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igital Media Application in Museum

박물관 전시에서의 디지털 매체 적용에 관한 고찰 -서울시립대학교 기획전시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10.06.01
  • Accepted : 2010.09.03
  • Published : 2010.09.28

Abstract

Modern museum, along with the basic roles of a museum that display to the public through the exhibition of physical evidences that collected, preserved and researched about human environment, it is changing in a way to appropriately fulfill the desire of new culture of the public and to fit the paradigm of the digital era. Diversification of expression method using multimedia played a big role in effective meaning delivery and technology development made possible for interaction-able of digital media build up and application to made possible of interactive communication for visitors. If the main purpose of the past museum exhibition was the delivery of information and knowledge, modern museum's exhibit has been identified as the purpose being diversified through the use of digital media. Exhibition planner, as for museum exhibition that used many characteristics of the digital media as mentioned above, should plan so that past unfamiliar relic can communicate with us living in the modern society. But obsessive usage of the digital media should not shade the interest of the visitors towards the relic in overall exhibition; and what is most important is that other than the exhibition and exhibit, enforcement of translation through systematic coherent approach and its appropriate digital technology and creative application and harmony are more important.

서울시립대학교박물관 2010년 기획전시에 디지털매체가 어떻게 활용되었는지에 대한 것을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전시 내용에 적절하게 다양한 형식으로 영상 음향매체가 활용되고 있었으며, 특히 전시공간 연출에 있어서의 디지털매체 활용의 측면은 앞으로 다양한 전시에 적극적으로 활용되어져야 할 것이다. 하지만 관람객과의 상호작용성면에 있어서의 효과를 확인할 수 없었다. 디지털매체의 표현방법의 다양화를 통해 전시내용의 효과적인 전달과 엔터테인먼트적인 효과로 관람객이 지루해 하지 않고 재방문을 하도록 유도해야 한다. 전시에 음향매체를 활용한 것은 영상매체 보다 더 강렬한 자극을 이끌어 낼 수 있고, 다른 전시매체와의 복합 연출에 따른 효과는 더욱 컸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관람객에게 일방향성 정보제공으로 잘못 활용되어질 수 있으므로 단독 음향의 지향성 스피커나 헤드폰 등의 기술적 제고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마이클 벨쳐, 박물관 전시의 기획과 디자인, 예경, 2006.
  2. 백련, 멀티미디어 시대의 박물관 교육, 예경, 2005.
  3. 이난영, 박물관학, 삼화출판사, 2008.
  4. 서울시립대학교박물관, 박물관휘보 제17호, 2006.
  5. 우상기, “박물관 전시연출의 디지털화에 의한 가상체험공간 구축에 관한 연구”, 영산논총, 6호, 2000.
  6. 이종숙, 김경미. 유동림, “자연사박물관의 전시매체유형 및 연출기법에 관한 고찰 - 국내자연사 박물관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제15권, 제1호, 통원 54호, 2006.
  7. 전명현, 서상우, “현대의 박물관 개념과 역할, 대학건축학회논문집”, 4권 3호, 1988.
  8. 김원길, 전시공간의 감성인터페이스 향상을 위한 모체 연출특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9. 이건희, 디지털미디어에 나타난 웨 패션 스타샵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10. 이윤희, 무형문화재 전시 활용방안 연구: 민속놀이를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11. 윤희정, 우리나라 박물관 발달에 따른 전시 연출 변천 연구, 추계예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7.
  12. 조형식, 지역사회 박물관의 사회적 역할의 확대 방안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13. 지희승,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한 박물관 전시방법 연구,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Cited by

  1. Considerations on the Making of Scientific Content and Processing of Biological Knowledge vol.11, pp.11,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11.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