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perties of the Sintered Eco-brick according to the Unburned Carbon Content of the Coal Briquette Ash

연탄재(煉炭滓)의 미연탄소(未燃炭素) 함량(含量)에 따른 소성(燒成) 에코벽돌 특성(特性)

  • Park, Hong-Kyu (Resources Processing and Recycling, Graduate school, Semyung University) ;
  • Yoo, Seung-Woo (Resources Processing and Recycling, Graduate school, Semyung University) ;
  • Jung, Moon-Young (Department of Biological & Environmental Engineering, Semyung University)
  • 박홍규 (세명대학교 일반대학원 자원순환처리) ;
  • 유승우 (세명대학교 일반대학원 자원순환처리) ;
  • 정문영 (세명대학교 바이오환경공학과)
  • Received : 2010.01.14
  • Accepted : 2010.04.30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Coal briquette use has dramatically increased because of high oil prices. Henc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environment-friendly recycling technique of the coal briquette ash. The coal briquette ash contains a large amount of an unburned carbon content and a mullite with high thermal property, so it is considered to be used as raw materials of sintered eco-brick.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on how the unburned carbon affects properties of the sintered eco-brick. The eco-brick was mixed with the ratio of 50 wt% coal briquette ash having the unburned carbon 10.5 wt% and 50 wt% cullet, then being sintered at $950^{\circ}C$, which of the compressive strength was in line with the first class of the sintered clay brick standard(KS L 4201). In particular, the compressive strength of the sintered eco-brick was equal to the first class of the KS L 4201 despite the increase of mixing ratio for coal briquette ash with 1.0 wt% unburned carbon to 70 wt%.

최근 고유가 시대로 접어들면서 연탄의 사용량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어 이때 발생되는 연탄재의 친환경적인 순화자원화 기술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 연탄재에는 가연성분인 미연탄소와 고온열적특성이 우수한 뮬라이트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소성 에코벽돌의 원료로 적합하다고 판단된다. 이 연구의 목적은 연탄재에 함유되어 있는 미연탄소가 소성 에코벽돌의 특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파악하는데 있었다. 미연탄소 함량 10.5 wt%인 연탄재 50 wt%와 폐유리 50 wt%의 배합비율로 제조한 에코벽돌을 $950^{\circ}C$로 소성한 시험체의 압축강도는 소성 점토벽돌 국내규격(KS L 4201)의 1종 규격에 해당하였다. 특히, 미연탄소 함량이 1.0 wt%인 연탄재의 배합비율을 70 wt%까지 증가시켜 제조한 소성 에코벽돌 시험체의 압축강도는 소성 점토벽돌 1종 규격에 해당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한국광해관리공단, 2009. 8. 1, www.mireco.or.kr
  2. Park S.J. et al., 2007, Removal of unburned carbon from coal briquette ash by flotation, Proceeding of the 9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East Asian Resources Recycling Technology, October 29 - November 2, 2007, Sendai, Japan, pp. 288-291
  3. 현종영, 정수복, 채영배, 2005: 점토벽돌 원료로서 선탄폐석의 활용,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지, 14(4), pp. 3-9.
  4. 김경남, 권재혁, 신대용, 2001: 석탄회(FA)-점토계의 세라믹스 벽돌제조, 한국폐기물학회지, 18(5), pp. 459-467.
  5. 김병규, 최영윤, 길대섭, 2004: 무연탄 석탄회 고함량 벽돌의 사용화를 위한 요소기술 개발, 산업자원부. 연구보고서.
  6. Xu Lingling, Guo Wei, Wang TaO, Yang Nanru, 2005: Study on fired vricks with replacing clay by fly ash in high volume ratio,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19, pp. 243-247. https://doi.org/10.1016/j.conbuildmat.2004.05.017
  7. Gray M.L. et al., 2002: Physical cleaning of high carbon fly ash, fuel processing Technology, Vol. 76, pp. 11-21. https://doi.org/10.1016/S0378-3820(02)00006-1
  8. 이윤종, 권성원, 정문영, 2007: 연탄재의 순환자원화를 위한 부선특성 연구, 한국폐기물학학회 2007년도 하계 젊은 과학자 학술발표회논문집, pp. 108-114.
  9. 유승우, 박홍규, 정문영, 2009: 여난재 부유선별에서 고정 탄소의 산화가 유상포수제 참가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구시스템공학회지, 46(5), pp. 582-588.
  10. 한상목, 신대용, 1998: 저급점토를 이용한 다공질 세라믹스 제조, 한국세라믹스학회지, 35(6), pp. 575-582.
  11. 이선영, 2005: 소다석회 유리 재용융시 알카리 휘발에 관한 연구, 배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129.
  12. 강종봉, 조범래, 1999: 반응소결을 통한 다공성 뮬라이트의 제조, 한국재료학회, Vol. 9, No. 6, pp. 630-634.
  13. 장용선, 1997: 석탄회의 이화학적 변이성과 광학물적 특성, 광물과 산업, 제 10권 제 2호, pp. 8-13.
  14. Schneider H., Schreuer J., Hildmann B., 2008: Structure and properties of mullite-A review, Journal of the European Ceramic society, Vol. 28, pp. 329-344. https://doi.org/10.1016/j.jeurceramsoc.2007.03.017
  15. 도자기 기술교육 교재(4), 2006: 소성기술, 요업(세라믹)기술원 도자기기술교육센터, pp. 463-510.
  16. 이기강, 김동원, 1993: 석탄회-점토계 벽돌소지의 곡강도와 미세구조, 한국결정성장학회지, 3(1), pp. 45-58.
  17. Ven-Gen Lee and Ting-Hao Yeh., 2008: Sintering effects on the development of mechanical properties of fired clay ceramics, Materials science & Engineering, A 485, pp. 5-13. https://doi.org/10.1016/j.msea.2007.07.0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