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교육용 로봇을 활용한 STEM 통합교육의 효과성 연구

A Study on Effectiveness of STEM Integration Education Using Educational Robot

  • 송정범 (공주교육대학교부설초등학교) ;
  • 신수범 (공주교육대학교 컴퓨터교육과) ;
  • 이태욱 (한국교원대학교 컴퓨터교육과)
  • 투고 : 2010.03.17
  • 심사 : 2010.05.30
  • 발행 : 2010.06.30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교육용 로봇을 활용한 STEM 통합교육이 수학 교과의 태도 수준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교육용 로봇을 활용한 STEM 통합교육과 기존 전통적인 수학 학습에 의한 초등학생들의 수학 교과 태도 수준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초등학교 1학년 56명을 대상으로 이질 통제 집단 전후 검사 설계 방식을 적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이 연구의 가설은 채택 되었으며, 교육용 로봇을 활용한 STEM 통합교육은 초등학생의 수학 교과태도 수준 신장에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다양한 교과의 지식과 활동을 교육용 로봇을 매개로 통합 융합할 수 있는 교육활동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verify the influence of STEM integrate education using educational robots on improvement of the level of attitude towards Mathematics. The following hypothesis was formulated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ere will be a meaningful difference in the level of attitude towards Mathematics between elementary school students educated by STEM integrated education with robots and by the traditional method of teaching Mathematics. To prove this hypothesis, 56 of first grade students were tested under the nonequivalent control group in the pretest-posttest design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is showed that STEM integrated educ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promoting the level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ttitude towards Mathematics. Therefore, we need the instructional activities which can combine the knowledge gained from a variety of curriculum with activities by using educational robots.

키워드

참고문헌

  1. 문외식, "초등학생들이 프로그래밍 학습 시 발생하는 오류 유형 분석",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제 11권, 제 2호, 319-327쪽, 2006년 5월.
  2. 송정범, 이태욱, "피코 크리켓(Pico Cricket)을 활용한 프로그래밍 교육이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실과 교육연구학회논문지 제 14권, 제 4호, 243-258쪽, 2008년 11월.
  3. 이은경, 이영준, "로봇 프로그래밍 교육이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제 10권, 제 6호, 19-27쪽, 2007년 11월.
  4. 최유현, "로봇의 교육적 활용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 한국실과교육학회지, 제 16권, 제 3호, 75-90쪽, 2003년.
  5. 이진영. 송정범. 김광열. 백성혜. 이태욱. "피코 크리켓을 활용한 로봇 프로그래밍 학습이 문제해결력과 흥미에 미치는 효과",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제 14권, 제 2호, 17-26쪽, 2009년 2월.
  6. Nagchaudhuri, A., and Singh, G, "Middle School Students get Introduced to Fundamentals of Engineering at the UMES-NOAA Summer Camp", Proceedings of 2003 American Society of Engineering Education Annual Conference, Session 1170, Nashville, TN, June 2003.
  7. Barker, B., & Ansorge, J., "Robotics as means to increase achievement scores in an informal learning environment", Journal of Research on Technology Education, Vol. 39, No. 3, pp. 229-243, 2007. https://doi.org/10.1080/15391523.2007.10782481
  8. Rogers, C., & Portsmore, M., "Bringing engineering to elementary school. school science learning?", Bulletin of Science, Technology&Society, Vol. 25, No. 1, pp. 73-84. 2004.
  9. 김진수, "기술교육의 새로운 통합교육 방법인 STEM 교육의 탐색", 한국기술교육학회지, 제 7권, 제 3호, 1-29쪽, 2007년.
  10. NSB, "A National Action Plan for Addressing the Critical Needs of the U.S.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nd Mathematics Education System", 2007.
  11. NSF, "Converging Technologies for Improving Human Performance: Nanotechnology, Biotechnology, Information Technology and Cognitive Science", NSF Report, 2002년.
  12. 조혜경, 박강박, 한정혜, 민덕기, 고국원, "교육+로봇: 비전과 액션 플랜". 정보과학회지, 제 26권, 제 4호, 55-64쪽. 2008년.
  13. Nagchaudhuri, A., and Singh, G., "Middle School Students get Introduced to Fundamentals of Engineering at the UMES-NOAA Summer Camp", Proceedings of 2003 American Society of Engineering Education Annual Conference, Session 1170, Nashville, TN, June 2003년.
  14. 한국교육과정평가원, "PISA 2003 결과 분석 연구:수학적 소양| 읽기 소양| 과학적 소양 수준 및 배경변인 분석 -2004년도 OECD 학업성취도 국제 비교 연구 - PISA 2003 평가 결과 분석 연구", 연구보고 RRE 2004-2-1, 2004년.
  15. 한국교육과정평가원.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TIMSS/PISA)에서 타난 우리나라 중.고등학생의 성취 변화의 특성", 연구보고 RRE 2008-3-1. 2008년
  16. 교육인적자원부. "수학과 교육과정 해설서", 서울 : 교육인적자원부, 2007.
  17. 송정범, 이태욱, "성별이 차이를 고려한 로봇 프로그래밍 학습이 여중학생의 몰입수준과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제 12권, 제 1호, 45-55쪽, 2009년 2월.
  18. 송정범, "STEM 통합교육을 위한 교실친화적 로봇교육모형 및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박사학위 논문, 2010년 2월.
  19. 배선아, "공업계열 전문계 고등학교 전기.전자.통신 분야의 활동 중심 STEM 교육프로그램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년 8월.
  20. 문대영, "STEM 통합 접근의 사전 공학 교육 프로그램모형 개발", 공학교육연구, 제 11권, 제 2호, 90-101쪽. 2009년.
  21. 최유현, 문대영, 강경균, 이진우, 이주호, "STEM 기반발명영재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효과", 한국기술교육학회, 제 8권, 제 2호, 143-164쪽, 2008년.
  22. 신나민, 김상아, "로봇과 학습의 관계 맺기: 초,중,고등학생의 관점에서", 교육정보미디어연구, 제 13권, 제 3호, 79-99쪽, 2007년.
  23. 이영란, 이경화, "Freudenthal의 수학화 학습지도론에 따른 무리수 개념 지도 방법의 적용 사례", 수학교육학연구, 제 16권, 제 4호, 297-312쪽, 2006년.
  24. 강흥규, "Dewey의 경험주의 수학교육론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3년
  25. 정영옥, "Freudenthal의 수학화 학습-지도론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7년.
  26. 송정범.이태욱, "교육용 로봇을 활용한 수학적 실험의 효과성 연구", 제 41차 한국컴퓨터정보학회 동계학술대회발표논문, 351-354, 대전보건대학, 한국, 2010년 1월.

피인용 문헌

  1. IT기반 로봇의 수용에 관한 연구: TAM과 EDT 모형의 통합관점 vol.15, pp.12, 2010, https://doi.org/10.9708/jksci.2010.15.12.237
  2. 초등학교에서 로봇활용이 과학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 vol.19, pp.6, 2014, https://doi.org/10.9708/jksci.2014.19.6.1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