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knowledgement
이 연구는 2006년도 경희대학교의 지원에 의해 수행되었습니다.
The Palgye Plain, located in Chilgok, Buk-gu, Daegu-si, is a floodplain by Palgye-River rising from Mt. Ga one of the mountains in Ring Typed Mountains of Mt. Palgong. The geomorphic surfaces in the study area can be divided into the natural levee, back marsh and confluent fan, and the natural levee and fan have been used as important regions of human activities since the Bronze Age. The alluvium sediments of Palgye-River can be subdivided into the bedrocks, lower gravel deposits, lower sandy deposits, lower silty deposits, upper sand and gravel deposits, and upper silty deposits from the bottom according to the formative ages. The lower gravel deposits correlated to the last glacial stage and the rest to Holocene, respectively. Confluent fans were also formed during the last glacial stage. Moreover, The landscape with land use after 20C was changed to apartment area due to civilization differently from which reflected the characteristics of geomorphic surfaces in the past.
대구광역시 북구 칠곡에 위치하는 팔계평야는 팔공산 가장자리를 둘러싼 환상산맥의 한 봉우리인 가산에서 발원하는 팔계천에 의해 형성된 범람원이다. 조사지역의 지형면은 자연제방과 배후습지 그리고 합류선상지로 구분되며, 자연제방과 선상지면은 청동기시대부터 인간생활의 주요한 공간으로 이용되었다. 팔계천 범람원 퇴적층은 하부에서부터 기반암, 하부역층, 하부사층, 하부실트층, 상부사력층, 표층인 상부실트층으로 세분된다. 하부역층은 최종빙기에 퇴적되었으며 나머지 층준은 홀로세 범람퇴적물이다. 선상지도 최종빙기에 형성되었다. 2000년대 이전의 토지경관은 지형면의 특징을 반영하였으나 이후에는 도시화로 인하여 거의 아파트단지가 조성되면서 지형경관은 크게 바뀌었다.
이 연구는 2006년도 경희대학교의 지원에 의해 수행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