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ison of Arthroscopic versus Mini Open Repair in Rotator Cuff Tear

회전근 개 파열에 대한 관절경적 봉합술과 소 절개 봉합술의 비교

  • Park, Ji-Kang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Park, Kyoung-Jin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Kim, Yong-Min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Kim, Dong-Soo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Choi, Eui-Sung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Shon, Hyun-Chul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Cho, Byung-Ki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 Im, Se-Hyuk (Department of Orthopedic Surgery,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박지강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박경진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김용민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김동수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최의성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손현철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조병기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 임세혁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정형외과학교실)
  • Published : 2010.03.31

Abstract

Purpose: To compare the outcome of patients who underwent rotator cuff repair using all-arthroscopic mini-open repair techniques.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44 patients who underwent either arthroscopic (group I) or mini-open (group II) rotator cuff repair. 23 patients underwent an arthroscopic repair and 21 patients had a mini-open repair. The mean age was 50.4 years in the arthroscopic group and 56.7 years in the mini-open group. The outcomes for the 2 groups were evaluated using ROM, VAS, ASES, UCLA scale.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correlations, T-test, Paired T-test. The mean follow-up period in the arthroscopic and mini-open groups were 24.1months and 26.1months, respectively. Results: The group I (arthroscopic group) had 2 small-sized tears, 10 medium sized tears, and 11 large sized tears (3~5 cm). The group II (mini-open group) had 1 small sized tears, 8 medium sized tears, and 12 large sized tears. The mean cuff tear size of the group I and Group II were 3.8 cm and 4.2 cm, respectively. At last follow-up periods, ROM and functional scores were improved. In the group I and group II,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ROM, VAS, ASES, UCLA score. Conclusion: The size of the tear did not produce different results at arthroscopic repair group but larger tear size was associated with a worse outcome in mini-open group. There were no significant clinical results between the arthroscopic and mini-open group.

목적: 관절경적 회전근 개 봉합술과 소 절개를 이용한 봉합술의 결과를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회전근 개 파열이 확인된 4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23예에서는 관절경적 봉합술을, 21예에서는 소 절개를 이용한 봉합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시 평균연령은 관절경적 봉합술군이 50.4세, 소 절개를 이용한 봉합술군이 56.7세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관절경적 봉합술군이 24.1개월, 소 절개를 이용한 봉합술군이 26.1개월이었다. 양 군의 결과를 견관절 운동범위, VAS (Visual Analogue Scale), ASES (American Shoulder and Elbow Society), UCLA (University of California LA) 점수를 비교했으며 이를 통계적으로 검정하였다. 결과: 파열의 크기는 관절경적 봉합술군에서 소파열이 2예, 중파열이 10예, 대파열이 11예였으며, 소 절개를 이용한 봉합술군에서는 각각 1예, 8예, 12예 였다. 평균파열의 크기는 관절경적 봉합술군은 3.8 cm이었고, 소 절개 봉합술군이 4.2 cm이었다. 최종 추시 시에 양 군에서 동통과 기능점수가 향상되었으나 양 군간의 차이는 없었다. 양 군의 견관절 운동범위 (p=0.7493), VAS (p=0.9677), ASES (p=0.8032), UCLA (p=0.2289) 점수의 통계적 차이는 없었다. 결론: 관절경적 회전근 개 봉합술군은 파열의 크기가 최종 추시 시 임상 결과와 유의한 상관 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나, 소절개 봉합술군은 파열의 크기가 클수록 결과가 좋지 않았다. 회전근 개 전층파열에서 관절경적 봉합술군과 소 절개를 이용한 봉합술군 간에 임상 결과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