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to improve the Recognition System of North Korea's Technical Qualification

북한 기술자격 인정 제도의 개선 방안 연구

  • Won, Sang-Bong (Human Resource Development Korea University of Technology and Education) ;
  • Yi, Kee-Woo (Human Resources Development Serivice of Korea)
  • 원상봉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인력개발학과) ;
  • 이기우 (한국산업인력공단)
  • Received : 2010.07.12
  • Accepted : 2010.08.10
  • Published : 2010.08.31

Abstract

The number of North Korean refugees entering South Korea since the mid 1990s has increased continuously and recently the number has reached 2 million people, which is expected to continue to rise. In the meantime, the government of South Korea has been developing various means to help the North Korean refugees take part in our society and to increase their self-reliance. In this study, improvements were made to systems where North Korean national qualifications are made eligible for use in South Korea, to help them better adapt to our society. The research conducted a Delphi survey of 70 professional qualified workers, training specialists, qualified professionals, researchers and government agents, and 6 interviews were carried out to North Korean refugees and qualified judges. The results complement the current system, in terms of eligibility qualification procedures, where the department's role in its qualification procedure is enhanced and practical experiences are added to the procedure.

남한에 입국하는 북한이탈주민의 수는 1990년대 중반부터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최근에는 그 수가 2만여명에 이르고 있으며, 앞으로도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동안 정부에서는 북한이탈주민들이 우리사회의 일원으로 자립 자활의지를 갖고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제도를 발전시켜 왔다. 이 연구에서는 북한이탈주민이 남한사회에서 경제적으로 적응할 수 있는 실제적인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북한에서 취득한 자격을 국가기술자격으로 인정하는 제도를 개선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위하여 자격시행 전문가, 교육훈련 전문가, 자격 연구자 및 정부기관 전문가 70명을 대상으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에 따라 현행 북한자격 인정 제도를 보완하는 측면에서 자격인정 절차에 소관부서의 역할을 강화하고, 자격인정 방법에 경력을 추가하는 방향으로 개선안을 마련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통일부 보도자료. 2010.3.26.
  2. 윤덕용.강태규, "탈북자의 실업과 빈부격차에 의한 갈등과 대책 : 탈북자들의 경제문제에 관한 설문조사결과를 중심으로", 통일연구 1, 1997.
  3. 윤덕용, "탈북자 적응의 사회경제적 문제 : 보호관찰관에 대한 설문결과를 중심으로", 통일연구 4, 2000.
  4. 윤인진, "탈북자의 남한사회 적응실태와 정착지원의 새로운 접근", 한국사회학 33(3), 1999.
  5. 이금순, "북한주민의 국경이동 실태 : 변화와 전망", 서울: 통일연구원, 2005.
  6. 선한승.강일규.김영윤.윤인진.이영훈.정성훈.김화순, "북한이탈주민의 취업실태와 정책과제 연구". 서울: 한국노동연구원, 2005.
  7. OECD. Qualifications systems-bridges to lifelong learning. OECD. 2007.
  8. 강순희.김안국.박성재.김주섭.김승택.김덕호.정주연.박충열, "자격제도의 비전과 발전방안", 서울: 한국노동연구원, 2002.
  9. 김태기, "직업훈련촉진법, 자격기본법제정 및 직업능력개발원의 설립에 관한 연구", 서울: 교육부, 1996.
  10. 김상진, "자격검정제도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4.
  11. Maurizi, Alex. Occupational Licensing and Public Interest. The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82(2). 1974.
  12. Muzondo, Timothy R. & Pazderka, Bohumir. Occupational Licensing and Professional Incomes in Canada. The Canadian Journal of Economics, 13(4). 1980.
  13. Carroll, L. & Gaston, Robert J. Occupational Restrictions and the Quality of Service Received : Some Evidence. Southern Economic Journal, 47(4). 1981.
  14. Kleiner, Morris M. & Kudrle, Robert T. Does Regulation Affect Economic Outcomes? The Case of Dentistry. Journal of Law and Economics, 43(2). 2000.
  15. Kleiner, Morris M. & Ham, Hwikwon2005. Regulation Occupations: Does Occupational Licensing Increase Earnings and Employment Growth.?. NBER working paper.
  16. 통일부, "북한이탈주민의 자격 및 경력인정 방안 연구", 서울: 통일부, 2000.
  17. 안혜영, "북한이탈주민의 남한 사회적응과 사회복지적 대응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0.
  18. 강일규.김철희.김영윤.이은구, "남북한 직업교육훈련분야의 교류 및 협력방안 연구",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0.
  19. 박영범.최훈, "경제특구에서의 북한노동력 활용 방안", 서울: 노동부, 2003.
  20. 임을출, "북한돕기위한 창구 다양하게 존재", 통일한국 5, 1997.
  21. 조동호, "북한의 노동제도와 노동력 실태", 한국개발연구원, 2000.
  22. 최수영, "북한의 산업구조 연구", 서울: 통일연구원, 2005.
  23. 손문경, "북한이탈주민의 사회 적응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2.
  24. 이화정, "북한이주민의 경제적 적응실태와 관련요인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25. 김학성, "북한이탈주민북한이주자의 남한사회적응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26. 유시은.전우택.조영아.홍창형.엄진섭, "남한 내 북한이탈주민의 3년간 사회적응 추적 연구", 통일연구 9, 2008.
  27. 김화순, "북한이탈주민의 고용에 미치는 요인 연구: 인적자본 및 노동시장구조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기술교육대학교 테크노인력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28. 박종윤, "북한이탈주민의 실태와 적응방안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8.
  29. 노동부 내부자료. 2009.
  30. 황지욱, "델파이기법을 활용한 남북한 지방자치단체의 교류.협력 전망과 접경지역의 기능변화", 국토계획 39(1), 2004.
  31. Thach. E. C., & Murphy,K. L. Competencies for distance education professionals. Educational Technology Peserch and Develpment, 43(1). 1995.
  32. 김병성, "교육연구방법", 서울: 학지사, 1996.
  33. 박도순, "교육연구방법론", 서울: 문음사, 1993.
  34. Bugler, M. W. A three-round Delphi-study of critical characteristics of the model doctoral level educational technology program.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Iowa. 1995.
  35. 최윤미, "비지니스 영어 평가내용 개발을 위한 델파이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1.
  36. 이종성, "델파이 방법". 서울: 교육과학사, 2001.
  37. Linstone, H. A. & Turoff, M. The Delphi Method : Techniques and Applicatons, Rearing, Mass. : Addison-Wesley Pub. Co., Advanced Book Program. 2002.
  38. Anderson, E. T. Important sistance education practices: A Deliphi Study of administrators and coordinators of distance education programs in higher educa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Idaho. 1997.
  39. Murry, J. W., & Hammons, J. O. Delphi: A versatile Methodology for conducting qualitive research. The Review of Higher Education, 18(4). 1995.
  40. 고재천, "학교중심 교사연수 프로그램의 평가 준거 설정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997.
  41. 조현준, "델파이 기법을 통한 실험목적 설정과 교사와 학생들의 인식 비교",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42. Ewing, D. M. Future competencies needed in the preparation of sesretaries in the Illinois using the Delphi techniqu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Iowa. 1992.
  43. 조은상.신명훈.정태화.김수원.박동열, "실용영어 인증방안 연구(I) : 실용영어 평가도구 모형설계를 중심으로-",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