 온 공공미술 프로젝트들이 어떤 개념과 형태를 가지고 현재까지 이루어졌는지 그 현황을 알아보고, 2000년 이후 국내 시민단체나 관에서 행해진 공공미술 프로젝트들을 통해 앞으로의 공공미술 프로젝트들이 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공공미술프로젝트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높이고 인간의 삶을 변화시키는 실천적 힘과 사회적, 교육적 효과, 현사회의 원활한 흐름과 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공공미술을 새롭게 인식하는데 역점을 두고자 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국내 공공미술프로젝트들을 진단하고 공공미술은 아트(Art) 자체가 아닌 커뮤니티(Community)가 되어야 한다는 방향을 제언함에 있어 의의를 갖는다.

Keywords

References

  1. 이선영, “상식에서 양식으로: 2007년 공공미술의 지향점”, 월간 퍼블릭아트(Public Art FIBA), 2007(3).
  2. www.artinpost.co.kr 홍경한, “해외전문가에게 듣는 한국의 공공미술”
  3. 박찬경, 양현미, 공공미술과 미술의 공공성, 문화 과학사, 문화과학, p.110, 2008.
  4. 박찬경, 양현미, “공공미술과 미술의 공공성”, 문화과학 특집, p.95, 2008(3).
  5.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예술의 사회적 기여에 관한 국내외 실증사례연구”, p.85, 2008.
  6. 우리동네 예술동네, 생활문화공동체만들기 시범 사업 결과자료집, 한국문화예술위원회, p.110. 2009.
  7. 동네만들기 지원센터 사랑마루, 성남문화재단, p.4,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