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기 환경복원을 위한 식물규소체의 특성과 연구 성과에 대한 논의

Discussion about Characteristics and Study Results of Phytolith for the Quaternary Paleoenvironmental Reconstruction

  • 황상일 (경북대학교 지리학과) ;
  • 김효선 (경희대학교 지리학과) ;
  • 윤순옥 (경희대학교 지리학과 및 기초과학연구소)
  • HWANG, Sangill (Dept. of Geograph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KIM, Hyo-Seon (Dept. of Geography, Kyung Hee University) ;
  • YOON, Soon-Ock (Dept. of Geography and Research Institute for Basic Sciences, Kyung Hee University)
  • 투고 : 2010.09.06
  • 발행 : 2010.09.30

초록

식물 세포와 조직 사이에 형성된 규산염인 식물규소체는 특히 벼과식물에서 다양한 형태로 많이 산출되고, 분석 결과는 제4기 기후와 환경변화 복원 및 농경활동 가능성을 밝히는데 기여한다. 식물규소체는 물리적, 화학적 풍화에 대한 저항력이 강하며 토양에서 장기간 보존되지만, 제자리에 퇴적되는 특성으로 인하여 연구성과의 적용 공간은 제한된다. 식물규소체는 반복성과 중복성으로 동정이 어렵고, 분류체계도 완성되지 않았으므로 우리나라에서 적용할 수 있는 식물규소체 형태분류를 시도하였다. 식물규소체 분석 결과를 통한 고환경복원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식물규소체의 기후지시자와 함께 Iph와 Ic 등 기후지수를 이용하여 고해상도의 고기후복원도 가능하다.

Phytoliths, silica microfossil that produced within and between cells and tissues of plants are especially yielded in Gramineae with many different forms and can attribute to the reconstruction of climatic and environmental changes and agriculture activity of the Quaternary. The phytoliths in soil can remain for long periods of time, because of strong resistance to physical and chemical weathering. The spatial range of study is too small due to deposition of phytoliths directly to the soil. There are difficulties of phytoliths identification because of multiplicity and redundancy, so far uniform and exact classification scheme has not been adopted. Therefore we attempted phytolith classification system applied to Korea. The paleoenvironmental reconstruction research using phytholith are applicated in many parts of studies. Also high-resolution paleoclimatic reconstruction expected to be possible using phytolith indices of Iph and Ic as well as climatic indicator of phytolith morphology.

키워드

과제정보

이 연구는 기상청 기후변화 감시·예측 및 국가정책 지원 강화사업(RACS 2009-3002)의 지원으로 수행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