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wild-geese fathers' experiences of decision-making and maintenance in separated families

기러기 아빠의 분거가족 결정과 유지경험에 관한 연구

  • 김주현 (경희사이버대학교 사회복지학과) ;
  • 송민경 (경기대학교 청소년학과) ;
  • 이현주 (한림성심대학 사회복지과)
  • Received : 2010.07.30
  • Accepted : 2010.10.07
  • Published : 2010.12.30

Abstract

This research identified the normal structures of separated families, "wild-geese families"(husbands living in Korea apart from their wives and children who are studying abroad) as we called, in Korea. In particular, this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 using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ith 7 wild-geese fathers (fathers who are in order to understand their experiences of separated families. The research findings classified the wild-geese father's experiences into three phases which as "decision-making," "initial," and "maintenance." These phases can be described by five higher factors. First of all, in the phase of decision-making "internal or external needs of children studying abroad at early age" was found to be a crucial factor. Liberation and deficiency as results of separation" mainly described the initial phase. In the phase of maintenance, families experience "exhausted solitary lives," "filling up the families' empty space," and "double jeopardy-worry about both reunifying the family or separating the family, as the longer they are separated."

본 연구는 한국사회에 확산되는 기러기 가족의 구성원으로서 기러기 아빠의 분거가족경험을 총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7명의 기러기 아빠를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한 후 질적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분거가족 경험의 일반적 구조를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 기러기 아빠의 분거가족경험은 전후 맥락과 시간성을 고려하여 가족분거 결정단계와 초기단계, 유지단계로 구분되었고 5개의 상위 구성요소가 도출되었다. 먼저, 가족분거 결정단계는 "조기유학의 내·외적 필요" 로 나타났고, 가족분거 초기단계는 "가족이탈의 해방과 결핍" 으로 도출되었으며 가족분거 유지단계는 "고갈된 독거인의 삶", "가족없는 공간을 채움", "분거기간의 장기화: 와도 걱정, 안와도 걱정" 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가족분거를 경험한 기러기아빠에 대한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