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소비자를 대상으로 우리나라에서 재배된 과채류 섭취를 통한 neonicotinoid계 농약의 노출량을 확률적 접근법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농약 잔류량을 2009년에 수행된 과채류 중 neonicotinoid계 농약 5종(acetamiprid, clothianidin, imidacloprid, thiacloprid, thiamethoxam)에 대한 모니터링 자료를 이용하였다. Neonicotinoid계 농약의 총 노출량을 개별 과채류별로 구분하여 확률적 평가를 실시한 결과 neonicotinoid계 농약 5종의 총 노출량의 극단값은 0.087~0.236 ${\mu}g$/kg/day의 범위를 보였다. 확정론적 접근법의 결과와 비교했을 때 총 노출량의 평균치는 거의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노출량의 $95^{th}$ percentile값에 서는 확률적 접근법의 결과가 확정론적 접근법의 결과에 비해 38.8 ~ 62.0%의 수준으로 낮게 나타났다. 총 노출량에 대한 민감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 acetamiprid의 총 노출량은 딸기 섭취를 통한 노출량에 크게 영향을 받으며, 특히 딸기의 섭취량 보다는 딸기 중 acetamiprid 잔류량 수준에 더 크게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thiacloprid를 제외한 나머지 3종의 neonicotinoid계 농약에서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xposure assessment of Korean consumers to five neonicotinoid pesticides in fruit vegetables cultivated in Korea, using a probabilistic approach. We used five neonicotionid pesticides residues(acetamiprid, clothianidin, imidacloprid, thiacloprid, thiamethoxam) data in fruit vegetables reported by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for the 2009 monitoring programme. Total exposure of five neonicotinoid pesticides for Korean consumer ranged from 0.087 to 0.236 ${\mu}g$/kg/day at the $95^{th}$ percentile. The $95^{th}$ percentile values of total exposure of five neonicotinoid pesticides by probabilistic approach were lower than those by deterministic approach, although mean values of total exposure by probabilistic approach were similar with those of total exposure by deterministic approach. Total exposure to acetamiprid residue may be mainly due to the exposure to acetamiprid through the consumption of strawberry. Also, acetamiprid residues in strawberry were considered as much more contributory factor to total exposure of acetamiprid than consumption data of strawberry. This contributory properties of acetamiprid were similar with those of all other neonicotinoid pesticides, excluding thiaclopr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