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Post Occupancy Evaluation of PAJU Book City

파주출판문화정보산업단지의 이용후평가

  • 권니아 (건축사사무소 엔.아이.에이)
  • Received : 2010.02.16
  • Accepted : 2010.03.24
  • Published : 2010.04.30

Abstract

PAJU Book City Plan was designed to integrate two concepts of "Publishing Productive City" and "Ecological City" with the goal of "bringing of human being and nature together". This research on the post occupancy evaluation on PAJU Book City has two aims; One is to define how people, mainly working there rather than living, recognize the city and the other is to identify the problems resulted from the first phase of planning process and to suggest feasible solutions at the same time. It would be desirable that the outcome of this research should be used as data sources to improve the second phase of the plan. The evaluation criteria were created by the pre-survey on the basis of previous researches and "Pa Ju publishing city architectural design guide book (1999)". With those criteria, on-site questionnaire was conducted among people who work in PAJU Book City and stratified sampling was used for the proper sampling. The result is as follows; the visual-aesthetic criteria had positive response, which also closely related to a city satisfaction. Considering this result, construction type, circumferential environment of the building and a place of building form were found appropriate. The evaluation on the physical-ecological criteria was relatively low. Respondents were unsatisfied with green space and required better ecological waterway and more roadside tree. As green space was given a lot of weight in satisfaction survey, more green urban areas should be planned in the next phase. The evaluation on the social-behavior criteria got the lowest score. Particularly, the accessibility and convenient facilities were remarkably low. Nonetheless, the self-conceit about PAJU Book City was highly evaluated and played a crucial role in a city satisfaction.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physical beauty, characteristics as a publication city as well as an ecologically sustainable city should be main agenda in the second phase of Paju Book City Plan. Consequently, it is important to strike a balance between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image media in order that PAJU Book City should be re-born as a culture city.

Keywords

References

  1. 강부성, 박진호. 2004. 가구형 집합주택의 거주후 평가 연구-일본 지바현 마꾸하리 베이타운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지 계획계 제20권 5호 pp.3-10
  2. 강순주. 2006. 친환경 인증 공동주택의 거주후 평가-S아파트 단지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지 계획계 제22권 9호, pp 91-99
  3. 권오복, 유창민, 이은희, 이재근. 2005. 대형 종합경기장 외부공간의 이용후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제8권 2호 pp 56-64
  4. 김세순. 2008. 파주출판단지의 조성계획지침과 시행실태 비교분석, 충남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5. 김세천, 허준. 1992. 전주시 도시공원의 이용행태분석 및 관리실태에 대한 만족도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제20권 2호 pp.90-105
  6. 김용수, 박찬용. 2006. 도시경관계획을 위한 지표의 연구경향과 유형,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국토계획' 제41권 5호, pp 117-129
  7. 김은애. 2007. 파주출판단지의 업체간 연계와 외부효과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김인혜, 허근영, 최아현, 김유일. 2003. 병원 옥상 정원의 이용후 평가-서울 아산병원을 대상으로-. 한국조경학회지 제31권 1호 pp.58-73
  9. 김신원, 허준, 박윤진. 2000. 서울시 마을마당의 이용후 평가. 한국조경학회지 제27권 5호 pp.94-107
  10. 김혜진. 2007. 산업클러스터 관점에서 본 파주출판문화정보산업단지의 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 석사학위논문
  11. 노미영. 2007. 친환경 캠퍼스 평가 기준 도출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12. 문장욱. 1997. 파주 출판문화정보산업단지 정체성 계획,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3. 민현식. 2006. 건축에게 시대를 묻다. 경기 : 돌베게출판사
  14. 박원규, 안건용. 1998. 주거단지의 환경지속성 평가지표 개발을 위한 중요 평가항목 선정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제26권 3호 pp.225-237
  15. 백혜선, 박영기. 2002. 공동주택단지내 옥외생활공간에 대한 거주자 의식조사 및 이용행태분석연구. 대한건축학회지 제18권 2호 pp.87-94
  16. 서경화, 심우갑, 박영원. 2001. 시각적 가치를 활용한 거주 후 평가의 주요구 예측 가능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 제17권 7호 pp.65-72
  17. 서주환, 김도경, 최성숙, 김대환. 1999. 아파트 옥외공간 차별화 요소에 대한 주민 만족도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제27권 3호 pp.98-109
  18. 이경재, 김정호, 배정희, 이용주. 2004. 파주출판문화정보산업단지 갈대 샛강 생태계 보전, 복원 기술개발, 한국조경학회지, 2004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pp83-87
  19. 이경훈, 정요진. 2006. 공동주택의 중요설계 요소 도출 및 요소별 거주 만족도에 관한 연구-거주자와 설계자간의 중요도 인식 비교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지 계획계 제22권 4호 pp.3-12
  20. 이규인, 오수호, 김기수, 이재준. 1998. 국내 복합공동주택 이용 후 평가를 통한 개발방향 연구. 대한건축학회지 계획계 제14권 2호 pp.47-58
  21. 이동원, 김광호, 최영준, 임성재, 이경희. 1998. 최근 사무소 빌딩의 정보화에 대한 거주 후 평가.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 논문집 제18권 1호
  22. 이수동. 2004. 파주출판단지의 건축기획 개선을 위한 연구 : 파주출판단지 기획서와 완공건물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3. 이시영. 1997. 주거단지 외부공간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국토계획' 제32권 3호 pp.125-138
  24. 이신혜, 조세환. 2005. 생태공원 이용 후 평가-여의도 샛강 사례연구-. 한국조경학회 05춘계학술논문발표회 초록집
  25. 이지애. 2007. 도시전시로서의 건축, 서울시립대 석사학위논문
  26. 임승빈. 1986. 조경계획 설계론, 보성문화사
  27. 조명래. 2005. 파주출판도시의 긴장과 딜레마, 문화과학 통권 제41호, pp.173-193
  28. 파주출판문화정보산업단지 사업협동조합. 1999. 파주 출판문화정보 산업단지 건축설계지침서
  29. 한상현, 김광식. 1999. 수도권 신도시 주민의 공공시설에 대한 거주 후 만족도 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국토계획' 제34권 6호 pp.41-59
  30. 함지현. 1997. 아파트 단지의 배치패턴에 따른 옥외환경평가 : 분당 시범단지 초고층/고층/저층단지를 사례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황선이, 최재영, 최무혁. 2004. 테크노파크의 거주 후 평가에 의한 이용자 만족도 조사연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제24권 2호
  32. http://www.pajubookcity.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