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도서관 활용수업에서 사서교사와 교과교사의 협동수업 향상을 위한 교수설계 전략에 대한 연구

A Study of an Instructional Design Strategy for Improving the Collaborative Teaching Between School Librarians and Subject Teachers in Library-Assisted Instruction

  • 투고 : 2010.05.02
  • 심사 : 2010.06.25
  • 발행 : 2010.06.30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도서관 활용수업에서 사서교사와 교과교사의 협동수업을 향상하기 위한 교수설계전략을 개발하는 것이다. 협동수업은 학교 공동체에서 사서교사의 교수자로서의 역할을 강화할 수 있는 중요한 경영 활동이다. 그러나 협동수업의 실천 전략인 도서관 활용수업은 협력수준에서 이루어지고 있으며 자료 선정을 제외하고는 교과교사가 교수-학습활동을 주도하고 있는 실정이다. 도서관 활용수업은 자원기반학습이기 때문에 정보활용교육의 방법적 지식과 교과의 학습주제가 통합되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그리고 수업 준비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시행착오를 줄이고 성공을 확산시킬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도서관 활용수업용 협동수업 설계 전략을 '협동수업 상황기술-공동설계-공동수업-공동평가'와 같이 설정하였다

This study aims for developing an instructional design strategy to improve collaborative teaching between teacher librarians and subject teachers in library-assisted instruction. Collaborative teaching is an important management activity enhancing teaching role of teacher librarians in their school community. But in the actual condition the level of the library-assisted instruction as its practical strategy is cooperation and subject teachers are leading teaching and learning except for selecting resources. Because library-assisted instruction is resource-based learning, the procedural knowledge of information literacy curricula and topics of subject specific curricula should be designed as a whole. Also, there must be possibilities of reducing trial and error and expanding successes. From these sides, the collaborative design strategy for library-assisted instruction can be planned like 'statement of learning situation-co designing-co teaching-co evaluating'.

키워드

참고문헌

  1. 국가법령정보센터. [online]. [cited 2010.6.11]. .
  2. 국립국어원. 2000. 표준국어대사전: 하. 서울: 두산동아.
  3. 노진영, 변우열, 이병기. 2008. 일본의 사회과 교과서 분석을 통한 도서관 활용수업의 적용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2(1): 155-175.
  4. 송곡여자고등학교. 1999. 학교도서관협력수업을 통한 독서활동 활성화 방안: 사서교사와 교과교사의 협력수업을 중심으로. 서울: 同고등학교.
  5. 송기호. 2007. 학교도서관 교육 활성화 전략으로써 통합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8(4): 87-116.
  6. 송기호. 2008a. 교과 연계성 강화를 위한 학습주제 중심의 통합 정보활용교육과정에 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7. 송기호. 2008b. 개별 교과의 고정 시간표를 활용한 도서관 활용수업 활성화 전략에 관한 사례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9(2): 165-186.
  8. 송기호. 2009. 학교도서관 기준의 사명과 비전에 나타난 핵심가치에 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0(3): 225-247.
  9. 송기호. 2010. 사서교사를 위한 학교도서관 경영 시론. 경기: 조은글터.
  10. 이병기. 2006a. 정보활동 중심의 도서관 활용수업 모형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37(2): 25-46.
  11. 이병기. 2006b. 정보활용교육론. 경기: 조은글터.
  12. 한국도서관협회 학교도서관교육과정편찬위원회. 2007. 학교도서관 정보활용교육을 위한 도서관과 정보생활 교과 교육과정 기준.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13. 한윤옥. 1995. 학교도서관의 협동교수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29(4): 257-278.
  14. American Association of School Librarians(AASL), and Association for Educational Communications and Technology(AECT). 1998. Information Power: Building Partnerships for Learning. Chicago: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15. Breivik, Patricia Senn. 1998. Student Learning in The Information Age. Arizona: The Oryx Press.
  16. California School Library Association(CSLA). 1997. From Library Skills to Information Literacy: Handbook for the 21st Century. 2nd. ed. California: Hi Willow Research and Publishing.
  17. Dickinson, Gail. 2006. Achieving National Board Certification for School Library Media Specialists. Chicago: American Library Association.
  18. Doll, Carol A. 2005. Collaboration and the School Library Media Specialist. Maryland: The Scarecrow Press.
  19. Eggen, Paul D. and Kauchak, Donald. 2006. Strategies for TEACHERS: Teaching Content and Thinking Skills. 임청환, 권성기 옮김. 교사를 위한 수업 전략. 서울: 시그마프레스.
  20. Farwell, Sybil. 1998. Successful Models for Collaborative Planning. Knowledge Quest. 26(2): 24-30.
  21. Harada, Violet H. and John M. Yoshina. 2004. Inquiry Learning through Librarian-Teacher Partnerships. London: Linworth Publishing.
  22. Montiel-Overall, Patricia. 2005. "A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Teacher and Librarian Collaboration (TLC)." School Libraries Worldwide, 11(2): 24-48.
  23. Silva, Rufus De and Turriff, Alison. 1993. Developing the Secondary School Library Resources Centre. London: Kongan Page.
  24. Taylor, Joie. 2006. Information Literacy and the School Library Media Center. Wesport, CT: Libraries Unlimited.

피인용 문헌

  1. 구성주의 교육방법의 구현요소로서의 학교도서관 활용수업에 관한 연구 vol.42, pp.2, 2010, https://doi.org/10.16981/kliss.42.2.201106.215
  2. 사서교사와 국어교사의 협동수업이 중학생의 학습흥미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vol.47, pp.2, 2010, https://doi.org/10.4275/kslis.2013.47.2.123
  3. 문헌정보학 분야 정보활용교육에 관한 연구 동향 vol.26, pp.3, 2010, https://doi.org/10.14699/kbiblia.2015.26.3.207
  4. 도서관 활용수업에 대한 사서교사의 자기평가 분석 vol.27, pp.3, 2010, https://doi.org/10.14699/kbiblia.2016.27.3.005
  5. 학교도서관·사서교사 주제 학술논문의 연구 성향 분석 vol.28, pp.4, 2010, https://doi.org/10.14699/kbiblia.2017.28.4.1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