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User Satisfaction by Perceived Performance of Ecological Learning Center

생태학습장 이용객의 지각된 성과에 의한 만족도 연구

  • Park, Chung-In (Depart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Hanyong National University) ;
  • Kim, Jong-Hae (Depart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Hanyong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10.07.13
  • Accepted : 2010.07.26
  • Published : 2010.08.31

Abstract

An ecological learning center is defined as a place which can establish the correct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environment. Human can learn ecosystem and importance of environment throughout observation of nature and participation in program of ecological learning center. The most important aspects of ecological learning center planning are to reflect on user's demand and preservation of ecosystem. The prime goals of this study is to analyze user's characteristics in the Young Wheol Mulmurigol Ecological Learning Center. The second goal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satisfaction model based on user's perceived performance of each program and facility in the center. For this study, questionnaire survey with 204 individuals was completed. The data from the questionnaire were analyzed statistical method by SPSS. There are several significant results from the study as following First, this ecological learning center as a newly operating facility is used not for educational purpose but for resting and relaxation purpose. It is due to that the most of users in this center are package tourists with historic scenes. Second, user's perceived performance evaluated by 23 attributions of programs and facilities, and these attributions could be classified by 5 factors such as environment friendly design, educational function, preservation of environment, provision of various bio-top and provision of resting area. Third, the user satisfaction model indicates that user satisfaction is depended on various factors such as preservation of environment, provision of various bio-top, provision of resting area. Among these factor affecting the satisfaction, provision of various bio-top is the most influence on user satisfaction.

Keywords

References

  1. 고경희, 1984, 세콧 해안 생태학습원 기본계획,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2. 권근중, 1986, 담수 생태학습원 기본계획,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3. 김무창, 1994, 도시민의 여가와 공원 이용실태에 관한 연구 : 부산시 남구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4. 김상희, 이상건, 2000, 주제공원 이용객의 기대, 지각된 성과, 기대불일치가 만족에 미치는 영향, 호텔관광연구, 3(2), 9-31.
  5. 김수봉, 정응호, 김기호, 2004, 대학캠퍼스 내 생태연못 도입에 관한 연구, 환경과학논집(계명대학교 낙동강환경원), 191-199.
  6. 김용수, 김수봉, 1989, 대구시 도시공원의 성격에 따른 이용자 만족요인 및 행태분석, 한국조경학회지,17(1), 17-27.
  7. 김유일, 황장하, 1989, 도시 근린공원의 평가 : 이용자와 지역주민(비이용자)의 행태비교, 진주산업대학교논문집, 40(1), 343-349.
  8. 김인호, 김귀곤, 1998, 환경교육장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에 관한 연구, 환경교육, 11(1), 195-216.
  9. 김한도, 1995, 도시공원 이미지와 이용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10. 내무부, 1980, 자연학습원 조성기본계획, 13.
  11. 민성환, 1998, 자연관찰센터 및 자연관찰로 조성계획, 석사학위논문, 서울시립대학교.
  12. 박세문, 1996, 도시근린공원의 이용실태 및 만족도 평가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금오공과대학교.
  13. 박영수, 1988, 이용자 만족도에 따른 한강시민공원의 설계관련성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14. 박청인, 2001, 국립공원 탐방객의 등산로선택모형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9(1), 11-21.
  15. 박청인, 2005, 택지개발지구 환경개선을 위한 근린공원 이용후평가, 한국정책연구, 5(1), 1-13.
  16. 박청인, 2005, 혼잡지각의 규범적 접근에 의한 사회적 수용능력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3(1), 10-18.
  17. 박청인, 2010, 주제공원의 이용자의 기대된 이미지와 지각된 성과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의 탐색적 연구,농촌관광연구, 17(2), 107-124.
  18. 봉원일, 1997, 주민의 근린공원 이용 행태 : 분당.일산.평촌 지구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19. 신성영, 1982, 이용자 의식 및 실태분석을 통한 도시공원 계획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20. 안상영, 김대희, 1999, 독일에서의 생태학습장을 이용한 환경교육 사례연구, 환경교육, 12(1), 365-377.
  21. 안세길, 2008, 농촌관광의 서비스품질의 만족도가 재방문에 미치는 영향연구-진안지역을 중심으로, 관광경영학연구, 12(1), 49-68.
  22. 이광우, 김민경, 2005, 자연생태학습원 조성계획, 한국식물인간환경학회지, 4(3), 41-48.
  23. 이상건, 선종갑, 2006, 주제공원의 이미지가 방문객 체험에 미치는 영향, 호텔관광연구, 8(1), 115-130.
  24. 이은희, 장하경, 2000, 생태연못 조성을 위한 이론적 고찰 및 사례연못 평가,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3(2),10-23.
  25. 이은희, 2001, 빗물을 이용한 소규모 생태연못 및 습지 모형 개발, 한국환경복원녹화기술학회지, 4(2), 92-100.
  26. 장선영, 1997, 주남저수지 자연학습원 조성계획,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27. 장양례, 윤유식, 이기종, 2009,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의 지역축제개최에 따른 방문객 행동의도, 축제개최효과에 관한 연구 : 전남 구례군 방광권역을 중심으로, 농촌관광연구, 16(4), 63-80.
  28. 전찬진, 1984, 자연학습원의 계획과 시설, 환경과 조경, 38-43.
  29. 정필용, 엄서호, 1994, 주제공원의 포지셔닝에 관한 연구, 관광학연구, 18(1), 24-42.
  30. 조동길, 1999, 인공습지 조성후 생물다양성 증진 효과에 관한 연구 : 서울공고 생태연못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31. 최병두, 정철, 2008, 대구지역 초등학교의 생태학습장조성과 활용, 환경교육 21(3), 89-102.
  32. 한상현, 1998, 수도권신도시 공공시설에 대한 주민만족도 분석, 박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33. 한상열, 설정욱, 2008, 산촌지역축제의 서비스 품질이 방문객의 만족도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분석, 한국임학회지, 97(3), 340-347.
  34. 허준, 1990, 서울시 근린공원 이용만족도 평가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35. 현중영, 박찬용, 1992, 도시공원시설의 이용자 만족 인과모형 : 대구시 두류도시공원 사례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0(3), 103-109.
  36. Konecnik, M., Garner, W. C., 2007, Customer-based brand equity for a destination, Annals of Tourism Research, 34(2), 400-421. https://doi.org/10.1016/j.annals.2006.10.005
  37. Kuentzel, W., Heberlein, T. A., 1992, Cognitive and behavioral adaptations to perceived crowding, Journal of Leisure Research, 24, 377-393. https://doi.org/10.1080/00222216.1992.11969903
  38. Manning, R., 1986, Studies in outdoor recreation, Oregon State University Press.
  39. Oliver, R. L., 1993, Satisfaction: a behavioral perspective on the consumer, New York, McGraw-Hill.
  40. Shelby, B., Heberlein, T. A., 1986, Conceptual framework for carrying capacity determination, Leisure Science, 6, 433-451.
  41. Tse, D. K., Wilson, P. C., 1988, Models of Consumer Satisfaction Formation : An Extension,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5(5), 204-2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