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mparison of Growth Characteristics and Yield of Silage Corn Hybrids by Different Planting Dates at Paddy and Upland Field

논과 밭에서 파종기에 따른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일반생육 및 수량 비교

  • Received : 2010.05.13
  • Accepted : 2010.08.27
  • Published : 2010.09.30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growth characteristics and yield of silage corn hybrids by different planting dates at paddy and upland field. Days to silking by different planting dates at paddy field were 81 days at planting on April 22, 70 days on May 20 and 62 days on June 10, respectively, and they were getting shorter as planting date delaye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ays to silking between paddy and upland field. Plant height in paddy field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at planting on April 22 and on May 20, and it was shortened sharply at planting on June 10.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lant height between paddy and upland fiel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lodging by different planting dates in paddy fiel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lodging between paddy and upland field (P<0.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tay-green by different planting dates in paddy field,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addy and upland field. Ear ratios to total dry matter in paddy field were 43% at planting on April 22, 41% on May 20 and 28% on June 10, respectively, and it was lower as planting date delaye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ar ratios to total dry matter between paddy and upland field. Fresh yields in paddy field were lower with 14% at planting on May 20 and 32% on June 10 compared to on April 22 as planting date delaye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fresh yield between paddy and upland field. Dry matter yields in paddy field were higher with 9% at planting on May 20 and lower with 24% on June 10 compared to at planting on April 22 as planting date delayed. Dry matter yield in paddy field was lower with 9% compared to 1,931 kg/10a at planting on April 22. TDN (Total digestible nutrients) yields in paddy field were higher with 5% at planting on May 20 and lower with 28% on June 10 compared to at planting on April 22 as planting date delayed. TDN yield in paddy field was lower with 11% compared to 1,340kg/10a at planting on April 22.

본 연구는 논에서의 파종기에 따른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생육특성 및 수량을 비교 분석할 뿐 아니라 논과 밭의 생육특성 및 수량도 비교 분석하고자 수행하였다. 논에서의 파종기에 따른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출사일수는 4월 22일 파종기에 81일, 5월 20일 파종기에 70일, 6월10일 파종기에 62일로 파종기가 늦어짐에 따라출사일수는 짧아졌다. 논과 밭 간의 출사일수는 차이가 없었다. 논에서의 간장은 4월 22일 파종기와 5월 20일 파종기 간 차이는 없었으나 6월 10일 파종기에 간장이 급격히 줄어드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논과 밭 간의 간장은 차이가 없었다. 논에서의 파종기에 따른 도복은 차이가 없었으나, 논과 밭 간의 도복은 차이가 있었다. 논에서 파종기에 따른 후기녹체성의 차이는 없었으며 논과 밭 간의 차이도 없었다. 논에서 파종기에 따른 암이삭 비율이 파종기가 늦어짐에 따라 암이삭 비율이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논과 밭 간의 암이삭 비율 차이는 없었다. 논에서의 파종기에 따른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생초수량은 파종기가 늦어짐에 따라 4월 22일 파종기에 비하여 각각 15%, 32% 감소하였다. 논과 밭 간의 생체수량은 차이가 없었다. 건물수량은 5월 20일 파종기가 4월 22일 파종기에 비하여 각각 9% 증가하였으나, 6월 10일 파종기는 4월 22일 파종기에 비하여 24% 감소 하였다. 논의 건물수량이 밭에 비해 9% 감소하였다. TDN 수량은 5월 20일 파종기가 4월 22일 파종기에 비하여 각각 5% 증가하였으나, 6월 10일 파종기는 4월 22일 파종기에 비하여 28% 감소하였다. 그리고 논의 TDN 수량은 밭에 비해 11% 감소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동암, 이광녕, 신동은, 김종덕, 한건준. 1996. 숙기가 다른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파종기가 사초의 수량과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한초지. 16(4):327-337.
  2. 김동암, 조무환, 권찬호, 한건준, 김종관. 1992. 도입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생육특성 및 생산성 비교. I. 지역별 생육특성 및 생산성. 한초지. 12(3):161-172.
  3. 김종근. 정의수, 서 성, 강우성, 양종성, 조영무. 1998. 재식밀도가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수량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한초지. 18(1):49-54.
  4. 김종덕, 김동암, 박형수, 김수곤. 1999. 파종시기 및 품종이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수량과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I. 옥수수의 생육특성 및 사초수량. 한초지. 19(3):211-220.
  5. 문현귀, 손범영, 차선우, 정태욱, 이영호, 서종호, 민황기, 최기준, 허창석, 김석동. 2001. 사일리지용 옥수수 신품종 "광평옥". 한육지. 33(4):350-351.
  6. 손범영, 김정태, 송송이, 백성범, 김정곤, 김종덕. 2009. 파종시기에 따른 국내 육성 사일리지용 옥수수의 수량 및 사료가치의 품종간 비교. 초지조사료지. 29(3):179-186. https://doi.org/10.5333/KGFS.2009.29.3.179
  7. 이석순, 박근용, 정승근. 1981. 파종기가 종실 및 싸일레이지 옥수수의 생육기간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한작지. 26(4):337-343.
  8. 정승근, 이석순, 박승의, 배동호. 1996. 옥수수 재배와 이용의 종합기술. 농민신문사. pp. 253-255.
  9. 지희정, 이종경, 김기용, 윤세형, 임영철, 권오도, 이희봉. 2009. 남부지방 논에서 사일리지용 옥수수 품종의 생육특성, 생산성 및 품질 비교. 초지조사료지. 29(1):13-18. https://doi.org/10.5333/KGFS.2009.29.1.013
  10. Holland, C., W. Kezar, W.P. Kautz, E.J. Lazowski, W.C. Mahanna and R. Reinhart. 1990. The Pioneer Forage Manual-A Nutritional Guide. Pioneer Hi-Bred Int. Inc., Des Moines, IA.
  11. Phipps, R. and M. Wilkinson. 1985. Maize silage. Chalcombe Publications, Bucks SL7 3PU.
  12. Son, B.Y., H.G. Moon, T.W. Jung, S.J. Kim. B.R. Sung, C.S. Huh and S.H. Ryu. 2006. A New Corn Hybrid Cultivar, "Gangdaok" for Silage. Korean J. Breed. 38(2):149-150.

Cited by

  1. The Studies on Growth Characteristics and Dry Matter Yield of Hybrid Corn Varieties in Daegwallyeong Region vol.33, pp.2, 2013, https://doi.org/10.5333/KGFS.2013.33.2.123
  2. Forage Productivity and Feed Value in Triple Cropping Systems with Winter Forage Crops-Silage Corn-Summer Oat Cultivation at Paddy Field in Southern Region of Korea vol.34, pp.2, 2014, https://doi.org/10.5333/KGFS.2014.34.2.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