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sign and Development of e-Mentoring System for Full Inclusion

완전통합교육 지원을 위한 전자멘토링 시스템 설계 및 구현

  • Received : 2009.10.29
  • Accepted : 2010.05.21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nd develop an e-mentoring system for full inclusion.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of related studies, the e-mentoring performance model was drawn. Based on this model, an e-mentoring system was designed and developed. Especially the horizontal mentoring was mainly considered during the procedure. To evaluate the usability of the system, 2 system managers, 5 mentors, and 5 mentees were chosen and they were interviewed by researchers. Researchers used an interview instrument(10 items) consisting of mentoring support(cognitive support, affective support, adaptability) and technical support(convenience, accuracy, look & feel) categories. On the whole affirmative responses were given in both mentoring support and technical support area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e-mentoring system is very effective in supporting full inclusion. In future it is recommended that several empirical studies of utilizing the e-mentoring should be performed.

이 연구는 완전통합교육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전자멘토링 시스템을 구축하고 그것의 사용성을 평가하는데 목적이 있다. 시스템 설계를 위하여 현재 운영되고 있는 국내 외 전자멘토링 시스템과 관련된 연구들을 분석한 후, 완전통합교육 지원에 적절한 전자멘토링 수행모형을 도출했다. 특히, 설계와 구현에 있어서는 온라인의 수평적 멘토링 구현과 다양한 멘토링 형태의 지원, 상호보완적 관계형성, 그리고 활동에 대한 피드백 제공 등에 역점을 두고 시스템을 구축했다. 개발된 전자멘토링 시스템의 사용성 평가를 위해 운영자 2명, 멘토 5명, 멘티 5명을 선정한후, '멘토링 지원(인지적 지원, 정서적 지원, 적용가능성)'과 '기술 지원(편의성, 정확성, 심미성)' 등 2가지 영역, 총 10개의 문항을 통해 심층면담을 실시했다. 통합학급 담당교사와 특수학급 담당교사의 사용성 평가 결과, 완전통합교육 지원을 위해 개발된 전자멘토링 시스템은 모든 영역에 걸쳐 상당히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향후에는 이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실제 현장에서 장기간 지속적으로 적용해 봄으로써 개발된 전자멘토링 시스템의 실질적인 효과성을 검증해 보는 실증적인 연구가 요청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창호.박성우, "통합교육 환경에서 일반학생에 대한 경험이 특수교사의 태도 및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연구, 14권, 1호, 215-236쪽. 2007년
  2. 안영민, 특수학급 교사의 역할 수행에 관한 원적학급 교사의 인식 및 지원기대. 미간행 석사학위 논문, 대구대학교. 2001년 12월
  3. 황희숙.최한옥.이경화, "장애유아 완전통합학습 교사들의 교육과정 실행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6권 2호, 269-292. 2009년 1월
  4. 이영순, "유아특수교사와 통합교사의 멘토링기법이 유치원 통합교사의 전문성 신장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청구논문, 공주대 교육대학원. 2007년 8월
  5. 수원교육청, "2007 경기도교육청 완전통합대상학생 멘토링 운영보고," 2007년 11월
  6. 안지명, "e-Mentoring 프로그램 설계 및 적용," 석사학위청구논문, 경희대학교. 2002년 2월
  7. 이은주, "통합교육 현장 비디오 시청활동이 예비교사들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과 태도 변화에미치는 영향," 특수교육학연구, 26권 213-238쪽 2002월 3월
  8. 김은경, "통합 교육 학습시스템의 설계 및 구현," 석사학위청구논문, 국민대학교, 2005년
  9. 김성완, 방과 후 학습지도를 위한 전자멘토링 시스템 설계방안,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12권 5호,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07년
  10. 김성완, 윤재성, "중학교 정보교과 교육을 위한 전자멘토링 시스템 설계 및 구현," 동계학술대회(2009. 1. 20),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09년
  11. 전희란, 박찬정, "e-멘토링 시스템에서 매칭을 위한 개인선호도기반 멘토-멘티 추천 알고리즘,"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1권 1호, 11-21. 2008년
  12. 편은진 외, "과학 영재를 위한 이멘토링 시스템의 적용," 韓國敎育, 34권 1호. 2007년
  13. Single, P. G. & Muller, C. B. "Electronic mentoring programs: A model to guide practice and research". Unpublished manuscript. 2000
  14. 김윤옥, "특수아동 완전통합교육을 위한 미국의 동향과 한국적 과제," 특수교육연구, 4, 45-72. 1997년
  15. Lombardi, T. P., Nuzzo, D. L., Kennedy, K. D., & Foshay, J. "Perceptions of parents, teachers, and students regarding an integrated education inclusion program." The High School Journal, April/May, 315-321. 1994년
  16. 백은희, "취학전 담계에서의 통합교육의 과제와 대책의 토의," 톡수교육학회지, 16권 2호, 65-68쪽, 1995년
  17. 박윤자, "장애유아 통합교육 효과에 대한 유아교사 및 유아특수교사의 인식,"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3년
  18. 유은연, "장애유아의 통합에 있어서 효과적인 일반유아교사 지원 방법 개발을 위한 요구조사," 재활복지, 8권, 144-183쪽, 2004년
  19. 이소현, "유아특수교육," 서울: 학지사, 2006년
  20. 이현숙, "장애유아통합교육에서 유아교사와 유아특수교사의 역할과 협력교수에 대한 인식 및 실태분석,"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년
  21. 권현미, "유아 통합교육의 운영실태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윈 논문, 2005년
  22. 장금수, "특수학교교사와 통합학급교사의 협력 실태 및 개선방안 비교연구,"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년
  23. 한경출, "통합교육에 대한 통합학급교사의 요구분석,"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4년
  24. 박명애, 정상진,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통합교육을 위한 협력에 대한 인식 비교," 특수교육학연구, 30권 2호, 65-82쪽, 2001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