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의료법에서 후견주의 이념의 수용, 변형 그리고 거부 - 치료중단에 대한 법원 판결을 중심으로 -

Acceptance, Modification and Rejection of Paternalism in Korean Medical Law

  • 김나경 (성신여자대학교 법학과) ;
  • Kim, Na-Kyoung (Dept. of Law, Sungshin Women's University) ;
  • Harmon, Shawn H.E. (SCRIPT and InnoGen, University of Edinburgh)
  • 투고 : 2010.04.07
  • 심사 : 2010.05.16
  • 발행 : 2010.06.30

초록

이 글은 연명치료의 중단에 관해 서로 상반된 결론을 내렸던 보라매병원 판결(대법원 2002도995)과 신촌세브란스병원 판결(대법원 2009다17471)이 전통적으로 의료사회를 지배했던 의사후견주의 혹은 가족주의적 후견주의의 이념을 어떠한 방식으로 수용하거나 변형 또는 거부하고 있는지를 분석한다. 보라매병원 사건에서 법원이 '의사'의 자연법적 의무를 강조한 것은 의사가 자연법 발견의 능력이 있음을 전제하는 전통적인 의사후견주의적 인식에서 출발한 것이긴 하다. 하지만 법원은 종국적으로는 자연법 발견의 최종적 주체를 '법원'으로 상정함으로써 스스로를 환자에 대한 독자적 후견인으로 규정한 셈이 되었다. 뿐만 아니라 법원은 환자 가족의 결정 역시 법원의 자연법적 결정 뒤로 물러나게 함으로써 가족주의적 후견주의로부터 탈피했지만, 법원의 우월성을 드러낼 뿐 가족의 결정이 가질 수 있는 의미를 충분히 존중하지는 못했다. 신촌세브란스병원 사건에서는 이와는 달리 환자의 자기결정권이 갖는 의미가 무엇인지를 좀더 명확히 언급한다. 뿐만 아니라 자기결정권의 행사범위는 '내용적'으로, 그리고 '시간적'으로도 확대된다. 하지만 이 판결 역시 진정한 의미에서의 의료적 자율성에 대한 인식을 충분히 보여주진 못했다. 법원은 의사나 병원윤리위원회의 결정의 중요성을 인식하면서도 행위에 대한 실체적인 판단의 권한을 여전히 유지하고 있는 듯하며, 환자가족의 결정을 중시하긴 하지만 여전히 정황에 대한 (법원의) '객관적' 판단을 강조함으로써 결정주체로서의 권위를 포기하지 않는다.

This article analyzes two leading Korean cases which led to opposite conclusions: the Boramae Hospital Case (Korean Supreme Court 2002 Do 995) and the Shinchon Severance Hospital Case (Korean Supreme Court 2009 Da 17471). In doing so, it pays particular attention to the acceptance, modification, and rejection of paternalism, specifically 'physician paternalism' and 'familial paternalism', both of which have long and strongly influenced the Korean medical environment. In Boramae Hospital, the Court emphasized the obligation of the physician in terms of the life of the patient (eg: protecting and preserving the life and welfare of the patient). Its position seemed to be based on the traditional physician paternalism which presupposes the ability of physicians to identify right and wrong choices according to natural laws. However, the Court saw itself as the final arbiter of who identifies and determines the real world content and consequences of that natural law. In short, the Court elevated itself to the supreme guardian of the patient, and held that its decision cannot be overruled by that of the patient's family. So without specifically referring to the importance of the family and the role of familial decisions, both long-observed traditions in medical decision-making in Korea, the Court shifted away from familial paternalism. In Shinchon Severance Hospital, the Court explained the meaning of the patient's powers of self-rulemore concretely, explaining its scope and substance in greater detail. The Court held that one can exercise the right of self-rule, even over issues such as death, in the form of 'previous medical directions'. However, this case does not represent a wholesale acceptance of medical autonomy (ie: it does not accept self-rule unconditionally). Rather, the Court accepted the importance of the opinions and decision of physicians and of the Hospital Ethics Commission, and the Court still retained to itself the authority to review and make alterations to 'material' decision. The Court did not overlook the importance of the decision of the patient's family, but it also did not relinquish its status as supreme guardian, emphasizing the 'objective' nature of a decision from the court.

키워드

참고문헌

  1. 김나경 (2007) 의사의 설명의무의 법적 이해. 한국의료법학회지 15:7-28.
  2. 김나경 (2007) 태아의 장애를 이유로 하는 임신중절. 형사법 연구 19:127-165.
  3. 김성룡 (2003) 조건설.미수론 및 죄수론 관점에서 본 작위와 부작위의 구별 - 보라매 병원 사건. 법학논고 19:122-138.
  4. 김일수, 서보학 (2004) (새로쓴) 형법총론. 제10판. 박영사.
  5. 김학태 (2009) 무의미한 생명연장치료 중단에 관한 법 윤리적 고찰. 외법논집 33:311-338.
  6. 배종대 (2005) 형법총론. 제8전정판. 홍문사.
  7. 이상돈 (1998) 치료중단과 살인. 의료형법. 법문사.
  8. 이상돈 (2002) 치료중단과 형사책임. 법문사.
  9. 이석배 (2007) 독일의 치료중단 기준과 입법론. 형사정책 19:229-251.
  10. 이석배 (2009) 연명치료 중단의 기준과 절차. 형사법연구 21:147-170.
  11. 이재상 (2008) 형법총론. 제6판. 박영사.
  12. 임웅 (2009) 형법총론. 개정판 제2보정판. 법문사.
  13. Ahn SH, Lee SC (2005) The development of the South Korean welfare regime. Walker A, Wong CK (eds.), East Asian Welfare Regimes in Transition: From Confucianism to Globalisation, Bristol, Policy Press, pp. 165-186.
  14. Chau R, Yu WK (2005) Is welfare unAsian?, Walker A, Wong CK (eds.), East Asian Welfare Regimes in Transition: From Confucianism to Globalisation. Bristol. Policy Press. pp. 21-45.
  15. Fan R (1997) Self-Determination vs. Family-Determination: Two Incommensurable Principles of Autonomy. Bioethics. pp. 309-322.
  16. Harmon Shawn HE, Kim NK (2008) A tale of two standards: Drift and inertia in modern Korean medical law. Scripted 5:269-271.
  17. Hattori K (2003) East Asian family and biomedical ethics Song SY, Koo YM, Macer D (eds.), Asian Bioethics in the 21st Century, NZ: Eubios, pp. 229-231.
  18. O'Neill Onora (2002) Autonomy and Trust in Bioeth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 대법원 2004. 6.24. 선고 2002도995
  20. 대법원 2009.5.21. 선고 2009다17471
  21. 서울고등법원 2002.2.7.선고 98노1310
  22. 서울고등법원 2009.2.10. 선고 2008나116869
  23. 서울남부지방법원 1998.5.15.선고 98고합9
  24. 서울서부지방법원 2008.11.28. 선고 2008가합69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