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Job Selection, Separation, and Wage Level of SME Workers: based on a Follow-up Survey on Recent College Graduates

중소기업 취업자의 직장선택과 이동 그리고 임금 수준 분석

  • 박재민 (건국대학교 경영대학 기술경영학과)
  • Received : 2010.08.06
  • Accepted : 2010.08.31
  • Published : 2010.09.28

Abstract

Recently SMEs(small and medium enterprises) in Korea have experienced severe labor shortages. In particular, college graduates avoiding SMEs are widely spotted.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the main causes of the evasion by college graduates are the inferior working environment and low wages. Some studies also state that SME workers experience discrimination. However, most studies have focused only on unemployment issues of the young graduates. In this research, the results of follow-up surveys on the employment status and job conditions of recent college graduates was linked as a panel data, and the performance of the graduates was analyzed. Based on the analysis, we found college graduates who are employed SMEs are likely to have their initial career fixed to the SMEs. Second, the job separation records of the young SME workers does not show positive labor market performances such as upward movements or wage increases, and the process itself turned out to be entailed frequent separation. Third, the inferior wage level at SMEs and the fact that this effect is cumulatively amplified has been a key factor for evading SMEs. Thus, it is difficult to say that the early-stage careers in SMEs are constructive in future career development. On the contrary, the early careers at SMEs result in lower labor market outcomes, and frequent job separation.

최근 우리나라 중소기업들은 심각한 수준의 인력부족현상을 경험하고 있다. 많은 선행연구는 이것이 중소기업의 열악한 근무 환경과 낮은 임금 그리고 이에 따른 졸업생의 중소기업 기피에 주로 기인한다고 보았다. 반면 중소기업 취업자가 노동시장에서 차별을 경험하기 때문이라는 노동시장분절 시각에서 접근 되기도 하다. 특히 이 같은 차별이 하향취업과 비전공 취업으로 연계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빈번한 이직이나 안정적이지 못한 일자리로 이어짐으로써 장기적으로는 효과적인 경력축적을 저해하게 할 수 있다는 지적도 있다. 하지만 그 동안 대부분의 연구는 주로 대학 졸업생의 미취업 탈출에 초점을 둔 반면, 이들의 초기 직업력에 대한 연구는 대단히 적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 졸업생의 직업력에 대한 추적조사 결과를 활용하여 중소기업 취업자의 이직 경로를 분석하고, 노동시장 진입 과정에 따른 노동시장 성과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한다. 분석 결과, 대학 졸업생의 중소기업 경력은 더 많은 그리고 더 장기간의 교량적 일자리를 경험하게 되고, 상대적으로 낮은 임금과 고용불안정을 수반하며, 이 같은 직장이동이 긍정적인 노동시장성과를 동반하지 못하는 등 노동시장에서 인적 자본이나 교육의 질로써 설명되지 못하는 '중소기업효과'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남재량, 노동시장의 동태적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2009.
  2. 채창균, 김안국, 오호영, 청년층의 노동시장 이행과 인적자원개발(I): 대졸 청년층의 노동이동,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5.
  3. P. B. Doeringer and M. J. Piore, Internal Labor Markets and Manpower Analysis, Lexington, D. C. Heath, 1971.
  4. J. Mincer and B. Jovanovic, “Labor Mobility and Wages,” in Studies in Labor Markets (S. Rosen eds), University of Chicago, Chicago, 1981.
  5. W. G. Johnson and J. Lambrinos, "Wage Discrimination against Handicapped Men and Women," J. of Human Resources, Vol.20, No.2, pp.264-277, 1985. https://doi.org/10.2307/146012
  6. A. Light and K. McGarry, "Job Change Patterns and The Wages of Young Men," The Review of Economics and Statistics, Vol.80, No.2, pp.276-286, 1999.
  7. A. Bartel and G. Borjas, "Wage Growth and Job Turnover: An Empirical Analysis," in Studies in Labor Markets (S. Rosen eds), Univ. of Chicago, Chicago, 1981.
  8. B. Jovanovic, "Job matching and the theory of turnover," J. of Political Economy, Vol.87, No.5, pp.972-90, 1979. https://doi.org/10.1086/260808
  9. J. Mincer, "Wage Changes in Job Changes," NBER Working Papers, 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 1996.
  10. P. Ryan, "The School-to-Work Transition : A Cross-National Perspective," J. of Economic Literature, Vol.3, No.4, pp.34-92, 2001.
  11. 류기철, “취업형태의 지속성에 관한 연구”, 노동경제논집, 제24권, 제1호, pp.207-230, 2001.
  12. 이병희, “청년실업과 경력형성”, 산업관계연구, 제11권, 제2호, pp.153-176, 2001.
  13. 이병희, “노동시장이행 초기경험의 지속성에 관한 연구”, 노동정책연구, 제2권, 제1호, pp.1-18, 2002.
  14. 이병희, 청년층 노동시장 분석, 한국노동연구원, 2003.
  15. 이병희, 노동이동과 인력개발, 한국노동연구원, 2005.
  16. 고상원, 박재민, 고급 과학기술인력의 학연산 유동성 실태조사 및 제고방안, 한국과학재단, 2001.
  17. 전재식, 박재민, “이공계인력의 임금함수”, 직업능력개발연구, 제9권, 제2호, pp.63-87, 2006.
  18. J. Mincer, "Schooling, Experience, and Earnings," NBER Working Paper, 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 1974.
  19. 김형만, 김미란, 전재식, 전문대.대학교 졸업생의 취업실태 조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3.
  20. 김형만, 김미란, 전재식, 정재호, 박재민, 엄미정, 신동균, 청년층의 노동시장 이행과 인적자원개발(III): 총괄보고서,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7.
  21. 박재민, “전공-직업 일치의 장기적 노동시장 성과”, 교육과 노동시장 연계와 성과(I),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9.
  22. 통계청, 한국표준직업분류(제5차 개정),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