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사회복지연구)
- Volume 41 Issue 1
- /
- Pages.119-144
- /
- 2010
Longitudinal Dynamic Relationships of Delinquent Peers and Delinquency Trajectories
비행또래집단과 청소년비행 간의 종단적인 역동적 관계
- Chung, Ick-Joong (Ewha Womans University) ;
- Lee, Eun-Ju (Halla University)
- Received : 2009.12.09
- Accepted : 2010.02.09
- Published : 2010.03.30
Abstract
This study advances the knowledge of developmental patterns in affiliation with delinquent peers and delinquency during adolescence; data were obtained from waves 1-5 (2003-2007) of the Korea Youth Panel Survey. Semi-parametric group-based modeling (SGM) identified 3 affiliative trajectories of delinquent peers from age 13 to 16: rarely or never, persistently affiliative, and declining groups; and five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delinquency: non-offending, late onset, low-level continuous, desisting, and chronic groups. A joint trajectory analysis predicted the membership of delinquency trajectories conditional on delinquent peer trajectories. Persistently affiliative group was more likely than others to follow chronic trajectory of delinquency; the rarely or never affiliative group was more likely to be non-offending. This study may help reconcile different theoretical models such as influence, selection, and enhancement models with respect to the role of delinquent peers in delinquency. The distinct theoretical models are equally valid, albeit each model pertains to a specific aspect of longitudinal patterns of affiliation with delinquent peers. Implications of this study for youth welfare were discussed to reduce increased risks for both affiliation with delinquent peers and delinquency.
본 연구는 비행친구와 비행 간의 관계가 종단적으로 역동적일 뿐만 아니라 그 관계성에 다양한 잠재적 유형이 있을 수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청소년패널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비행친구 발달궤적은 중2에서 고2까지 4회기 동안 비행친구가 없는 집단, 비행친구가 감소하는 집단, 비행친구가 지속되는 집단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비행친구 발달궤적과 비행 발달궤적 간의 종단적인 역동적 관계를 살펴본 결과, 비행친구 발달궤적 집단 중 비행집단이 될 확률은 비행친구 지속형 집단이 가장 높고, 비행친구 억제형 집단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나 비행친구의 영향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비행친구 지속형 집단은 만성형 비행집단이 될 확률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나 비행친구의 상승효과를 보여주고 있다. 반면 비행친구 감소형 집단은 저비행지속형 집단이 될 확률이 가장 높았고, 비행친구 지속형 집단은 중단형 비행집단이 될 확률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비행친구의 선택효과를 반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결과는 비행친구의 영향효과, 선택효과, 상승효과를 동시에 지지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여러 가지 설명이 동등하게 타당하며 비행친구와 비행 간의 관계는 종단적으로 상호적이며 역동적인 관계로 이해되어야 함을 보여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