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태백지역 2008년 가뭄의 원인분석 연구

A Root Cause Analysis for Drought in Taeback City, Kangwon-do in 2008

  • 투고 : 2010.03.29
  • 심사 : 2010.06.12
  • 발행 : 2010.06.15

초록

최근 들어, 기상이변 및 국지성 집중호우로 인한 침수피해가 계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재해 피해 저감을 위한 대책을 수립할 시에 풍수해 관리 분야에 있어 대부분이 홍수피해에 집중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가뭄 재해 또한 홍수피해에 못지 않은 규모의 피해를 발생시키고 있으며, 가뭄 피해는 그 발생빈도가 아직 크지 않으나 점차 증가하고 있다는 부분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강원도 태백시는 2008년 가을부터 2009년 봄까지 심한 가뭄 피해를 입어 심각한 물부족에 시달린 중요한 예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 지역에 대한 물 부족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문기상학적 분석을 통한 가뭄빈도를 분석하였으며, 광역상수도 공급원인 광동댐의 운영과 수요-공급 분석을 통하여 물 부족 원인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갈수우량의 빈도 분석을 통한 태백지역 가뭄은 20년 빈도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바탕으로 광동댐 저수지에는 저수율이 약 52% 만 확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갈수기의 강우량은 평년에 비하여 작게 발생하였다. 그러나 피해 발생 시 태백시의 상수도 수요는 평년에 비하여 많았던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가뭄시 물 부족 원인을 분석하였으며, 이는 가뭄시 물 부족 대책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Recently, there have been flood damages due to the climate change and the flash flood continuously in Korea and there are several flood disaster mitigation plans that are normally most of management plan for water related disasters even though drought disasters are as important as flood disasters. In this study, it is underlined that the research on solution of water shortness due to the drought disasters is currently required since the frequency of drought damage is not very many but continuously increasing. There was big drought damage in TaeBaek City of Kangwon province due to the serious lack of water during autumn, 2008 to spring, 2009. This study therefore analyses the characteristics of hydrometeorological conditions by rainfall frequency analysis and the operations of Gwangdong dam that is a source of multi-regional water supply by analysing water demand. As results of study, there was a drought with 20 years returning period which is not really available to fill the reservoir as usual and which could only filled 52% of reservoir. The rainfall during the dry season was less than normal, however, the water demand from the TaeBaek City was higher than normal. As researching several reasons of water shortness including the reasons described above, this study might be useful for drought mitigation plan.

키워드

참고문헌

  1. 국토해양부(2006), 수자원장기종합계획, 국토해양부
  2. 김휘린, 박무종, 윤용남(2004), 2001년 가뭄 특성에 관한 비교 연구,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pp.1-5
  3. 류성용, 변희룡, 김기훈(2000), 한반도의 가뭄발생특성, 한국기상 학회학술대회논문집, pp.198-201
  4. 박정규, 박종서, 차유미(2004), 우리나라 봄철가뭄을 초래하는 원인분석, 한국기상학회학술대회 논문집, pp126-127
  5. 상하수도협회(2009), 2008 상수도 통계, 상하수도협회
  6. 윤용남(1972), 급수용 저수지 설계를 위한 저유하량의 통계학적 해석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지, Vol.20 No.1, pp37-46
  7. 태백시(2009), 발원지 고장 태백시 가뭄백서, 태백시
  8. 환경부(2008), 2007 상수도 통계, 환경부
  9. David H. White. (1999). Australia's national drought policy: Aims, Analysis and Implementation., Water Internationa, 24, pp.2-9 https://doi.org/10.1080/02508069908692128
  10. Landsberg, H. E. (1982), Climate aspects of droughts, pp.593-596
  11. Sen, Z. (1980), Statistical analysis of hydrological critical droughts, J. Hydro. Div., ASEC, 106(1), pp.99-115
  12. Wilhite, D.A. and M.H. Glantz.(1985), Understanding the Drought Phenomenon: The Role of Definitions. Water International, 10(3):111-120. https://doi.org/10.1080/025080685086863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