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Korean social workers’ burn-out factors and personal traits i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field, and also examined the effect and correlation between their professionality, social support and supervision. Methods: Data (N=46) from 46 social workers working at hospice and palliative care field were collected, and the data were analyzed for the inferential statistics using t-test, ANOVA,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with the SPSS 12.0 program. Results: General factors of the burn-out were age and work experience. The effect of the organization environment is greatly dependant on social support and supervision, and the burn-out were protected when workers got an emotional support from their family. For the workers with supervision, the less negative feeling, the better for the burn-out protection. Furthermore, the low burn-out was thought about when professional organization, self regulation, job vocation and autonomy were utilized. Regression analysis needed that the burn-out were protected well when individual autonomy among expertise was guaranteed. As for social support, vertical support was able to protect physical burn-out. Conclusion: The training program for social workers in hospices and palliative care field is essential to reduce and prevent the burn-out. Hospice should be more activated and a training program with up-to-date knowledge and information should be adopted.
목적: 본 연구는 한국 호스피스 완화의료에 개입하고 있는 사회복지사의 소진에 관한 요인과 보호요인에 관한 연구이며 요인분석에 있어서는 전문적 역량, 사회적 지지 그리고 수퍼비전으로 구분하여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방법: 표집대상은 사회복지 활동을 시행하고 있는 의료기관을 주요 대상 기관으로 선정하고, 46부의 설문지가 분석 자료로 활용되었다. SPSS 12.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 T-test, ANOVA 그리고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을 활용하였다. 결과: 전문적 역량에 따른 사회복지사의 소진 분석에서는 대체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음으로 조사되었으며 회귀분석 결과 서비스 신념, 자기규제 신념 그리고 직업 소명의식이 소진보호요인으로 분석되었고, 사회적 지지에서는 상사의 지지가 신체적 소진과 정서적 소진을 보호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슈퍼비전의 지식, 평가, 귄위 항목이 사회복지사의 비인간화를 보호하는 중요 변수임을 또한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사회복지사의 소진 극복을 위하여 전문적 교육, 사회적 지지 그리고 수퍼비전의 체계적 구축을 위한 구조적 지원과 개인이 극복하고자 노력하는 적극적인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이루어질 때, 소진에 대한 극복과 전문가로서의 자리매김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