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ziga Vertov's Film Theory of Soviet Silent Film -By Comparison between Montage Theory of Sergei Eisenstein and Dziga Vertov Film Theory-

소비에트 무성영화의 지가 베르토프 영화이론 -세르게이 에이젠슈테인의 몽타주론을 비교중심으로-

  • 전평국 (경기대학교 영상학과) ;
  • 김노익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영상예술학과)
  • Received : 2010.03.30
  • Accepted : 2010.08.23
  • Published : 2010.08.28

Abstract

The Soviet Silent Films in the 1920s, produced a brilliant prosperity in the history of world films in the cultural and artistic aspects. Among them, Dziga Vertov was a film theorists and a practitioner along with Sergei M. Einstein played a pivotal role in the contemporary soviet films at the time. But the film theories of Vetro is incorrectly recognized or specialized compared to the theories of Eisenstein. But Deleuze has stated that the short in the movie of Vertov is able to deliver a meaning and an impact and he has emphasized that a short can be significant by itself by focusing on the 'truth' which a documentary must have. His film theories are based on futurism and constructivism and use the 'kino-eye' method and 'Interval' theory to summarize and organize his movies into 'movie-truth' principal and 'life as itself' concept. Deleuz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with the Vertov core of film theory and every theory of kino eye as the foundation and by comparing the Montage Theory of Sergei Eisenstein and applying Deleuze's Image Theory. Furthermore, it can be insufficient to discuss the film commercial achievements of Vertov as a result of inadequacy of previous research but it will further study his innovative methods and depth of his theories in his representation form in the documentary films.

1920년대 소비에트 무성영화는 세계영화사에 있어 문화 예술적 측면에서 찬란한 번영을 일으켰다. 그 중에서도 지가 베르토프(Dziga Vertov)는 세르게이 에이젠슈테인(Sergei M. Eisenstein)과 함께 당대 소비에트 영화의 핵심적 역할을 행사한 최고의 영화이론가이자 실천가였다. 하지만 베르토프의 영화이론은 오늘날까지도 에이젠슈테인에 비해 상대적으로 잘못 인식되거나 전수된 점이 많았다. 그러나 들뢰즈는 베르토프의 영화에 나타난 쇼트 자체가 어떤 의미나 충격을 전달할 수 있으며, 다큐멘터리가 지녀야할 '진실'에 초점을 맞춰 쇼트 자체에서도 의미를 이뤄낼 수 있다고 역설했다. 그의 영화이론은 미래주의와 구성주의에 바탕을 두어 '영화-눈'이라는 방법과 '간격'이라는 이론을 통한 '영화-진실'이라는 원리 그리고 '생활 있는 그대로'의 개념으로 요약 정리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베르토프 영화이론의 핵심인 키노아이와 간격이론 등을 중심으로 에이젠슈테인의 몽타주론과 비교하면서 들뢰즈의 이미지론을 적용하며 심도 있게 분석 조망하고자 한다. 나아가 선행연구의 미비로 인한 베르토프의 영화사적 업적을 논의하기에는 역부족일 수도 있으나, 그의 다큐멘터리 영화 표현양식에 있어 혁신적인 방법과 그의 이론을 심층적으로 연구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정태수, “소비에트 영화 속 인물 변형연구”, 영화연구, 제17권, 한국영화학회, 2001.
  2. Frederique Devaux, L'Homme a la camera de Dziga Vertov, Editions Yellow Now, 1990.
  3. Dziga Vertov, “From Kino-Eye to Radio-Eye”, in Kino-Eye, 1984.
  4. Valda Petric, Constructivism in Film: The Man with the Movie Camera-A Cinematic Analysi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7.
  5. 정현두, “소비에트 러시아의 문화정책과 영화”, 한국외국어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2.
  6. Herbert Eagele, Russian Formalist Film Theory, pp.34-78, 2007.
  7. Malcolm Turvey, “Can the Camera See? Mimesis in Man with a Movie Camera,” October 89, Summer 1999.
  8. Warren Buckland, 장석용.정재우 엮음, 영화연구, 서울: 현대미학사, 2002.
  9. Dziga Vertov, Kino-eye: The Writings of Dziga Vertov, ed. Annette Michelson, tr. Kevin O'Brien,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4.
  10. Gerald Pirog, “Iconicity and narrative: Vertov-Eisenstein Controversy,” Semiotica, Vol.39-1/2, Mouton Publishers, 1982.
  11. 전평국, 영상 다큐멘터리론: 이론과 실제, 서울: 나남, 1994.
  12. 이지영, “이미지의 물질성과 내재성에 관한 연구”,시대와 철학,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