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aluations of Ecological Habitat, Chemical Water Quality, and Fish Multi-Metric Model in Hyeongsan River Watershed

형산강 수계의 생태 서식지, 화학적 수질 및 어류의 다변수모델 평가

  • Kim, Yu-Pyo (College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An, Kwang-Guk (College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김유표 (충남대학교 생명시스템과학대학) ;
  • 안광국 (충남대학교 생명시스템과학대학)
  • Received : 2010.05.15
  • Accepted : 2010.06.20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This study was to evaluate ecological conditions of Hyeongsan River watershed from April to September 2009. The ecological health assessments was based on Qualitative Habitat Evaluation Index (QHEI), water chemistry during 2000~2009, and the fish multi-metric model, Index of Biological Integrity (IBI). For the study, the models of IBI and QHEI were modified as 8 and 11 metric attributes, respectively. Values of IBI averaged 25.4 (n=6), which is judged as a "fair" condition (C) after the criteria of Barbour et al. (1999). The distinct spatial variation was found in the IBI. Physical habitat health, based on the values of QHEI, varied from 76 in the downriver (H6) to 150.5 in the headwater (H1) and was evidently more disturbed in the downriver reach. Values of BOD and COD averaged 2.4 $mgL^{-1}$ (range: 0.3~13.8 $mgL^{-1}$) and 4.3 $mgL^{-1}$ (scope: 0.6~12.8 $mgL^{-1}$), respectively during the study period. Total nitrogen (TN) and total phosphorus (TP) averaged 3.0 $mgL^{-1}$ and 103.5 ${\mu}gL^{-1}$, respectively, indicating a severe eutrophication, and the nutrients increased more in the downriver than the headwater. Overall, physical, chemical and IBI parameters showed a typical downriver degradation along main axis of the river from the headwater-to-the downriver. This was mainly attributed to livestock waste and residential influences along with industrial discharge from the urban region.

본 연구는 형산강 수계 6개 지점을 선정하고, 2009년 4월과 9월에 조사를 실시하여 이 화학적 수질, 물리적 서식지 분석을 통하여 어류 분포특성 및 생태 건강도를 진단하였다. 생물통합지수(Index of Biological Integrity, IBI) 모델 분석은 국내 하천의 특성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8개 다변수 메트릭 모델을 이용하였고, 물리적 서식지 평가지수(Qualitative Habitat Evaluation Index, QHEI)분석은 11개의 다변수 메트릭 모델을 적용하였다. 형산강의 1, 2차 생태 건강도 조사 결과 평균 25.4(n=6)로 "보통상태" (C)로 나타났다. 1차 조사 결과 평균 25로 "보통상태" (C), 2차 조사 결과 평균 25.7로 "보통상태" (C)로 나타났다. 물리적 서식지 평가 결과 최상류 H1에서 150.5로 "양호상태" (B)로 나타났으며, 하류인 H6에서 76으로 "보통상태" (C)로 나타나 하류로 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 화학적 수질 분석은 형산강 수계의 환경부 수질 측정망 자료 중 2000년부터 2009년까지 10년간의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형산강의 지난 10년간 평균 BOD 값은 2.4 $mgL^{-1}$ (범위: 0.3~13.8 $mgL^{-1}$)로서 우리나라 수질기준(2010년 1월의 환경부 기준고시)에 의거할 때 II (약간 좋음) 등급을 보였고, COD 역시 큰 변이를 보이며(범위: 0.6~12.8 $mgL^{-1}$), BOD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TN의 평균값은 3.0 $mgL^{-1}$ (범위: 0.3~10.4 $mgL^{-1}$)이고, TN 역시 형산강이 경주시를 지나면서 TN이 증가한 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TP의 평균값은 103.5 ${\mu}gL^{-1}$(범위: 0~606 ${\mu}gL^{-1}$)로 TN과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SS는 7.5 $mgL^{-1}$ (범위: 0.1~25.2 $mgL^{-1}$)로 하류로 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전체적으로 본류 지점은 하류로 갈수록 건강성이 악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경주시를 관통하면서 수질이 악화되었고, 생활하수, 산업폐수 및 분뇨처리수가 유입되어 이와 같은 결과가 나타난 것으로 사료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영숙, 김영섭. 2004. 영일만 수질의 시, 공간 변동에 미치는 담수유입의 효과. 환경생물 22(1): 57-65.
  2. 김영철, 이동률, 황길순. 2005. 하구호 유입하천의 유역특성에 따른 장기대표 수질결정. 대한환경공학회지 27(3): 262-272.
  3. 김유표, 안광국. 2010. 형산강 수계의 수질특성. 한국하천호수학회지 43(1): 150-160.
  4. 김익수, 박종영. 2002. 한국의 민물고기. 교학사.
  5. 김익수, 최 윤, 이충렬, 이용주, 김병직, 김지현. 2005. 원색한국어류대도감. 교학사.
  6. 나진성, 김상돈, 안광국, 장남익. 2005. 폐수처리장의 전 방류수 독성 평가 및 방류수 배출하천의 생지표도 영향분석. 대한환경공학회지 27(4): 353-361.
  7. 안광국, 김자현. 2005. 물리적 서식지평가기법 및 어류 다변수 평가모델에 의거한 대전천의 생태학적 건강도 진단. 한국육수학회지 38(3): 361-371.
  8. 양홍준, 채병수. 1994. 형산강 하류수역의 어류상과 군집구조. 한국육수학회지 27(1): 23-32.
  9. 양홍준. 1979. 형산강산 잉어과 어류상. 한국수산과학회지 12(1): 65-70.
  10. 양홍준. 1982. 영남지역(낙동강, 형산강, 태화강)의 잉어과 어류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41pp.
  11. 이완옥, 노세윤. 2006. 특징으로 보는 한반도 민물고기. 지성사.
  12. 이창수. 2008. 점오염원 유입이 형산강하류 수질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환경과학회지 17(10): 1075-1080.
  13. 이창수. 2009. 형산강 하류 적조발생시 수질 및 수문학적 특성 검토. 한국환경과학회지 18(10): 1155-1162.
  14. 임완택. 1980. 형산강의 어류상에 관한 연구.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15. 장민호, 최기룡, 주기재. 2001. 울산지역(가지산) 상류하천의 어류군집. 한국육수학회지 34(3): 239-250.
  16. 전재인, 이동석, 이동철. 1999. 형산강 하구의 Ecosystem 연구 (2) -이화학적 수질 특성-. 환경관리학회지 5(2): 219-227.
  17. 전재인, 이동철. 2000. 형산강 하구의 Ecosystem 연구 (3) -기후적 요인-. 환경관리학회지 6(3): 323-332.
  18. 포항시 환경위생과. 1999. 환경백서. 412pp.
  19. 환경부. 2008. 수생태계 건강성 조사 및 평가 최종보고서. 국립환경과학원.
  20. Allison, H.R., B.J. Freeman and M.C. Freeman. 2007. Riparian influences on stream fish assemblage structure in urbanizing streams. Landscape Ecol 22: 385-402. https://doi.org/10.1007/s10980-006-9034-x
  21. Barbour, M.T., J. Gerritsen, B.D. Snyder and J.B. Stribling. 1999. Rapid bioassessment protocols for use in streams and wadeable rivers: periphyton, benthic macroinvertebrates and fish, 2nd Ed., EPA 841-B-99-002. US EPA Office of Water, Washington, D.C., USA.
  22. Horton, R.E. 1945. Erosional development of streams and their drainage basins: hydrophysical approach to quantitative morphology. 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Bulletin 56: 275-370. https://doi.org/10.1130/0016-7606(1945)56[275:EDOSAT]2.0.CO;2
  23. Judy, R.D., Jr. P.N. Seeley, T.M. Murray, S.C. Svirsky, M.R. Whitworth and L.S. Ischinger. 1984. National Fisheries Survey. Vol. 1. Technical Report : initial findings. United States Fish and Wildlife Service. FWS/OBS-84/06.
  24. Karr, J.R. 1981. Assessment of biotic integrity using fish communities. Fishieries 6: 21-27. https://doi.org/10.1577/1548-8446(1981)006<0021:AOBIUF>2.0.CO;2
  25. Margalef, R. 1958. Information theory in ecology. Gen. Syst. 3: 36-71.
  26. Moon, Y.H., J.M. Park, J.G. Son and K.H. Kim. 2001. Change in water quality on upper stream of Mankyeong River. Kor. J. Environ. Agric. 20(3): 252-257.
  27. Ohio EPA. 1989. Biological criteria for the protection of aquatic life. Vol. III, Standardized biological field sampling and laboratory method for assessing fish and macroinvertebrate communities. USA.
  28. Pielou, E.C. 1975. Ecological diversity. Wiley. New York. 165pp.
  29. Plafkin, J.L., M.T. Barbour, K.D. Porter, S.K. Gross and R.M. Hughes. 1989. Rapid bioassessment protocols for use in streams and rivers: benthic macroinvertebrate and fish. EPA/444/4-89-001. Office of water regulations and standards. US EPA. Washington, D.C., USA.
  30. Shannon, C.E. and W. Weaver. 1949.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Urbana.
  31. Simpson, E.H. 1949. Measurement of diversity. Nature 163: 688. https://doi.org/10.1038/163688a0
  32. Strahler, A.N. 1957. Quantitative analysis of watershed geomorphology. American Geophysical Union Transactions 38: 913-920 https://doi.org/10.1029/TR038i006p00913
  33. U.S. EPA. 1993. Fish field and laboratory methods for evaluating the biological integrity of surface waters. EPA 600-R-92-111. Environmental Monitoring systems Laboratory- Cincinnati office of Modeling, Monitoring systems, and quality assurance Office of Research Development, US EPA, Cincinnati, Ohio 45268, US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