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haracteristics of Korean TV Program Market

국내 방송 콘텐츠 유통 시장의 구조적 특성

  • Received : 2010.06.07
  • Accepted : 2010.09.16
  • Published : 2010.09.28

Abstract

Korean TV program market has started since 1995 along with Cable TV and local TV stations and increased significantly due to Korean wave. Now the new platform such as IPTV makes a new opportunity of growth to the TV program market. This study will analyse the actual status and mechanism of Korean TV program market. To begin, Korean TV market is still dominated by terrestrial TV in domestic distribution market and in exportation even though the windows are diversified. This has influenced not only for the production market but also the distribution market as the following: continuous conflicts between terrestrial TV and independent production companies even though the significant increase of independent production in quantity ; terrestrial TV's dominance in distribution market with enormous libraries as for the major content provider. In addition, there are limited independent distributors due to the exclusive trade of TV programs by terrestrial TV. As for the exportation, foreign market for Korean TV programs are mainly Asian countries like Japan, China, etc. Furthermore, since the genre of distribution has been concentrated in dramas, it is time to make efforts to find a solution. Thus, this research can give a guideline as for the first step.

국내 방송 콘텐츠 유통 시장은 1995년 케이블 TV의 등장과 함께 처음으로 형성되기 시작하여 2000년대 들어 한류 영향으로 인한 해외 시장 확대와 함께 급격한 성장을 이루었다. 또한, 최근 들어 IPTV 등을 비롯한 새로운 플랫폼의 등장과 함께 또 다른 도약을 준비해야하는 중요한 시점에 와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국내 방송 콘텐츠 시장의 현주소를 보다 종합적으로 살펴보고 그 개선 방안을 논의해 보고자 하였다. 먼저, 국내 방송 콘텐츠의 유통 시장 현황을 살펴본 결과, 여전히 지상파 방송사의 지배적 구조가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었다. 특히, 외주 제작 정책으로 지상파 방송의 외주제작비율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방송사와 제작사 간의 거래에 있어서는 불공정 거래나 저작권 귀속 문제로 갈등을 빚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영상물의 해외 유통을 전문적으로 담당하는 독립유통 에이전시는 소수에 그치고 있으며 국내에서의 입지도 크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방송 영상물의 해외 수출은 지난 2000년 이후 한류 현상과 함께 급격히 상승하였는데, 아시아 지역에 대단히 편중되어 있으며, 장르 분야도 드라마에 치우쳐 수출 지역과 장르의 제한이라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향후 유통 시장의 균형을 찾을 수 있는 합리적인 개선 방안을 도출해내는 작업이 무엇보다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태영, 국제 방송프로그램의 유통구조와 한국 방송프로그램, 방송통신연구, 한국방송학회, pp.7-34, 2002.
  2. 김동규, 한국 TV 방송프로그램의 유통메커니즘 연구, 한국방송학회, 한국방송학보, 통권 제16-4호 2002. 11, pp.40-73, 2002.
  3. 김기태, FTA에 따른 방송콘텐츠 유통시장의 변화와 케이블TV의 유통전략, 한국방송학회, 디지털 시대 케이블 TV 활성화 방안 2007. 11, pp.23-34, 2007(12).
  4. 박재복, 방송영상물 수출의 구조적 문제점과 전략 방향. "방송문화"Vol.338, p.42, 2009(11).
  5. 박창식, ‘외주제작 제도 개선 필요성과 방향 세미나’ 발표문 KOCCA세미나 발제문, 2009.
  6. 방송통신위원회, 방송산업실태조사보고서, 2007.
  7. 방송통신위원회, 방송산업실태조사보고서, 2008.
  8. 방송통신위원회, 방송산업실태조사보고서, 2009.
  9. 유세경, 정윤경, 멀티미디어 시대의 영상콘텐츠 유통 현황과 활성화 방안, 한국방송학회, pp.27-35, 2003(2).
  10. 윤재식, 한국문화콘텐츠 미국시장 진출 전략, 2009.
  11. 윤재식, 2008년 방송 프로그램 수출입 현황, KBI 포커스, 통권 63호, 2009.
  12. 이문행, 이현숙, 국내 지상파 드라마의 창구 다각화에 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19-2, pp.501-538, 2005.
  13. 금융 감독원, http://dart.fss.or.kr
  14. KBS 미디어 홈페이지
  15. MBC 홈페이지
  16. www.sbscontentshub.co.kr

Cited by

  1. Personalized Dietary Nutrition Contents Recommendation using Hybrid Filtering for Managing Health vol.11, pp.11, 2011, https://doi.org/10.5392/JKCA.2011.11.11.001
  2. Broadcasting and Telecommunications Industries in the Convergence Age: Toward a Sustainable Public-Centric Public Interest vol.10, pp.3, 2018, https://doi.org/10.3390/su100205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