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f Quantitative Evaluation Indicators on Residential Units in Multiple Stock Housing based on Space Composition Types

공동주택 단위주호의 공간구성유형에 따른 정량적 평가지표에 관한 연구

  • 이병호 (주식회사 서울건축부설 하이테크설계연구소) ;
  • 이건원 (주식회사 서울건축부설 하이테크설계연구소) ;
  • 여영호 (고려대학교 건축학과)
  • Received : 2010.08.20
  • Accepted : 2010.09.30
  • Published : 2010.10.30

Abstract

This research investigated 162 residential unit plans which were located in Seoul and Gyonggi Province ranging from 58 to $118m^2$ unit net area recently.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unit plans, a matrix was developed based on the 5 criteria for space composition types. 5 criteria are building stock types, W/D ratio of units, unit net area, number of bay to the main orientation, and openness types. After review the matrix, 10 typical unit types were selected. At the same time, quantitative evaluation indicator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4 criteria such as efficiency, openness, flexibility,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On each criterion, 3 indicators were developed, and measured on 162 residential unit plans. Firstly, correlation analysis were pursued on 5 criteria for space composition types and 12 quantitative evaluation indicators, and reviewed on each other. Finally, quantitative evaluation indicators of 10 typical unit types were displayed on radar charts in order to show the integrated evaluation on 4 criteria such as efficiency, openness, flexibility,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From the reviews and radar chart analyses, advantages, disadvantages, and improvements on each typical unit type were presented as research results.

Keywords

References

  1. 국토해양부 고시 제2008-652호, 건축물의 에너지절약설계기준
  2. 김민규, 공동주택의 발코니 확장에 따른 평면변화에 대한 연 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5(7), 2009, pp.149-156.
  3. 김시현 외 4인, 공동주택의 에너지 성능 최적화를 위한 개방 유형별 외피성능,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8(1), 2008, pp.555-558.
  4. 김치훈 외 3인, 외피 열성능에 따른 건물에너지효율등급 분석 연구,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29(5), 2009, pp59-64.
  5. 노성식 외 2인, 대구지역 초고층 주거복합건물 단위세대평면 의 효율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제24권 제2호, 2008.02.
  6. 문봉주, 탑상형 주거의 개방성 확보를 위한 계획 경향, 서울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p.27.
  7. 배정민 외 2인, 민영아파트 평면계획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주거학회지 12(2), 2001, pp.1-12.
  8. 복나영 외 5인, 아파트와 초고층주거복합건축물의 거주성 조 사 연구, 한국주거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2009, pp.115-120.
  9. 서울특별시, 서울특별시 건축위원회 공동주택 심의기준
  10. 심영섭.김두식, 초고층아파트의 평면구성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41, 2003, pp.112-120.
  11. 심우갑 외 2인, 국내 아파트 단지에 적용된 탑상형 주거동의 계획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계획계) v.17 n.10 2001. 10.
  12. 이용광, 탑상형 초고층 주거건축의 단위평면 특성에 관한 연 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13(5), 2004, pp.90-97.
  13. 이재훈.정낙헌, 공동주택 단위주호의 전산모델 평가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1(12), 2005, pp.81-90.
  14. 조극래.박몽섭, 외기인접방식별 공동주택 단위평면 특성분석 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2(1), 2006, pp.67-74.
  15. 조종수, 초고층 공간계획의 디자인 요소와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19(1), 2010, pp.3-15.
  16. 최재필, 공간구문론을 사용한 국내 아파트 단위주호 평면의 시계열적 분석,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12(7), 1996, pp.15-28.
  17. 최재필 외 3인, 국내 아파트 단위주호 평면의 공간 분석,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0(6), 2004, pp.155-1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