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Geomorphic Environments and Sediments of Channels at Naeseongcheon River in Gyeongpook Province

경북 내성천의 하도 지형 환경 및 퇴적물 분석

  • Lee, Gwang-Ryul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Teachers Colleg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Cho, Yong-Dong (Gumi High School) ;
  • Kim, Dae-Sik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Teachers Colleg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Kim, Jung-Suk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Teachers Colleg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Jeong, Woo-Heon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Teachers Colleg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Cho, Hyun-Jin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Teachers Colleg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Yun, Kuk-Hyun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Teachers Colleg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이광률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
  • 조영동 (경북 구미고등학교) ;
  • 김대식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지리교육과) ;
  • 김중석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지리교육과) ;
  • 정우헌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
  • 조현진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
  • 윤국현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지리교육과)
  • Received : 2010.01.11
  • Accepted : 2010.03.22
  • Published : 2010.04.01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he geomorphic environments of river channels and properties of sediments in the Naeseong-River basin, a branch of Nakdong-River. While the area at NU1 located in the uppermost reaches indicates the landscapes with the gravel riverbeds, the sand riverbeds can be seen in the downstream of NU2 whose basin consists mostly of the granite regolith. The downstream of NU2 has the braided channels in the beds and this may be due to the large quantities of sand particles supply to the bed under the favorable geologic and geomorphic conditions, properties of river flowing within the floodplains less resistant to the erosion and great fluctuations of discharges. Whereas the river at NU2 may seem that sand particles are actively eroded during the high water-level periods, the particles may be actively deposited during the periods at NM2 and NL2. Moreover, in the reaches of NU2 to NM1 and NL1 to NL2, the mean grain sizes of sediments increase downstream suggesting the other supplies of coarse sediments from the lower order streams running the steep slopes because the river flows in the areas consisting of the metamorphic rocks rather than the granites and shows the properties of incised meander.

본 연구는 낙동강의 지류인 내성천을 대상으로 하도의 지형 환경과 퇴적물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최상류에 위치한 조사 지점 NU1은 자갈 하상의 경관을 보이지만, 유역분지의 대부분에 화강암 풍화층이 발달한 NU2 이하의 하류 지점에서는 모두 모래 하상이 나타난다. 특히, NU2 이하의 하류 구간에서는 하도 내 망류 유로의 패턴이 나타나는데, 이는 지질 및 지형 조건 상 하천으로 다량의 모래 입자 공급이 가능하고, 하도가 침식에 약한 범람원의 내부를 흐르며, 하천의 유량 변동이 심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조사 지점 중 NU2에서는 증수기에 모래 입자의 침식 작용이활발한 것으로 보이며, 반대로, NM2와 NL2에서는 증수기에 모래 입자의 퇴적이 활발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NU2에서 NM1까지의 구간과 NL1에서 NL2까지의 구간에서는 하류로 갈수록 퇴적물의 평균 입도가 오히려 커지는데, 이는 이 두 구간 모두 내성천의 하곡이 화강암이 아닌 변성암 지역을 지나면서 감입곡류 하천을 이루고 있어, 하천 차수가 낮은 주변의 급경사 사면으로부터 조립의 퇴적물 공급이 우세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학술진흥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