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박선영, 구영덕, 김원기. 뇌질환 치료제 II, 뇌졸중치료제 개발동향 및 전략. 미래유망 사업아이템이슈분석(BA407).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2005 :1-63.
- 김은선, 박동운, 이종은. 뇌질환 치료제 I, 산업시장분석.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2006 : 25-55.
- Butler TL, Kassed CA, Pennypacker KR. Signal transduction and neurosurvival in experimental models of brain injury. Brain Res Bull. 2003 ; 59(5) : 340-9.
- Cucchiara B, Ross M. Transient ischemic attack : risk stratification and treatment. Ann Emerg Med. 2008 ; 52(2) : S27-39. https://doi.org/10.1016/j.annemergmed.2008.05.019
- Adibhatla RM, Hatcher JF. Tissue plasminogen activator(tPA) and matrix metalloproteinases in the pathogenesis of stroke: therapeutic strategies. CNS Neurol Disord Drug Targets. 2008 ; 7(3) : 243-53. https://doi.org/10.2174/187152708784936608
- Catarzi D, Colotta V, Varano F. Competitive Gly/NMDA receptor antagonists. Curr Top Med Chem. 2006 ; 6(8) : 809-21. https://doi.org/10.2174/156802606777057544
- Shinohara Y. Clinical guidelines for stroke. Nippon Naika Gakkai Zasshi. 2004 ; 93(11) : 2449- 55. https://doi.org/10.2169/naika.93.2449
- Choi DW. Excitotoxic cell death. J Nerobiol. 1992 ; 23 : 1261-76. https://doi.org/10.1002/neu.480230915
- Won SJ, Kim DY, Gwag BJ. Cellular and molecular pathways of ischemic neuronal death. J Biochem and Molecular Bio. 2002 ; 35(1) : 67-86. https://doi.org/10.5483/BMBRep.2002.35.1.067
- 남경중의학원. 중의방제대사전. 북경 : 인민위생출판사. 1995 ; 5 : 891.
- 신민교. 임상본초학. 서울 : 영림사. 1986 : 169-71, 221-3, 249-50, 300-1, 464-8, 662-3.
- 신길구. 신씨본초학. 서울 : 수문사. 1988 : 9-12, 80-4, 448-50, 521-2, 554-6, 562-4, 600-3.
- 김창민. 중약대사전. 서울 : 정담. 1998 : 592-9, 1159-1168, 1353-8, 4839-45, 5258-65, 6357-62, 6460-71.
- 강극명. 간명방제사전. 상해 : 상해과학기술출판사. 1990 : 571.
- 전영수. 보양환오탕과 가미보양환오탕이 endotoxin으로 유발된 백서의 혈전증에 미치는 영향. 동의병리학회지. 1993 ; 8 : 157-76.
- 김남용. 보양환오탕이 혈압 및 국소뇌혈류량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대학원. 1985.
- 정하나. 한약재 경구투여에 의해 Th1/Th2 type 면역반응의 선택적인 조절에 관한 硏究. 전북대학교대학원. 2004.
- 문병형. 보양환오탕전탕액이 가토의 혈압강하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1985.
- 탁의주. 보양환오탕이 실험적 혈전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대학원. 1990.
- 김성훈. 복원활혈탕 및 보양환오탕이 endotoxin으로 유발된 혈전생성억제에 미치는 영향. 동의대학교 대학원. 1994.
- 정우상. 고혈압 및 고지혈증에 대한 보양환오탕의 실험적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1998.
- 설인숙. 가미보양환오탕이 고지혈증, 혈전, 고점도혈증, 고혈압, 및 뇌손상에 미치는 영향. 대전대학교 대학원. 1998.
- 최은정. Mongolian gerbil의 reversible forebrain ischemia 모델에 미치는 보양환오탕의 효과. 동국대학교 대학원. 1999.
- 김영현. 항어혈 치료제인 보양환오탕의 면역조절 작용. 전주대학교 대학원. 2002.
- 정용준. 보양환오탕이 LPS와 PMA에 의해 손상된 신경교세포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대학원. 1999.
- HS Han, JA Lee, YK Park. Protective effects of modified Bo-Yang-Hwan-Oh-Tang on H2O2- induced neurotoxicity in SH-SY5Y neuronal cells. Kor J Herbology. 2006 : 21(4) : 85-92.
- 김영석. 임상중풍학. 서울 : 書苑堂. 1997 ; 303-8.
- 전국한의과대학 심계내과학교실. 동의심계내과학(상하). 서울 : 서원당. 1995 : (상)107-8, 203,(하) 72-3.
- 장중경. 금궤요략. 서울 : 한성사. 1975 ; 31, 133-5.
- 류완소. 상한삼육서. 서울 : 성보사. 1976 ; 281-2.
- 왕청임. 의림개착. 대북 : 대련국풍출판사. 1975 ;40-4.
- Cechetto DF. Experimental cerebral ischemic lesions and autonomic and cardiac effects in cats and rats. Stroke. 1993 ; 24(12) : I6-9.
- Ginsberg MD. Neuroprotection for ischemic stroke :past, present and future. Neuropharmacology. 2008 ; 55(3) : 363-89. https://doi.org/10.1016/j.neuropharm.2007.12.007
- Kriz J. Inflammation in ischemic brain injury: timing is important. Crit Rev Neurobiol. 2006 ; 18(1-2) : 145-57. https://doi.org/10.1615/CritRevNeurobiol.v18.i1-2.150
- 박용기, 한형수. 가미보양환오탕의 SH-SY5Y 뇌신경세포에서 산화적 손상에 의한 세포사멸에 대한 보호효과. 대한본초학회지. 2006 ; 21(4) :85-92.
- 임진승. 가미보양환오탕의 뇌졸중 동물에서의 뇌신경보호효과.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8.
- Oppenheim RW. Cell death during development of the nervous system. Annu Rev Neurosci. 1991 ; 14 : 453-501. https://doi.org/10.1146/annurev.ne.14.030191.002321
- 선웅. Bcl-2 family의 신경세포 사멸 조절과 신경계발달. 생화학분자생물학뉴스. 2005 ; 3 : 419-26.
- Sugawara T, Fujimura M, Noshita N, Kim GW, Saito A, Hayashi T, Narasimhan P, Maier CM, Chan PH. Neuronal death/survival signaling pathways in cerebral ischemia. Neuro Rx. 2004 ; 1(1) : 17-25. https://doi.org/10.1602/neurorx.1.1.17
- Doyle KP, Simon RP. Stenzel-Poore MP. Mechanisms of ischemic brain damage. Neuropharmacology. 2008 ; 55(3) : 310-8. https://doi.org/10.1016/j.neuropharm.2008.01.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