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제한적 키 입력을 갖는 휴대 단말에서의 BIFS 콘텐츠 제어방법

Control Method of BIFS Contents for Mobile Devices with Restricted Input Key

  • 투고 : 2009.12.28
  • 심사 : 2010.04.12
  • 발행 : 2010.05.30

초록

지상파 DMB에서는 양방�� 데이터 서비스를 위하여 MPEG-4 BIFS 규격을 사용하고 있다. BIFS는 콘텐츠의 장면을 구성하는 AV, 이미지, 그래픽, 텍스트 등의 다양한 멀티미디어 객체를 장면상에 표현하고,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아 표현된 객체를 조작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BIFS가 다양한 형태의 입력장치를 갖는 멀티미디어 시스템에 부합되도록 설계되었지만, 오늘날과 같이 제한적 입력장치를 갖는 휴대 단말에 대한 고려가 결여되어 있다. 문제는 DMB 단말들이 제한적 입력을 가질 수밖에 없기 때문에 사용자가 양방향 데이터 콘텐츠를 조작하는 방법이 일관적이지 못하다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콘텐츠 제공자와 사용자간의 통일되고 효율적인 콘텐츠 조작을 위해 현재의 BIFS 규격에 KeyNavigator 노드를 추가로 정의하였다. KeyNavigator 노드는 BIFS 콘텐츠에서 휴대 단말의 방향키를 이용하여 BIFS 객체간의 이동이나 BIFS 객체를 선택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KeyNavigator 노드를 사용함으로써 BIFS 콘텐츠 제공자는 의도하는 바에 따라 콘텐츠를 저작할 수 있고 휴대 단말 사용자에게도 통일되고 효율적인 BIFS 콘텐츠 제어 방법을 제시하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T-DMB is using MPEG-4 BIFS standard format for broadcasting interactive data service. BIFS enables us to represent contents as a scene which consists of various objects such as AV, image, graphic, and text. It also enables us to control objects by using user interaction. BIFS was designed to be adapted to multimedia systems with various input devices. Today, however, we are in lack of considering about mobile device with restricted input unit. The problem is that a consistent user control of interactive data contents is not possible due to the limitations of input units in T-DMB terminals. To solve the problem, we defined KeyNavigator node that provides a means to select or navigate objects (like menu) in BIFS contents by arrow keys and enter key of mobile terminal. By using KeyNavigater node, not only BIFS contents providers can make BIFS contents as they want, but also users can get a way to control BIFS contents consistently and easily.

키워드

참고문헌

  1. ISO/IEC 14496-1:2000 "Inofrmation technology - Coding of audio-visual objects - Part1: Systems"
  2. ISO/IEC 14496-11:2005 "Inofrmation technology - Coding of audio-visual objects - Part11: BIFS"
  3. TTAS.KO-07.0024/R1, "지상파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DMB) 송수신 정합 표준"
  4. TTAS.KO-07.0051, "지상파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DMB) 수신기 규격 표준"
  5. TTAS.KO-07.0026/R1, "지상파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DMB) 비디오 송수신 정합표준"
  6. World DMB Forum, "Digital Radio Receiver Profiles"
  7. 한국전파진흥협회, DMB Monthly, 통권 제5호, November, December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