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ng-term Effects of Change in Family Structure On Achievement During Transition to Adulthood : Focusing on the effect of parental divorce/death on health condition, depression and educational attainment

가족구조의 변화가 성인이행기 발달에 미치는 영향 : 주관적 건강상태, 우울, 교육성취를 중심으로

  • Kim, Yeonwoo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 Received : 2010.09.13
  • Accepted : 2010.12.17
  • Published : 2010.12.30

Abstract

The family environment children are exposed to growing up greatly influences their future potential and achievements. Previous findings show that changes in family structure during childhood, particularly those resulting from divorce or death, cause lasting negative consequence that affect the child physically, psychologically, economically, and socially. Unfortunately, single-parent households are becoming increasingly common in Korea, nearly doubling to more than a million cases in the last two decades. Existing domestic and international studies of this area tend to focus on the short-term effects of growing up in a single-parent household. In addition, these studies group their samples in ways that result in findings that may be too broad or are not necessarily an accurate representation of the subjects. This study attempts to address some of these shortcomings by focusing on the long-term effects of how changes in family structure early in children's lives affect achievement during their transition to adulthood. In addition, it takes into account the development cycle the child is in at the time of family restructuring, and what kind of long-term effects result from that. In this analysis, we find that there are several cases of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ces in domain achievement depending on the developmental stage the child was in when the parental divorce or death occurred. The findings indicate that changes in family structure during the infant/toddler period influence health condition and depression, while changes in family structure during middle-childhood and adolescence do not. Meanwhile, changes in family structure during any point in the developmental stages have negative effects on educational attainment, with the severity of these negative effects depending on when the family changes occur. The negative effect on educational attainment is most prominent when a change in family structure occurs during the infant/toddler period, followed by adolescence, then middle-childhood.

본 연구는 한국복지패널 1~2차년도를 활용하여 가족구조의 변화 여부가 성인이행기 신체적 발달, 우울, 교육성취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나아가 가족구조의 변화 시기에 따라 성인이행기 발달에 미치는 영향이 상이한지 살펴보았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0~18세 때 가족구조의 변화 여부는 성인이행기 우울, 교육성취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지만 주관적 건강상태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둘째, 0~18세 때 가족구조의 변화 여부는 성인이행기 주관적 건강상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세부 발달단계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영유아기 때의 가족구조의 변화는 성인이행기 주관적 건강상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셋째, 영유가기 때의 가족구조의 변화는 성인이행기 우울에 영향을 미치지만, 아동기와 청소년기 때의 가족구조의 변화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넷째, 영유아기, 아동기, 청소년기 때의 가족구조의 변화는 모두 교육성취에 유의미한 부정적 영향을 미치며, 그 영향의 크기는 영유아기, 청소년기, 아동기 순이다. 이를 통해, 아동·청소년기 때의 가족구조의 변화가 성인이행기 발달에도 지속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가족구조 변화의 시기에 따라 영향을 미치는 발달영역과 강도가 다소 상이함을 알 수 있다. 특히, 주관적 건강상태와 우울과 관련하여 영유아기 때의 가족구조의 변화만 영향을 미쳤지만, 교육성취는 모든 발달단계가 유의미한 영향을 주며 특히, 영유아기, 청소년기, 아동기 순으로 그 영향정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가족구조의 변화가 일어난 시점의 자녀의 발달단계에 따라 영향을 받는 발달영역이 상이하기 때문에, 한부모 가족 자녀를 위한 정책 및 서비스의 종류는 달라야 함을 시사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