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산(牙山) 탕정평야(湯井平野)의 화분분석(花粉分析)

Pollen Analysis on Tangjeong Plains, Asan-Si, Korea

  • PARK, Ji-Hoon (Dept. of Geography Education,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JANG, Dong-Ho (Dept. of Geography, Kongju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10.05.21
  • 발행 : 2010.06.30

초록

충남 아산 탕정평야의 충적층을 대상으로 화분분석과 연대측정을 실시하였다. 시료채취지점은 해발고도 약 12m로 현재 냉온대 중부 삼림대에 속한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조사지역 일대는 약 2,810yrB.P. 이후 크게 TJ-I기(期)(Pinus가 우점하는 침엽수림시대) → TJ-II기(期)(Pinus·Quercus가 우점하는 침·활혼효림시대) → TJ-III기(期)(Pinus가 우점하는 침엽수림시대)로 변천했다. TJ-II기(期)는 다시 TJ-IIa기(期)와 TJ-IIb기(期)로 세분된다. 각 시대의 연대를 보면, TJ-I기(期)는 약 2,810-1,500yrB.P., TJ-IIa기(期)는 약 1,500-1,370yrB.P., TJ-IIb기(期)는 약 1,370-770yrB.P. 그리고 TJ-III기(期)는 약 770yrB.P. 이후이다. 각 시대를 전국적 후빙기 화분대와 대비하면, TJ-I기(期)와 TJ-II기(期)는 후빙기 후기(RIII) 중에서 RIIIa 그리고 TJ-III기(期)는 RIII 중에서 RIIIb(인간간섭의 시대)에 대비된다. 그리고 탕정평야 일대의 구릉지에서 삼림파괴가 본격화 되어 2차림으로서 소나무림의 분포역이 확대되었던 시기는 약 770yrB.P. 이후라는 것이 밝혀졌다.

In this study, pollen analysis and a dating were performed on the alluvial deposits in the Tangjeong Plains in Asan-Si, Chungcheongnam-Do. Specimens were collected at the altitude of about 12m, which belongs to the mid-forest belt in the cool temperate zone. The followings show the results. In general, the target zone passed through TJ-I (the coniferous forest age in which the Pinus forest was dominant), TJ-II (the mixed conifer and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age in which Pinus and Quercus were dominant) and TJ-III (the coniferous forest age in which the Pinus was dominant) respectively. TJ-II was subdivided into TJ-IIa and TJ-IIb. TJ-I is presumed to be between about 2,810 and 1,500yrB.P.; TJ-IIa to be between about 1,500 and 1,370yrB.P.; and TJ-IIb to be between about 1,370 and 770yrB.P. As for TJ-III, it is presumed to begin after about 770yrB.P. In comparison with the nationwide pollen zone during the Postglacial, TJ-I and TJ-II are contrasted with the R-IIIa period and also TJ-III is contrasted with RIIIb (so-called human interference age). It is also presumed that Pinus luxuriated there after about 770yrB.P. as forests began to be markedly destroyed in the Tangjeong Plains.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를 진행하는 과정에 있어서 여러 가지로 도움을 주신 충청문화재연구원의 한창균 원장님과 배상훈 선생님 그리고 가경고고학연구소의 오규진 소장님과 류창선 실장님(당시 충청문화재연구원 소속)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그리고 실험과 자료정리를 도와 준 실험실의 차일영선생, 복미희선생, 김정영선생, 홍준의군에게 고마움을 표합니다. 이 연구는 기상청 기상지진기술개발사업(CATER 2009-3115)의 지원으로 수행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