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Ritual Costumes and Hairstyles used in the Coming-of-Age Ceremony for Royal Court Ladi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조선후기 왕실여성의 관례복식 연구

  • Kim, Soh-Hyeon (Dept. of Korean Tradional Costume, Baewha Women's University)
  • 김소현 (배화여자대학 전통의상과)
  • Received : 2010.01.14
  • Accepted : 2010.03.19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The ritual to change the hairstyle holds the same meaning as the coming of age ceremony. The ceremony was performed throughout three times including choga, jaega, and samga. The garment and hairstyle attuned to the ceremony formalities. Women in the royal family had 'su-siK when they were fully grown up during choga, 'gwang-sik' during Jaega, and 'keun-meo-ri (big hairstyle)' during samga. 'su-sik' is the noblest hairstyle according to social status, which is allowed to be worn only by spouse of king and prince, regardless of adult or not. During jaega, 'gwang-sik' which was 'u-yeo-meo-ri', is made by winding 'darae (wig)' around a jjok-jin-muri (bun) [Jo-jim-meo-ri]? which distinguished the hairstyle of unmarried women, who did not go through a coming of age ceremony yet. Unmarried women maintained a hairstyle which is mostly twisted into one string, but they had 'saeang-meo-ri' when they were prepared for ceremonial costumes. Also, they had 'ga-raemeo-ri' when growing further. keun-meo-ri during samga is an addition of keun-meo-ri chaebal(wig) onto u-yeo-meo-ri. Women in the royal family made geo-du-mi by adding keun-meo-ri, which is formed by twisting wig, and oimyeongbu (noble ladies) and sanggung (court ladies) added a wooden wig called u-yeo-mi. Also, yeoryeong wore ga-ri-ma. In this way, the types of hairstyles were distinguished according to hierarchy. As the coming of age ceremonial dress. Wonsam was worn. During choga. wonsam was worn as a formal dress and during jaega and samga wonsam was worn as a full dress.

Keywords

References

  1.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 뎡미가례시일긔. 古文書集成 十三, pp. 627-678.
  2. 헌종 13년 (1847). 헌종경빈김씨순화궁가례시절차. 규장각소장 奎 27008.
  3.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 古文書集成 十二. 古文書集成 十三.
  4. 순화궁. 순화궁접초. 사절복색자장요람. 필사본.
  5. 정조 12年 (1788). 加髢申禁事目. 규장각소장 奎 12385
  6. 정조실록 26卷 12年 10月 3日 (辛卯).
  7.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02).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동방B&M. 새앙머리.
  8. 김용숙 (1987). 조선조 궁중풍속 연구. 일지사, pp. 304-305.
  9. 김용숙 (1987). 조선조 궁중풍속 연구. 일지사, p. 24.
  10. 김용숙 (1989). 한국여속사. 민음사, p. 233.
  11. 경운박물관 (2003). 근세복식과 우리문화, p. 145.
  12. 2009. 11. 3. 고궁박물관. 이해경 왕녀의 강연
  13. 석주선 (1982). 속한국복식사. 고려서적주식회사
  14.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 古文書集成 十三, p. 633.
  15.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 古文書集成 十三, p. 11.
  16.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 古文書集成 十三, p. 271.
  17. 석주선 (1993). 관모와 수식. 석주선기념민속박물관, p. 155.
  18. 김영숙 (2002). 朝鮮朝後期中服飾. 신유, p. 183.
  19. 궁중유물전시관 (2002). 황실복식의 품위, p. 127
  20. 담인복식미술관 (1999). 담인복식미술관개관기념도록. 이화여대출판부, p. 69.
  21.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2005). 명선(名選) 하(下), p. 48.
  22. 담인복식미술관 (1999). 담인복식미술관개관기념도록. 이화여대출판부, p. 61.
  23. 남영신 엮음 (1987). 우리말 분류 사전. 한강문화사, p.97
  24. 신혜성 (2005). 한국과 중국의 정통혼례복식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128-129.
  25.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 古文書集成 十三, p. 641,
  26.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 古文書集成 十三, p. 255.
  27.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 古文書集成 十三, p. 454.
  28.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 古文書集成 十三, p. 485.
  29. 김내창 편저 (1998). 조선풍속사. 사회과학출판사, 한국문화사 영인, p. 122.
  30. 이훈종 편저 (1970). 국학도감. 일조각, p. 23.
  31. 한국전통문화생활학회 (2000), 조선후기 양반가의 혼례, p. 95.
  32. 국립민속박물관 (2006). 수복, p. 148,
  33. 세조실록 4卷 2年 5月 기묘(己卯)
  34. 이규경. 오주연문장전산고 四司六局辦證說
  35. 박혜진 (2005). 조선시대후기 궁중패물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50.
  36.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2000). 북한지방의 전통복식. 현암사.
  37. 김지연 (2008). 조선시대 여성 예관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65-68.
  38. 석주선 (1982). 관모와 수식. 석주선기념민속박물관, p. 65
  39. 김영숙 (1998) 한궁복식문화사전, 미술문화.
  40.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9). 조선시대관혼상제 I-관례.혼례편, pp. 176-178.
  41. 김원모 정성길 편저 (1986). 사진으로 본 백년 전의 한국. 가톨릭출판사
  42. 조풍연 해설 (1986), 사진으로 보는 조선시대-생활과 풍속. 서문당, 133
  43. 조풍연 해설 (1986), 사진으로 보는 조선시대-생활과 풍속. 서문당, 134
  44. 여성동아 (1978). 자세한 관혼상제. 동아일보사.
  45. 윤봉구. 병계집. 14卷
  46. 영조실록 102卷 39年 (1763) 11月 임신(壬戌).
  47. 영조정순후가례도감의궤 하 반차도.
  48. 강순제 외 (2003). 역사인물초상화대사전. 현암사, p. 47.
  49. 김지연 (2008). 조선시대 여성 예관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101.
  50. 서유구. 임원경제지. 贍用志 簇頭伊
  51. 단국대학교 석주선민속박물관 (2005). 명선(名選) 하(下), pp. 32-33.
  52. 석주선 (1992). 한국복식사. 보진재, p. 64.
  53. 조효순 (1989). 조선조 수복의 풍속사적 고찰. 복식, 10, p.35.
  54.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 古文書集成 十三, p. 642.
  55.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 古文書集成 十三. p. 486
  56. 단국대학교 석주선민속박물관 (2005). 명선(名選) 하(下), p. 49.
  57. 단국대학교 석주선민속박물관 (2005). 명선(名選) 하(下), p. 46.
  58. 단국대학교 석주선민속박물관 (2005). 명선(名選) 하(下), p. 34.
  59. 단국대학교 석주선민속박물관 (2005). 명선(名選) 하(下), p. 47.
  60. 한미사진미술관 (2009). 대한제국황실사진전, p. 40.
  61. 김지연(2008). 조선시대 여성 예관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77.
  62. 고종실록 10卷 10年(1873) 8月 乙巳
  63. 승정원 일기. 정조 3년 2월 25일 경진(庚辰)
  64. 김용숙 (1987). 조선조 궁중풍속 연구. 일지사, p. 42. p. 306.
  65. 김용숙 (1987). 조선조 궁중풍속 연구. 일지사, p. 21.
  66. 김용숙 (1987). 조선조 궁중풍속 연구. 일지사, p. 308.
  67. 박혜진 (2005). 조선시대 후기 궁중패물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8. 오선희 (2008). 조선시대 여자비녀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9. 이은주 (2008). 19세기 조선 왕실 여성의 머리모양. 복식. 58(3).
  70. 한미사진미술관 (2009). 대한제국황실사진전, p. 52.
  71. 정범준 (2006). 제국의 후예들. 황소자리.
  72. KBS (1989). TBC 특집다큐멘터리: 비극의 세월- 이방자여사.
  73. 김소현.안인실.장정윤 (2007). 조선시대적의의 용례와 제작에 관한 고찰. 복식, 57(6), p. 95.
  74. 석주선 (1980). 한국복식사. 보진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