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sonal Fluctuations of Marine Environment and Phytoplankton Community in the Southern Part of Yeosu, Southern Sea of Korea

여수 남부 협수로 해역의 해양환경과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계절변동 특성

  • Noh, Il-Hyeon (Faculty of Marine Technolog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Yoon, Yang-Ho (Faculty of Marine Technolog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Park, Jong-Sick (Faculty of Marine Technolog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Kang, In-Seok (Faculty of Marine Technolog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An, Yeong-Kyu (Faculty of Marine Technolog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 Kim, Seung-Hyun (Faculty of Marine Technolog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노일현 (전남대학교 해양기술학부) ;
  • 윤양호 (전남대학교 해양기술학부) ;
  • 박종식 (전남대학교 해양기술학부) ;
  • 강인석 (전남대학교 해양기술학부) ;
  • 안영규 (전남대학교 해양기술학부) ;
  • 김승현 (전남대학교 해양기술학부)
  • Received : 2010.04.21
  • Accepted : 2010.06.15
  • Published : 2010.08.25

Abstract

Field observations on the seasonal variations of environmental factors and phytoplankton community were carried out four times at 30 stations in the narrow strait between Yeosu and Dolsan Island of the Korean South Sea from September 2005 to May 2006. The ranges of water temperature, salinity and extinction coefficient in the surface waters were 5.6~26.3, 25.36~33.92 psu and 0.13~2.13, respectively. The water temperature measured higher at Gamak Bay in summer and spring. It measured higher at Yeosuhae Bay in autumn and winter. Salinity showed uniformity of distributions in almost all areas, except for an area near a sewage disposal outlet. Extinction coefficient indicated that the turbidity of Gamak Bay and the area near the sewage disposal outlet were higher than that of the Yeosuhae Bay. In the phytoplankton community were identified a total of 99 species belonging to 51 genera. The species composition showed itself to be various in summer and autumn, but poor in winter and spring with a high ratio of centric diatoms all the year round. Seasonal succession of dominant species were Skeletonema costatum and Chaetoceros curvisetus in summer, Eucampia zodiacus in autumn and winter, and Chaetoceros affinis and Thalassionema nitzschioides inspring. Standing crops of phytoplankton and Chlorophyll $\alpha$ concentration were greatly higher at Gamak Bay in summer with ranges of $0.2{\times}10^4\;cells\;L^{-1}$ to $296{\times}10^4\;L^{-1}$, and $1.94\;L^{-1}$ to $22.12\;L^{-1}$, respectively. From the results of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PCA), the northern part of Dolsan Island was divided into two or three regions from the characteristics of marine environment and phytoplankton community.

남해의 여수와 돌산도 사이에 위치하는 협수로의 해양환경과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계절변동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2005년 9월에서 2006년 5월까지 30개 정점을 대상으로 4회에 걸쳐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표층해 수의 수온, 염분 및 소광계수는 각각 $5.6{\sim}26.3^{\circ}C$, 25.36~33.92 psu 및 0.13~2.13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수온은 여름과 봄에 가막만에서 높고, 가을과 겨울은 여수해만에서 더욱 높았다. 염분은 하수처리 배출구 인근해역을 제외하면 조사기간 동안 전 해역에서 균일한 분포를 나타내었다. 소광계수는 여수해만보다 가막만과 하수처리 배출구 인근 해역에서 높아 더욱 혼탁한 해수특성을 나타내었다. 식물플랑크톤은 총 51속 99종이 확인되었으며, 여름과 가을에 다양한 종 조성을 나타내었으나 중심목 규조류의 비율이 높은 겨울과 봄은 상대적으로 빈약한 종수를 보였다. 계절별 우점종은 여름에 Skeletonema costatum과 Chaetoceros curvisetus, 가을과 겨울은 Eucampia zodiacus, 그리고 봄은 Chaetoceros affinis와 Thalassionema nitzschioides로 나타났다. 식물플랑크톤 현존량과 Chl-$\alpha$ 농도는 각각 $0.2{\times}10^4{\sim}296{\times}10^4\;cells\;L^{-1}$$1.94{\sim}22.12\;{\mu}g\;L^{-1}$의 범위를 보였으며, 하계 가막만에서 월등히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주성분 분석결과에 따르면, 돌산도 북부해역은 해양환경과 식물플랑크톤 군집특성으로부터 2개 또는 3개의 해역으로 세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연식, 최중기, 2001, "고리, 월성, 울진 및 영광 연안해역 의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생태학적 특성 I. 종조성 및 분포 (1992년-1996년)", Algae, 16, 85-111.
  2. 강연식, 최중기, 2002, "고리, 월성, 울진 및 영광 연안해역 의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생태학적 특성II. 현존량 분포 및 환경요인을(1992-1996)", 한국해양학회지, 7, 108-128.
  3. 강연식, 최중기, 정경호, 박용철, 1992, "서해 중동부 연안해역과 경기만에서 일차 생산력과 동화계수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학회지, 27, 237-246.
  4. 김기영, 2005, 여자만 해역의 해양환경과 식물플랑크톤 분포 특성, 여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0pp.
  5. 김대일, 1999, 가막만 해양환경과 적조생물의 출현 동태, 여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2pp.
  6. 김대일, 노일현, 윤양호, 2005, "최근 한국 연안해역에 출현하는 유해적조 플랑크톤 침편모조류 Chattonella의 특정", 한 국해양환경공학회 추계학술대회논문집, 127-131.
  7. 김동수, 노홍길, 1993, "여수 연안 정치망 어장의 환경 요인과 어황 변통에 관한 연구 1. 어장 주변 해역의 해황 특성", 한국어업기술학지, 29, 1-10.
  8. 노일현, 오석진, 박종식, 안영규, 윤양호, 2010, "여수 엑스포 주변해역의 생물.화학적 해양환경 특성",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13, 1-11.
  9. 노일현, 윤양호, 김대일, 박종식, 2006, "가막만 표층퇴적물중 유기물량의 시.공간적 분포 특성",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9, 1-13.
  10. 문성기, 최철만, 2003, "국내 해양식물플랑크톤의 주요종과 분포에 대한 조사", 한국환경과학회지, 12, 725-733.
  11. 문창호, 최혜지, 1991, "낙동강 하구 환경특성 및 식물플랑크 톤의 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학회지, 26, 144-154.
  12. 박종규, 허성희, 정해진, 2001, "진해만의 식물플랑크톤: I. 광 환경에 따른 광합성 특성과 일차생산력", Algae, 16, 189-196.
  13. 박종식, 윤양호, 오석진, 2009, "한국 남해 가막만 입구해역의 식물플랑크톤 군집 변동, 특성", 환경생물, 27, 205-215.
  14. 박주석, 김학균, 이삼근, 1988, "진해만의 적조현상과 원인생물의 천이", 수진연구보고, 41, 1-26.
  15. 신용식, 이창희, 조기안, 송은숙, 2005, "국내 연안 하구역의 식물플랑크톤 생체량(chlorophyll a) 및 수질 동향", 한국육수학회지, 38, 160-180.
  16. 신윤근, 심재형, 조준성, 박용철, 1990, "천수만 미세플랑크톤의 상대적 중요성: 종조성, 개체수, 클로로필 및 일차생산력", 한국해양학회지, 25, 217-228.
  17. 심재형, 신윤근, 여환구, 1991, "만경, 동진강 하구 표영생태계의 무생물 환경과 일차생산자 1. 환경 특성과 식물플랑크톤의 군집 구조", 한국해양학회지, 26, 155-168.
  18. 여환구, 박미옥, 1997, "진해만 동부 해역내 식물플랑크톤 군집과 수질환경의 계절 변동", 한국환경과학회지, 6, 231-238.
  19. 오석진, 이종석, 박종식, 노일현, 윤양호, "진주만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천이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11, 98-104.
  20. 윤양호, 1995, "가막만 북부해역의해 양환경과 식물플랑크톤군집의 변동특성 1.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계절동태와 적조원 인생물", 여수수산대학교 수산과학연구소 연구보고, 4, 1-15.
  21. 윤양호, 2000, "해창만의 생물해양학적 환경특성. 1.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계절변동 및 분포 특성", 한국수산학회지, 33, 43-50.
  22. 윤양호, 1998, "완도 신지도 연안해역의 식물플랑크톤 군집구조 특성", 여수대학교 논문집, 14, 591-600
  23. 윤양호, 1999a, "득량만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시.공간적 분포 특성", 환경생물, 17, 481-492.
  24. 윤양호, 1999b, "해창만의 생물해양학적 환경특성 2. 엽록소 a량의 분포 특성", 여수대학교 논문집, 14, 591-600.
  25. 윤양호, 김성아, 1996, "남해연안해역에 있어서 식물플랑크톤군집의 계절변동 특성과 기초생산 1. 가뭄시 여수해만의 수질 환경과 식물색소랑 분포특성", 한국환경과학회지, 5, 347-359.
  26. 윤양호, 박정미, 1992, "저수온기 광양만의 유기오탁 현상에 대하여", 여수수산대학 수산과학연구소 연구보고, 1, 55-67.
  27. 이영식, 2002, "여수 돌산도 동부연안해역에서 담수유입에 의한 규조적조발생", 대한환경공학회지, 24, 477-488.
  28. 이규형, 1992, "가막만의 해수유동 패턴", 한국어업기술학회지, 28, 117-131.
  29. 이규현, 조규대, 1990, "가막만의 수온과 염분 분포", 한국수산학회지, 23, 25-39.
  30. 이명철, 장선덕, 1982, "가막만의 해수교환", 한국해양학회지, 17, 12-18.
  31. 이병돈, 강형구, 강용주, 1991, "굴 양식장 수역의 기초생산연구", 한국수산학회지, 24, 39-51.
  32. 임월애, 강창근, 김숙양, 이삼근, 김학균, 정익교, 2003, "여름철 남해도 연안 식물플랑크톤 군집 구조의 단기 변화", Algae, 18, 49-58. https://doi.org/10.4490/ALGAE.2003.18.1.049
  33. 조기안, 위인선, 최청일, 1994, "광양만 식물플랑크톤의 생태학적 연구", 한국환경생물학회지, 12, 137-150.
  34. 조은섭, 김정배, 안경호, 유 준, 권정노, 정창수, 2006, "2004년 한국 남해연안 해역에 출현하는 식물플랑크톤의 시.공간적 특성 조사", 한국환경과학회지, 15, 539-562.
  35. 조은섭, 최용규, 2005, "남서해역의 유해성 적조생물 Cochlodinium polykrikoides Margalef 모니터링을 위한 환경특성과 식물플 랑크톤 군집 동태", 한국환경과학회지, 14, 177-184.
  36. 조은영, 차재훈, 김미경, 김기태, 2000, "영일만 연안의 생태 계 연구: I. 식물플랑크톤의 종조성과 군집의 다댱성", Algae, 15, 49-59.
  37. Chiliara, M. and Murano, M., 1997, An illustrated guide to marine plankton in Japan. Tokai Univ. Press, Tokyo, 1574pp.
  38. Choi, J.K. and Shim, J.H., 1986, "The Ecological Study of Phytoplankton in Kyeonggi Bay, Yellow Sea.. Phytoplankton Composition, Standing Crops, Tychopelagic Plankton", J. Oceanogr. Soc. Kor., 21, 156-170.
  39. Epp1y, R.W., Renger, E.H., Venrick, E.L. and Mullin, M.M., 1973, "A study of phytoplankton dynamics and nutrient cycling in the central gyre of the North Pacific Ocean", Limnol. Oceanogr., 18, 534-551. https://doi.org/10.4319/lo.1973.18.4.0534
  40. Faust, M.A., Sager, J.C. and Meeson, B.W., 1982, "Response of Prorocentrum mariae-Iebouriae (Dinophyceae) to light of different spectral qualities and irradiances: growth and pigmentation", J. Phycol., 18, 349-356. https://doi.org/10.1111/j.1529-8817.1982.tb03195.x
  41. Forst, B.W., 1991, "The role of grazing in nutrient-rich areas of the open sea", Limnol. Oceanogr., 36, 1616-1630. https://doi.org/10.4319/lo.1991.36.8.1616
  42. Heinrich, A.K., 1962, "The life histories of plankton animals and seasonal cycles of plankton communities in the ocean", J. Cons. Int. Explor. Mer., 27, 15-24. https://doi.org/10.1093/icesjms/27.1.15
  43. Hunter, B.L. and Laws, EA., 1981, "ATP and chlorophyll a as estimators of phytoplankton carbon biomass", Limnol. Oceanogr., 26, 944-956. https://doi.org/10.4319/lo.1981.26.5.0944
  44. Maita, Y. and Odate, T., 1988, "Seasonal changes in size-fractionated primary production and nutrient concentrations in the temperate neritic water of Funka Bay, Japan", J. Oceanogr. Soc. Jap., 44, 268-279. https://doi.org/10.1007/BF02302569
  45. Nybakken, J.W., 1993, "Marine biology-An ecological approach( 3rd ed.)", Harper Collins Collins Coll. Pub., New York, 462pp.
  46. Paerl, H.W., M.M. Ti1zer and C.R. Goldman, 1976, "Chlorophyll a versus adenosine triphosphate as algal biomass indicators in lakes", J. Phycol., 12, 242-246.
  47. Parke, M. and Dixon, P.S., 1976, "Check-list of British marine algae. Third revision", J. Mar. BioI. Ass. U. K., 56, 527-594. https://doi.org/10.1017/S002531540002066X
  48. SCOR-Unesco, 1996, "Determination of photosynthetic pigment", In: Unesco(ed.), Determination of photosynthetic pigments in sea water, Paris, 10-18.
  49. Shim, J.H. and Yeo, H.G., 1988, "Spatial and Temporal Variations of Phytoplankton in Chonsu Bay", J. Oceanogr. Soc. Kor., 23, 130-145.
  50. Takahashi, M., Kikuchi, K. and Hara, Y., 1985, "Importance of picocyanobacteria biomass (unicellular blue-green algae) in the phytoplankton population of coastal waters off Japan", Mar. Biol., 89, 63-69. https://doi.org/10.1007/BF00392878
  51. Throndsen, J., 1978, "Preservation and storage", In: Sournia, A. (ed.), Phytoplankton manual. Unesco, Paris, 69-74.
  52. Tomas, C.R., 1997, "Identifting marine phytoplankton", Academic Press, London, 858pp.
  53. Wallen, D.G and Geen, G.H., 1971, "Light quality in relation to growth, photosynthetic rates and carbon metabolism in two species of marine plankton algae", Mar. Biol., 10,34-43. https://doi.org/10.1007/BF02026764
  54. Zeitzschel, B., 1970, "The quantity, composition and distribution of suspended particulate matter in the gulf of California", Mar. Biol., 7, 305-318. https://doi.org/10.1007/BF007508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