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aluation of Parameter Characteristics of the Storage Function Model Using the Kinematic Wave Model

운동파모형을 이용한 저류함수법 매개변수의 특성 평가

  • 최종남 ((주)도화기술종합공사) ;
  • 안원식 (수원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 김형수 (인하대학교 사회기반시스템공학부) ;
  • 박민규 (고려대학교 방재과학기술연구센터)
  • Received : 2010.07.23
  • Accepted : 2010.08.09
  • Published : 2010.08.31

Abstract

The storage function model is one of the most commonly used models for flood forecasting and warning system in Korea. This paper studies the physical significance of the storage function model by comparing it with kinematic wave model. The results showed universal applicability of the storage function model to Korean basins. Through a comparison of the basic equations for the models, the storage function model parameters, K, P and $T_l$, are shown to be related with the kinematic wave model parameters, k and p. The analysis showed that P and p are identical and K and $T_l$ can be related to k, basin area, and coefficients of Hack's law. To apply the storage function model throughout the southern part of Korean peninsular, regional parameter relationships for K and $T_l$ were developed for watershed area using data from 17 watersheds and 101 flood events. These relationships combine the kinematic wave parameters with topographic information using Hack's Law.

저류함수법은 한국의 홍수예경보시스템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강우-유출 모형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저류함수법의 매개변수를 운동파모형과 비교하여 물리적 의미를 고찰하고 국내 하천유역에서의 일반적인 적용방법을 도모하고자 한다. 두 모형의 기본적인 방정식을 이론적으로 비교한 결과 저류함수법에서 저류량과 비선형관계인 유출량의 멱승을 나타내는 P와 운동파모형에서 유출수심과 비선형관계를 보이는 단위폭당 유량의 멱승을 나타내는 p가 동일하다고 볼 수 있었다. 또한, 저류함수법에서 저류상수와 지체시간을 나타내는 K와 $T_l$은 운동파모형에서 유역특성상수를 나타내는 k, 유역면적 그리고 Hack의 법칙의 계수를 이용하여 관계식을 제시할 수 있었다. 이와 함께 한국에서의 저류함수법의 일반적인 적용을 위해 K와 $T_l$에 관한 매개변수 추정을 위한 식을 제안할 수 있었다. 이러한 관계식은 국내 전국에 산재한 17개의 댐지점에서의 101개의 호우사상으로부터 얻어졌다. 이들 관계식은 운동파 모형의 매개변수와 국내 하천유역에 대해 새롭게 발전된 형태로 얻어진 Hack의 법칙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 (2004) 용담댐 및 미호천에 대한 금강홍수예경보시스템개선. 연구보고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 건설교통부 (2005) 홍수예보모형의 성능평가 및 개선 연구(1차). 연구보고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3. 건설교통부 (2006) 홍수예보모형의 성능평가 및 개선 연구(2차). 연구보고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4. 고석구, 안상복, 윤재홍 (1991) 최적화 기법에 의한 저류함수 모형의 자동보정. 수자원연구소 연구발표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pp.33-44.
  5. 곽재원, 김덕길, 홍일표, 김형수 (2009) 강우-유출모형을 위한 매개변수 순차보정기법 연구. 한국습지학회지, 한국습지학회, 제11권, 제2호, pp.107-121.
  6. 김범준, 송재현, 김형수, 홍일표 (2006) 저류함수모형의 매개변수보정과 홍수예측 (1) 홍수예측방법의 비교 연구.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6권, 제1B호, pp.39-50.
  7. 김범준, 곽재원, 이진희, 김형수 (2008) 저류함수모형의 매개변수보정 및 추정.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8권, 제1B호, pp.21-32.
  8. 김종래, 김주철, 정동국, 김재한 (2006) 동적효과를 고려한 저류함수모형의 최적매개변수 결정.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9권, 제7호, pp.593-603.
  9. 김주철, 이상진 (2009) Hack의 법칙과 집수평면의 기하학적 특성,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2권, 제9호, pp.691-702. https://doi.org/10.3741/JKWRA.2009.42.9.691
  10. 김태균, 윤강훈 (2007) SCS 초과우량산정방법을 이용한 저류함수법 적용.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0권, 제7호, pp.523-532.
  11. 박봉진, 차형선, 김주환 (1997) 유전자 알고리듬을 이용한 저류함수모형의 매개변수 추정에 관한 연구.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0권, 제4호, pp.347-355.
  12. 배덕효 (1997) 저류함수법을 이용한 추계학적 실시간 홍수예측모형 개발.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0권, 제5호, pp.449-457.
  13. 배덕효, 정일문 (2000) 저류함수법에 의한 추계동역학적 하도홍수추적모형의 개발.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3권, 제3호, pp.341-350.
  14. 송재현 (2006) 홍수수문곡선 모의를 위한 저류함수모형의 매개변수 보정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인하대학교.
  15. 송재현, 김형수, 홍일표, 김상욱 (2006) 저류함수모형의 매개변수보정과 홍수예측 (1) 보정 방법론과 모의 홍수수문곡선의 평가.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6권, 제1B호, pp. 27-38.
  16. 심순보, 김선구, 고석구 (1992) 최적화 기법에 의한 저류함수 유출모형의 자동보정.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12권. 제3호, pp.127-137.
  17. 윤용남 (2007). 수문학 - 기초와 응용 청문각.
  18. 윤재홍, 고석구, 김양일 (1991) 최적화 기법에 의한 저류함수 유출 모델의 자동 보정. 수공학논총, 제33권, pp.88-101.
  19. 이동희, 김진훈, 배덕효 (2004) 저류함수모형 매개변수의 불확실성 평가. 한국수자원학회학술발표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20. 이정규, 이창해 (1996) 저류함수법의 시변성 매개변수 조정에 퍼지이론 도입에 관한 연구.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29권, 제4호, pp.149-160.
  21. 이정규, 김한섭 (2000) 홍수예보를 위한 통합저류함수모형의 퍼지제어 (I) - 이론 및 모형의 수립.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3권, 제6호, pp.689-699.
  22. 정동국, 전용운, 이범희 (2008) 저류함수모형 매개변수 산정 개선방법의 한강유역 적용. 한국방재학회논문집, 한국방재학회, 제8권. 제2호, pp.149-158.
  23. 정상만, 김현수, 안계헌, 노순안, 이성재 (1993) 저류함수법에 의한 주요지점의 홍수위 예측. 수공학연구발표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pp.369-375.
  24. 정종호, (2006) 홍수량 산정을 위한 실무적 방법의 개발, 박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25. 한국수자원공사, (2004) 댐의 수문학적 안정성검토 및 치수능력증대 기본계획 수립, 기술보고서.
  26. Aoki, H., Usui, N., Kon, H. (1976) One estimation method of the lag time in the storage function method, Journal Research of PWRI, The public works research institute, 18 (6), pp.29-43.
  27. Aoki, H., Ishizaki, K., Kishiii, T., Haesegawa, T. (1979) The research report in the experimental basin in all Japan, Journal Research of PWRI, The public works research institute, 21 (8), pp.23-30.
  28. Eagleson, P.S. (1970) Dynamic hydrology. McGraw-Hill.
  29. Hack, J.T. (1957) Studies of longitudinal profiles in Virginia and Maryland. US geological survey professional paper, 294-B, pp.45-97.
  30. Hoshihata, K. (1972) On the relation between rainfall and runoff - mainly on a watershed slope. Jap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31. Kimura, T. (1961) The flood runoff analysis by the storage function model. The public works research institute, Ministry of construction.
  32. Kuribayashi, M., Sadamichi, N. (1969) The characteristics and runoff analysis method in a drainage system. Technical report. The public works research institute.
  33. Martian, A., Rinaldo, A., Rigon, R., Giacometti, A., Rodriguez- Iturbe, I. (1996) Scaling laws for river networks. Physical review E. 53(2), pp.1510-1515. https://doi.org/10.1103/PhysRevE.53.1510
  34. Laurenson, E.M. (1964) A catchment storage model for runoff routing, Journal of Hydrology, ASCE, 2, pp.141-193. https://doi.org/10.1016/0022-1694(64)90025-3
  35. Laurenson, E.M. (1965) Storage routing methods of flood estimation, Inst. Eng. Aust. Civ. Eng. Trans., pp.39-47.
  36. Nagai, A., Kadoya, M., Sugiyama, H., Suzuki, K. (1982) Synthesizing storage function model for flood runoff analysis, Disaster Pres. Res. Inst. Annu. Kyoto Univ., 25B-2, pp.207-220.
  37. Prasad, R. (1967) A nonlinear hydrologic system response model, Proc. ASCE, HY4, pp.201-219.
  38. Rigon, R., Rodriguez-Iturbe, I., Martian, A., Giacometti, A., Tarboton, D.G., Rinaldo, A. (1996) On Hack's law. Water Resources research, 32(11). pp.3367-3374. https://doi.org/10.1029/96WR02397
  39. Sugiyama, H., Kadoya, M., Nagai, A., Lansey, K. (1997) Evaluation of the storage function model parameter characteristics, Journal of Hydrology, ASCE, 191, pp.332-348. https://doi.org/10.1016/S0022-1694(96)0302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