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teaching-learning practices all learners can participate in mathematics instruction.

모든 학습자가 수학수업에 참여하는 교수.학습 행위

  • Kim, Jin-Ho (Department of Mathematics Education, Daeg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Received : 2010.03.26
  • Accepted : 2009.04.19
  • Published : 2010.05.31

Abstract

Mathematics educators oriented to reform-based curricular have asserted that mathematics teachers should lead instructions where all students in their classrooms are able to participated. In this paper, some practices for them to implement it are discussed. Before explaining them, some discussions are made about students ability to construct knowledge. One of them is that teachers should know different learners construct different understandings because of their differences of prior knowledge and reasoning ability. Also, it was discussed that teachers consider classroom environments, assigning children's sitting and tasks in the light of learning. The reason to state them is that perspectives of them should be changed. Finally, "Teacher's careful listening to learners' responses", "Why do think in that way?, How do you know?, What is it meant?", "accepting ideas from all learners", "no supporting a particular idea", "utilizing waiting time", and "teacher's responses to learner's errors and mistakes" are discussed as practices for letting all learners be participated in the mathematics instruction.

수학교육개혁론자들은 모든 학습자가 수학수업에 참여하는 수업을 이끌어내야 한다고 주장한다. 본고에서는 교사가 이를 실천하기 위한 몇 가지 교수 학습 행위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이에 앞서, 교사는 학습자는 저마다 다른 지적 능력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저마다 다른 수준에서 지식을 구성할 수 있는 지적 능력이 있다는 정올 인지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또한, 교실환경꾸미기, 좌석배치, 과제 등에 대한 논의도 이루어졌다, 모든 학습자들이 수업에 참여시키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교수 학습 행위로 "아동들의 반응에 대한 교사의 경청", "왜 그렇게 생각합니까? 어떻게 알았어요? 이것은 무슨 뜻이에요?", "모든 학습자의 의견을 허용적으로 수용하기", "특정 의견을 지지하지 않음", "기다리는 시간 활용하기", 그리고 "오류 또는 실수에 대한 교사의 반응"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과학기술부 (2007). 초등학교교육과정 해설 IV: 수학, 과학, 실과. 서울: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2. 교육과학기술부 (2009). 수학 2-2. 서울: 두산동아.
  3. 교육인적자원부 (1997). 제7차 교육과정 총론.
  4. 교육과학기술부 (2010) 수학 3-1. 서울: 두산동아
  5. 교육방송 (2010). 삼동초등학교 180일의 기록. 서울: 교육방송.
  6. 신민아 (2002). TIMSS 비디오 연구의 방법을 적용한 수학과 수업분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7. 강민정 (2002). 우리나라 수학 교수법 분석 및 독일, 일본, 미국과의 비교 연구: TIMSS 비디오 연구의 방법을 적용하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석사학위논문.
  8. 서동엽 (2003). 활동을 통한 초등 수학 교수․학습 이론 비교 연구. 교육과학연구, 34(2), 209-235.
  9. 박교식 (1996). 우리 나라 초등학교의 수학 교수․학습에서 볼 수 있는 몇 가지 특징. 수학교육학연구, 6(2), 99-113.
  10. 김진호 (2009). 수학 수업 중 원활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는 교실문화 형성하기.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C <초등수학교육>, 12(2), 99-115.
  11. 김진호․이소민․김상룡 (2010). 학습자 중심 수업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4(1), 163-192.
  12. Bachman, V. (2003). First grade math: A month-to-month guide. Sausalito, CA: Math Solutions Publications.
  13. Burns, M. (2001). Lessons for introducing multiplication. Sausalito, CA: Math Solutions Publications.
  14. Chapin, S. H., O'Connor, C., & Anderson, N. C., (2003). Classroom discussion: Using math talk to help students learn, Grades 1-6. Sausalito, CA: Math Solutions Publications.
  15. Kamii, C. (1989). Double digit addition(Video). NY: Teachers College Press.
  16. NCTM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The Author.
  17. Skemp, R. R. (1986). The psychology of learning Mathematics (2nd Ed.) . London: Penguin Books.
  18. Sullivan, P., Mousley, J., & Jorgensen, R. (2009). Tasks and pedagogies that facilitate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In B. Kaur, Y. B. Har, & M. Kapur(Eds.),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17-42). Link, Singapore: World Scientific Publishing Co. Pte. Ltd.
  19. Wickett, M., Ohanian, S., & Burns, M. (2002). Lessons for introducing division: Grades 3-4. Sausalito, CA: Math Solutions Publi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