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탐구 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적 태도 및 과학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과 지도교사들의 자유탐구에 대한 인식 조사

The Effect of the Specific Open-inquiry Lesson on the Elementary Student's Science-related Attitude, Science Process Skill and the Instructing Teachers' Cognition about Open-inquiry

  • 투고 : 2010.10.30
  • 심사 : 2010.12.30
  • 발행 : 2010.12.31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2007년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강조되고 있는 자유탐구를 현장에 원활하게 적용하기 위한 구체적인 지도방안을 구안하여 그것에 따른 자유탐구 수업이 초등학생들의 과학적 태도와 과학탐구능력에 어떠한 영양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또한 자유탐구를 지도한 교사들이 자유탐구에 대해 어떠한 인식을 가지고 있는지를 알아보는것이다. 연구대상은 부산광역시 소재의 동일한 급지에 속한 J 및 S 초등학교의 5학년 각각 1개 반이었다. 실험집단이 속한 J초등학교는 자유탐구 수업을, 비교집단이 속한 S초등학교는 전통적 방식으로 제7차 교육과정에 의한 수업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자유탐구 수업을 한 학생들은 전통적 방식의 수업을 학생들에 비해 과학적 태도에서의 평균 점수가 더 높게 나왔으나 유의미한 차이는 아니었다. 하지만 하위 요소별로 보았을 때 정직성과 비판성의 요소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자유탐구 수업을 한 학생들은 전통적 방식의 수업을 학생들에 비해서 과학탐구능력의 평균 점수도 높아졌을 뿐만이 아니라 그 차이는 p<.05의 수준에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하위 영역에서 보았을 때 기초탐구능력에서 그러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자유탐구를 지도한 교사들은 자유탐구에 대해 '학생들의 흥미를 높이고 과학탐구능력 향상을 위한 자기 주도적 문제 해결학습'이라 생각하였다. 교사들의 자유탐구에 대한 부정적 인식척도는 환경 요인에 다소 높게 치우쳐 있어 환경 요인에 대한 요구가 많이 남아 있음을 보여준다. 그리고 교사들은 자유탐구의 장애요인으로서 주로 학생들의 경험이나 지식의 부족, 학급당 인원수 과다 등을 지적하였으며 자유탐구 정착을 위한 선행 조건으로는 자유탐구 지도를 위한 교육과정과 교재의 개발을 꼽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trive the specific teaching plans based on the frame of 2007 revised science curriculum for applying open-inquiry lesson in real education situation and to research the effects of open-inquiry lesson on the student's science-related attitude, science process skill, and to investigate instructing teachers' cognition about open-inquiry. For this study, two fifth grade classes were chosen, one class was the experimental group, who were taught by open-inquiry based lesson, and another was the comparative group, who were taught by traditional method based less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After open-inquiry lesson, the experimental group students came to enjoy open-inquiry learning and had the positive thought about it. After open-inquiry lesson, the experimental group marked higher mean score than the comparative group in science-related attitude's field but didn't showed the meaningful difference. On the other hand, in science process skill's field,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the significant higher improvement than the comparative one, especially in the subordinate area of basic science process skill. Finally, teachers who instructed students open-inquiry lesson thought open-inquiry lesson is the self-directed problem solving learning which raise the student's science process skill and interest. And the teachers thought the obstacles to instruct open-inquiry lesson are the lack of the student's cognition about open-inquiry and the insufficient circumstance for open-inquiry lesson. Therefore the teachers argued that the prerequisite for settling open-inquiry lesson successfully is to develope open-inquiry lesson curricula and teaching material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