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상징물과 도시 이미지에 대한 비교 분석

An Analysis of the Comparison between the Image of the Landmarks in Daejeon

  • Byeon, Jae-Sang (Dept. of Environment and Landscape Architecture, Shingu University) ;
  • Kim, Dae-Soo (Dept. of Urban Environmental Landscape Architecture, Hyechon University) ;
  • Lee, Jung-Soo (Dept. of Architectur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10.03.09
  • 심사 : 2010.06.11
  • 발행 : 2010.06.30

초록

도시의 미래 모습을 결정하는 도시경관계획의 단계에서 도시 이미지가 어떻게 평가되고 있는가를 분석하여 바람직한 도시 이미지 형성 방향을 설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선행과제가 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시민들이 주체가 되어 도시의 이미지를 어떻게 인지하고 평가하는지를 다차원척도법과 대응일치분석을 이용하여 계량적으로 연구하는데 있으며, 나아가 전문가와 관련 공무원들의 인지 경향을 파악함으로써, 도시 이미지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정량화된 정책 방향 설정에 도움이 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전시 이미지는 주로 역사성, 역동성, 규모성 등에 의해 평가되는 경향이 강하였다. 이러한 기준에 따라 대전시는 전체적으로 새롭고 변화하는 이미지가 강한 도시로 인식되었으며, 공무원들에게는 소박한 느낌의 도시, 전문가들에게는 평범한 느낌의 도시로 인식되고 있었다. 따라서 소박하고 평범한 이미지에 대응할 수 있는 대전시 정체성과 개성을 찾는데 보다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2. 대전시의 이미지에 많은 영향을 끼치는 상징물 혹은 상징적인 공간으로는 갑천이나 둔산 신도심, 대덕연구단지 등을 들 수 있다. 이에 비하여 유성온천과 원도심, 엑스포 공원 등은 대전시와 이미지가 크게 다르게 나타나고 있었다. 이에 따라 대전시의 이미지를 희석시키는 낙후된 시설과 상징물들의 현대적 리모델링이 필요하다. 3. 도시 이미지의 선호도를 알 수 있는 ‘좋은-싫은’의 형용사 이미지의 경우, 일반인과 전문가들에게 있어서는 모두 싫어하는 경향을 나타나고 있었으나, 공무원들은 좋아하는 이미지를 지니고 있었다. 따라서, 세 집단 모두 좋아하는 둔산 신도심이나 대덕연구단지 등과 같은 현대적 첨단산업의 이미지를 투영시킬 필요가 있다. 4. 대응일치분석을 통한 이미지 분포도에서 대전시는 행정도시와 수평적 도시의 특성이 강한 도시로 분류되었다. 기존의 단순한 도시 이미지 분석 연구와는 달리 본 연구에서는 분석 내용을 토대로 비교적 명확한 진단을 통해, 도시의 미래상 및 방향 설정에 도움을 주고자 노력하였다.

It constitutes a very important preliminary step to analyze how city image is assessed in order to determine the direction towards a desirable city image in planning on an urban landscape for future city image. This study aims to quantify the recognition and evaluation of a city image on the part of citizens, using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correspondence analysis. Furthermore, this study hopes to contribute to the quantified policy-making for improving city image by understanding how professionals and civil servants in the related field tend to recognize such image. The results from the study are as follow: 1. The image of Daejon City tends to be assessed strongly in the light of its history, dynamics, and size. While the City is recognized as new and changing in general, the civil servants consider the city as modest, and the professionals as mediocre. Therefore, the City should strive to conceive its own unique identity, which would lessen the current image of modest and mediocre. 2. Gap river, Dunsan New Town, and the Daeduk Reseach Complex turn out to be the symbolic representative venues of Daejon City, inspiring the city’s image. In contrast, Yoosung Springs, the original town, and the Expo Park do not fit the image of the City. The need to renovate these places presents itself. 3. As for the questions using “like” and “not-like”, citizens and professionals show the tendency of not liking the city’s image, whereas civil servants like it. It follows that the City needs to highlight its “modern and high-technological” image, illuminated by Dunsan New Town and Daeduk Reseach Complex. 4. An image positioning drawn from a correspondence analysis shows that the City of Daejeon can be classified as an administrative and horizontal city. As opposed to the prior simplistic analyses of city image, this study attempts to diagnose it accurately, so as to help with the gearing towards city images in the future.

키워드

참고문헌

  1. 경남발전연구원(2007) 경상남도 이미지 분석: 경남과 수도권의 인식을 중심으로. 경남: 경남발전연구원.
  2. 김종호, 변재상, 임승빈(2002) 랜드마크의 영향력 범위와 인지요인과의 관계. 한국조경학회지 30(4): 9-18.
  3. 대전광역시(2003) 대전시 경관형성 기본계획. 대전: 대전시청.
  4. 매경이코노미(2009) 삼성전자가 앙드레김 냉장고 파는 까닭. 2009년 9월 16일자.
  5. 박광배(2000) 다차원척도법. 서울: 교육과학사.
  6. 박영춘(2002) '도시의 이미지'측정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국토계획 37(4): 29-40.
  7. 변재상(2005) 도시 경관 및 이미지 향상을 위한 랜드마크 형성모델.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변재상(2006) 도시 경관 이미지 분석에서 다차원척도법의 적용. (사)한국조경학회 경관계획연구회 제8차 정기 세미나 자료집 "행정중심복합도시. 활력있는 경관도시".
  9. 변재상(2008a) 개인차 척도법을 이용한 도시 이미지 인지 경향 연구: 성남시를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36(4): 83-99.
  10. 변재상(2008b) 도시별 이미지 전략 요인의 경향 분석. 한국조경학회지 36(2): 80-98.
  11. 변재상(2009) 국내 도시 이미지 및 브랜드 슬로건의 경향 분석. 대한 국토.도시계획학회지 국토계획 44(6): 105-121.
  12. 변재상, 임승빈, 주신하(2007a) 초고층 랜드마크의 인지거리 및 인지 강도와의 상관관계 분석: 서울시 30층 이상 고층건물을 대상으로. 한국조경학회지 35(4): 90-104.
  13. 변재상, 조예지, 최형석, 김송이, 임승빈(2007b) 도시 마케팅을 위한 도시 이미지 관리방안 연구: 도시 이미지 관리 프로그램 도출을 위한 정량적 분석. 한국조경학회지 35(4): 81-89.
  14. 변재상, 최형석, 신지훈, 조예지, 김송이, 임승빈(2007c) 도시 이미지에 대한 지구 이미지의 기여수준 분석: 부산시를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35(1): 59-68.
  15. 변재상, 최형석, 신지훈, 조예지, 임승빈(2007d) 도시 이미지 구성요소의 기여수준 분석: 과천시를 중심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국토계획 42(3): 163-177.
  16. 변재상, 최형석, 이정원, 임승빈(2006) 도시 이미지에 기초한 도시유형 분류.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국토계획 41(3): 7-20.
  17. 서울시정개발연구원(2005) 서울시 이미지에 관한 다차원 분석 연구. 2005년 8월 공개토론회 자료집.
  18. 성웅현(2000) 응용 다변량분석. 서울: 도서출판 탐진.
  19. 손은영, 김종하(2002) 도시경관의 이미지에 관한 연구: 대구시 청소년을 대상으로.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2(2): 659-662.
  20. 안민호, 박천일(2006) 다차원분석법을 활용한 서울과 8개 주요 도시 이미지 비교 분석 연구. 서울도시연구 7(4): 95-113.
  21. 원태연, 정성원(1999) 한글 SPSS 통계조사분석. 서울: 고려정보산업(주).
  22. 윤장우, 박춘근(2001) 도시 이마지 형태유형요소에 따른 기성시가지의 경관특성 분석. 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17(3): 147-156.
  23. 이우상, 정재용(2005) 'Kevin Lynch'의 대학 캠퍼스 주변 이미지 분석에 관한 연구: 신촌.연세대학교 주변 가로환경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p. 45-61.
  24. 임승빈(2008) 도시경관계획론. 파주: 집문당.
  25. 임승빈, 변재상(2002) 도시경관관리를 위한 스카이라인 형성기법에 관한 연구: 미국 주요 도시의 스카이라인 형성요인과 기법적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도시설계학회지 6(1): 5-18.
  26. 임승빈, 최형석, 변재상(2004) 도시 이미지 분석기법에 관한 연구: MDS에 의한 도시 간 이미지 비교. 한국조경학회지 32(1): 47-56.
  27. 정용문, 변재상(2005) 시민의식에 기초한 공주시 도시 이미지 분석: 도시와 랜드마크의 형용사 이미지 포지셔닝. 한국조경학회지 33(3): 18-30.
  28. 주신하(2003) 도시경관 분석을 위한 경관형용사 선정 및 적용 연구: 과천, 약수 지구단위계획 구역을 대상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9. 주신하, 임승빈(2003) 도시경관분석을 위한 경관형용사 목록 작성. 한국조경학회지 31(1): 1-10.
  30. 홍두승(2001) 사회조사분석. 서울: 다산출판사.
  31. Appleyard, D.(1976) Planning a Pluralist City. MA: The MIT Press.
  32. Appleyard, D., K. Lynch and J. R. Myer(1964) The View from the Road. MA: MIT Press.
  33. Carr, S.(1967) The city of tile mind. In W. R. Ewald, eds., Environment for Man. IN: Indiana University Pres. pp. 197-226.
  34. Lynch, K.(1960) The Image of the City. MA: The MIT Press.
  35. Nasar, J. L.(1998) The Evaluative Image of the City. CA: Sage Publications. Inc.
  36. Noberg-Schulz, C. (1971) Existence. Space and Architecture. NY: Praeger Publication Company.
  37. Pocock, D. and R. Hudson(1978) Images of the Urban Environment. NY: Columbia University Press.
  38. Stamps III, A. E.(2000) Psychology and the Aesthetics of the Built Environment. MA: Kluwer Academic Publishers.
  39. Stea, D.(1969) The measurement of mental maps: an experimental model for studying conceptual spaces. In K. R. Cox and R. G. Golledge. eds., Behavioral Problems in Geography: a Symposium. Ecanston III: Northwestern University Press.
  40. Steinitz, C.(1968) Meaning and the congruence of urban form and activity. Journal of the American Institute of Planners 34(4): 233-248. https://doi.org/10.1080/019443668089778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