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vestigation of Original Landscaping in the Vicinity of Yongyun and Hwahongmun in Suwon Hwaseong

수원 화성 용연(龍淵)과 화홍문 일곽의 원형경관 탐색

  • Rho, Jae-Hyu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Urban Design, Woosuk University) ;
  • Choi, Jong-Hee (Division of Environmental Design and Urban Horticultural Science, PaiChai University) ;
  • Shin, Sang-Sup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Urban Design, Woosuk University)
  • 노재현 (우석대학교 조경도시디자인학과) ;
  • 최종희 (배재대학교 환경디자인학부) ;
  • 신상섭 (우석대학교 조경도시디자인학과)
  • Received : 2010.05.17
  • Accepted : 2010.06.23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data for the restoration of 'Yongyun(龍淵)' and 'Hwahongmun(華虹門)' through an investigation of the vicinity of their original landscapes at the time of construction of Hwaseong in Suwon and through tracing the transformative process of the environments of this vicinity. The results are as follows; As identified by 'Yongyunjung(龍淵亭)' and 'Yongdugak(龍頭閣)', other names of Yongyun, 'Banghwasuryujung(訪花隨柳亭)', which was built on 'Yongduam', is a facility whose place identity is highlighted with a sense of unity with Yongyun. The south lakefront of Yongyun, bordering Banghwasuryujung, has boundaries that make the best use of the natural geographical features of Yongduam while the current circumference of Yongyun is comparatively shorter than its original state. The size of 'Joongdo(中島)', however, seems to be an example of apparent over-design complement and reorganize 'Joongdo', which had been restored larger than its original state at the time of restoration in the 1970s. The depth of 'Yongyun' was created to be lower than the actual depth, without consideration for its initial depth, as soil was accumulated through continuous flooding after it was created. It is assumed that the original drains which were installed about 10m inside the lake were created facing the stream. As regards the planting environment, a circular planting of willows was made in the outskirts of 'Yongyun', except the 'Yongduam' which is a pure forest, and a mix of 'Pinus densiflora', shrubbery and deciduous broad leaf trees was planted in 'Joongdo'. Of the plants growing in the area of this study, plant species introduced to Korea after Hwaseong was constructed are found, most of which provide interest and attraction. The old pine trees growing in a group once grew in the castle areas of the vicinity even in the 1920s,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but they disappeared from the area in the aftermath of subsequent urban development and the Korean War. Although restored to the site, the number and space taken up by these trees are insignificant compared to those of the original environment.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the following is considered necessary for the true restoration of the vicinity of 'Yongyun' and 'Hwahongmun': First, the grounds of 'Yongyun' should be dredged deeply enough to expose the bedrock and should be recreated in the rough outline of a half moon by extension to the southwest toward 'Yongduam' and 'Hwahongmun', and the size of 'Joongdo' should be significantly reduced. Secondly, considering that most plant species, except the pine trees and wild trees in 'Yongduam', are non-native plants introduced in order to provide such attractions such as the appreciation of scenic areas, they should be replaced with native species, mainly with the pine trees which were utilized during the construction of Hwaseong. The weeping willows planted in the 'middle-island' should be relocated to the outskirts of 'Yongyun', and replaced with pine trees as the major trees and maple trees or deciduous broadleaf trees to fill in the gaps. Thirdly, exotic species such as the 'Pinus rigida' planted in a group around 'Banghwasuryujung' and 'Bugammun' and 'Pinus strobus' planted in the vicinity of Hwahongmun' should be removed.

수원 화성을 건설할 당시 용연과 화홍문 일곽의 모습을 원형경관으로 보고, 이 일대 경관의 변모과정을 추적하여 원형 복원을 위한 자료 제공 목적으로 시도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용연(龍淵)은 '용연정', '용두각'이라는 이칭에서도 확인되듯이, 용두암 위에 지어진 방화수류정은 용연과 일체감을 갖는 장소정체성이 부각된 시설이다. 방화수류정에 접한 용연의 남측 호안은 용두암의 자연지형을 최대한 이용하여 경계를 삼았으며, 현재 용연의 둘레길이는 원형보다 상대적으로 짧은 반면, 용연내 중도 크기는 1970년대 복원시 이미 원형보다 확대 복원된 중도를 보완하여 재정비한 명백한 과설계(過設計)의 사례로 보인다. 또한 용연의 깊이는 조성 후 지속적인 범람 등으로 복토된 상태에서 초기의 깊이를 상정하지 않은 채 실제 깊이보다 낮게 조성되었다. 그리고 현재 약 10m가량 들여서 설치된 토수구의 원형적 모습은 유천에 맞대어 시설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용연의 식재경관은 용두암을 제외한 외곽으로는 버드나무가 단순림으로 환식되고, 중도에는 소나무와 관목성 낙엽활엽수를 혼식한 것으로 보인다. 조사대상 일원의 도입 식물 중에는 화성 건설 이후에 국내에 도입된 수종이 식재되고 있으며, 대부분 유락과 볼거리 제공을 목적으로 한 식재로 일관하고 있다. 또한 일대 성곽에는 일제 강점기인 1920년대만 하더러도 노송이 무리지어 심겨진 모습이 발견되나, 그 이후 도시개발과 한국전쟁의 여파로 조사지역에서 자취를 감추었고, 1980년대 이후 식재사업등 복원과정을 통해 재현되고 있으나 그 식재량은 원형경관에 비해 매우 미미한 실정이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용연과 화홍문 일곽 원형 경관의 진정한 복원을 위해서는 첫째, 용연 지반은 암반이 노출되도록 깊이 준설하고, 용두암과 화홍문 방향의 남서측으로 확장하여 불규칙한 반달 형태로 재조성하는 한편 중도의 크기는 대폭 축소하여야 할 것으로 본다. 둘째, 소나무나 용두암에 자생하는 식물상을 제외하면 대부분의 수종은 경승지로서의 관상 등 볼거리 제공의 목적으로 도입된 비 향토수종으로 처리되고 있음에 따라 화성 축성시 활용된 소나무를 중심으로 한 향토수종 위주로 대체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중도에 식재된 능수버들은 용연 외곽으로 처리하고, 중도는 소나무를 주목(主木)으로, 단풍나무나 화목의 낙엽활엽수 등을 첨목(添木)으로 하는 수종 전환이 요구된다. 셋째, 방화수류정에서 북암문 주변에 군식된 리기다소나무와 화홍문 인근에 식재된 스트로브잣나무 등의 외래종은 배격되어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국회문화관광위원회(2005) 화성복원 및 보존에 관한 공청회 자료. 수원 화성연구회.
  2. 김동훈, 강건희(2002) 역사적 문화유산 수원 화성의 보전과 개발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10(10): 35-42.
  3. 김두규(2005) 풍수학사전. 서울: 비봉출판사.
  4. 김영모, 이선, 진상철, 정종수(2004) 화성 행궁의 식생경관 복원을 위한 고증과 복원방향 설정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2(4): 39-53.
  5. 김영택(2007) 김영택의 펜화기행 수원 화성: 선의 아름다움. 중앙일보 2007년 2월 1일자.
  6. 김준혁(2008) 이산 정조. 꿈의 도시 화성을 세우다. 서울: 여유당출판사.
  7. 김학범, 윤종태(2002) 화성(유천성)과 버드나무에 관한 연구. 한국정원학회지 20(4): 46-54.
  8. 김현정, 김정태(2004) 성곽의 야간경관조명 실태조사: 세계문화유산 수원화성을 중심으로.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pp. 49-56.
  9. 노재현(2008) 수원팔경의 형성과정과 문화경관적 함의. 한국조경학회지 36(1): 90-102.
  10. 박동석, 정종수, 이재근, 최종희(2007) 수원 화성의 조망점과 조망경로를 고려한 경관보존. 관리방안.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5(3): 1-25.
  11. 박방룡, 손영식, 송의정, 은광준(2000) 징검다리 건너 석성에 오르다. 서울: 다른세상.
  12. 백종철(2007) 정조시대 화성의 가로. 녹지가로. 녹지. 수리 체계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백종철. 김용기(2007) 정조시대 화성의 가로. 녹지. 수리체계에 관한 연구(I): 가로체계를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5(3): 26-39.
  14. 백종철, 사공영보, 김용기(2007a) 수원 화성의 녹지체계에 나타난 정조의 식목관과 식목 정책: 1910-1960년대 사진과 윤한음의 그림을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5(4): 37-51.
  15. 백종철, 사공영보, 김용기(2007b) 조선시대 수원 화성의 녹지특성.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5(3): 26-39.
  16. 서울대학교 규장각(1994) 화성성역의궤 상. 서울: 보경문화사.
  17. 손민호, 최종희, 이우균(2004) 수원성 방화수류정 권역의 입지와 공간구성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2(4): 103-111.
  18. 수원군(1936) 수원관광지도.
  19. 수원시(2002a) 세계문화유산 '화성' 수리백서. 수원: 화홍문화사.
  20. 수원시(2002b) 수원 근.현대사 증언 자료집II. 수원: 경기출판사.
  21. 수원시(2004) 수원도시변천사. 수원: 웅지기획원.
  22. 수원시. 수원문화원(1999) 수원지명총람.
  23. 수원역사박물관(2008) 근대수원100년 수원역사박물관 개관기념특별전. 서울 풀피리.
  24. 수원화성박물관(2009a) 수원화성박물관 도록. 수원: 도서출판 우일.
  25. 수원화성박물관(2009b) 화성을 걷다. 회성을 보다. 수원: 도서출판 우일.
  26. 수원화성박물관(2010) 사진으로 보는 화성. 백년의 여정 수원: 우리사.
  27. 윤종태(2002) 수원화성(유천성) 원형경관에 나타난 버드나무에 관한 연구. 한경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이동근(2010) 일제 강점기. 화성을 통해 본 식민지의 초상. 수원화성박물관. 사진으로 보는 화성. 백년의 여정. 수원: 우리사.
  29. 전영옥, 이상문(2008) 전통도시 화성의 수로조영에 나타난 생태적 계획원리 연구. 국토계획 43(5): 123-134.
  30. 정리의궤청(1801) 화성성역의궤.
  31. 정재훈(2005) 한국전통조경. 파주: 도서출판조경.
  32. 정정남, 이혜원(2006) 의궤에 기록된 건축용어연구: '화성성역의궤'에 기록된 梁上塗灰를 중심으로. 화성학연구 2: 97-126.
  33. 조선총독부(1911) 수원지적도.
  34. 최무장(1975) 수원성곽 축조의 문헌적 조사. 문화재지 9: 1-33.
  35. 최영진(1973) 화성성역 당시의 식수조경에 관하여. 기전문화연구 제3집: 163-171.
  36. 황경숙(1994) 이무기 설화와 기후제: 밀양 호박소를 중심으로. 한국민속학보 4: 177-211.
  37. 度邊周-(1985) 朝鮮總督府製作 一萬分一朝鮮地形圖集成. 東京 柏書房株式會社
  38. http://blog.naver.com/seastar1954
  39. http://kyujanggak.snu.ac.kr/sub_index.jsp?ID=GZD
  40. http://local.daum.net/map/index.jsp
  41. http://maps.google.co.kr/
  42. http://museum.suwon.ne.kr/
  43. http://news.itimes.co.kr/Default.aspx?id=view&classCode=Z02&seq=369231
  44. http://www.ggcf.or.kr/Books/PDF/hwasung_Part5.pdf
  45. http://www.hwasong.org/bxe
  46. http://www.suwon.com/news/articleView.html?idxno=397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