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tus of Local Disaster Prevention by Regional Types - Focusing on Gangwon-do -

지역유형별 지역방재력에 관한 실태분석 - 강원도를 중심으로 -

  • Received : 2010.05.10
  • Accepted : 2010.06.04
  • Published : 2010.08.31

Abstract

The 14 cities and guns within Gangwon-do were divided into three regions (urban-rural-integrated type, urban type, and ruralcoastal type), and local voluntary disaster prevention organizations in those regions were surveyed as sample groups. As a result, the urban-rural-integrated type and the urban type were found to be lower than the rural-coastal type in all domains including recognition of disaster crisis, evacuation guidance, preparation of voluntary evacuation, maintenance of disaster prevention system, surveillance & guard, and information delivery. In particular, three types had higher information delivery but considerably lower preparation of voluntary evacuation. As for information delivery, foundations for rapid delivery of disaster information due to establishment and extension of systems for forecasting and warning of local governments were prepared, but as for preparation of voluntary evacuation, it is needed not only to perform consistent training and promotion for preparation for disasters for residents to accurately understand status of disasters but to take measures to secure safe places for evacuation beforehand.

강원도내 14개 시군을 3개 지역(도농통합형 지역, 도시형 지역, 농촌해안형 지역)으로 나누고 지역에 거주하는 지역자율방재단을 표본집단으로 하여 설문조사한 결과, 도농통합형 지역과 도시형 지역이 농촌해안형 지역보다 재해위험인지능력, 피난유도능력, 자주피난 대비정도, 방재체제 정비정도, 감시경계능력, 정보전달능력 등 모든 분야에서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정보전달능력은 3개 지역 모두 높게 나타났으나 자주피난 대비정도는 매우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이는 정보전달능력의 경우 지방정부의 예 경보시스템 증설과 신규 설치로 인하여 재난정보를 신속히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이 구축되었지만 자주피난 대비 정도는 주민 스스로가 재해 상황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재난대비 교육과 홍보를 실시하고 더불어 사전에 안전한 대피장소 확보방안 등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경남 (2007) 지역재난관리의 주민조직 활성화 방안, 강원발전연 구원 보고서.
  2. 김경남 (2008) 지역방재력 평가 연구, 강원발전연구원 보고서.
  3. 김경남, 권건주 (2007) 지역재난관리의 주민조직 활성화 방안 연구: 주민의식 조사를 중심으로, 2007년 국제위기관리 학술회의 논문자료집(충북대학교, 11.8-11.10), pp.285-295.
  4. 김경남, 권건주, 백민호 (2009) 지역방재력 평가에 관한 연구(2):강원도를 중심으로, 한국방재학회논문집, 제9권 제1호, pp.81-89.
  5. 소방방재청 (2007) '07년도 지자체 하반기 재난관리 평가 지침.
  6. 鍵屋一 (2003), 地域防災力强化宣言: 進化する自治体の震災對策, pp.153-193.
  7. 梶 秀樹 (2007) 都市防災學-地震對策の理論と實踐, pp.167-181.
  8. 山本 正典 (2004) 地震防災における協働: 地域防災力の向上を目指して(출처:http://www.i.ho sei.ac.jp/~muto/dialogue.html).
  9. 三木洋一 등 (2007) 土砂災害の視点から見た地域防災力の評価 手法の-考察.(출처:http://www.sff.or.jp/H19 Gakkai08.pdf#search='土砂災害に關する地域防災計の現狀とその問題点').
  10. 松田曜子 (2007), 低頻度大規模災害に備えるこ目的としたリスクコミュニケ一ション手法に 關する硏究, 京都大學 學位論文, pp.15-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