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Fire Prevention Activities and Suppression Measures of Utility-Pipe Conduit

지하공동구 화재예방활동 및 진압대책에 관한 연구

  • 이정일 (서울중부소방서 경영.행정학)
  • Received : 2010.04.28
  • Accepted : 2010.07.08
  • Published : 2010.08.31

Abstract

Utility-Pipe Conduit is, Housing and city effectively accommodate what they absolutely need power, communications, gas, pipeline, water supply, drainage, energy facilities etc, according to expansion of urban infrastructure are derived, several ways to solve problems in, collection facilities in place are maintained and managed facility. If Utility-Pipe Conduit is damaged, as well as national security, because their impact on society as a whole, by introducing large vulnerability in the fire prevention activities and suppression measures and disaster for our situation by introducing measures,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fire risk, it shall establish fire prevention activities and suppression through analysis of Utility-Pipe Conduit design, institutional issues, the problem of fire protection facilities, fire spread phenomenon etc. Because of Utility-Pipe Conduit is an enclosed place, so incomplete combustion due to lack of oxygen supply that there are problem such dark smoke, carbon monoxide etc, toxic combustion products and heat generation and visual impairment is an issue difficult to enter. As well as fire prevention activities, the fire In light of the particularity of the under ground than above ground fire, so this phenomenon is weak fire fighting that fire to become effective fire fighting tactics, basically it is necessary difficulty softening, non-burn softening and prevent combustion expansion of the cable is installed on the Utility-Pipe Conduit, having to considering the specificity of the response command system and relevant organizations to establish an on-site, Structural identification and other information gathering required to record of Response agencies, keep air conditioning system 24 hours and strengthening Virtual Total Training of Response agen

지하공동구는 도시 및 공동주택 단지에 반드시 필요한 전력, 통신, 가스, 송유관, 급 배수, 에너지시설 등을 효과적으로 수용하고 도시기반시설의 확장에 따라 파생되는 여러 가지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시설물을 한곳으로 모아 유지 및 관리하는 시설이다. 지하공동구가 훼손될 경우 국가안보는 물론 사회전반에 미치는 파장이 지대하므로 화재예방 활동 및 진압대 책상 취약점 등을 분석하여 우리 실정에 맞는 방재 대책을 도출하여 공동구의 설계, 제도적인 문제, 방화시설의 문제, 화재확산현상 등을 분석하여 종합적인 화재위험을 분석하여 화재예방활동과 진압대책을 수립하여야 한다. 지하공동구는 밀폐 폐쇄된 공간이므로 산소공급 부족으로 인한 불완전 연소 등으로 농연, 일산화탄소 등 유독성연소생성물의 발생과 열기의 충만 및 시야장해로 진입이 곤란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현상은 지상화재보다는 지하 화재의 특수성에 비추어 볼 때 화재예방활동은 물론이고 소방전술에서 취약하므로 화재의 효율적인 소방전술이 되기 위해서는 화재의 특이성을 감안하여 유관기관에서는 현장대응 지휘체제를 확립하고, 대응기관에서는 평상시 공동구에 대한 구조파악과 필요한 각종 정보를 수집 기록하고 24시간 관리공조체제 유지 및 대응기관에서 가상종합훈련을 강화하여야하며 근본적으로 공동구내에 설치되어 있는 케이블의 난연화 불연화 및 연소 확대 방지를 위한 대책 등이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재선 (2000) 지하공동구안전관리대책. 서울시립대학교지진방재연구소. 전기 학술세미나 자료집.
  2. 권왈순 (2001) 공동구 안전관리 및 방재성능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박승민 (2002) 지하공동구 미분무 소화설비 적용에 관한 실험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서울시시설관리공단 (2004) 공동구 현황. 서울시시설관리공단.
  5. 서울시시설관리공단 (2005) 21C 공동구발전을 위한 공동구 워크숍 결과. 서울시시설관리공단.
  6. 오정규 (2005) 지하공동구 화재위험 분석 및 유지관리 개선방안에 관한연구.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윤명오 (2000) 지하공동구 설계기준 개발 및 안전관리 대책연구. 서울특별시.
  8. 융도엔지니어링 (2001) 공동구 소방, 방재 및 보안시설 설계종합보고서. 시설관리공단.
  9. 조영길 (1998) 전력케이블의 화염전파 특성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소방방재신문 (1998) 지하구 화재의 특이성과 소방대책.
  11. LG화재 (2001) 케이블 방재 대책. LG화재 기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