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School Adjustment Program for Young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다문화가정 미취학 아동의 학교생활적응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 Received : 2010.03.03
  • Accepted : 2010.05.17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This study developed and evaluated a school adjustment program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The program was developed to enhance Korean language ability and adjustment to school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backgrounds. 14 preschool children (5 boys and 9 girls) participated in this program. The effect of this program was assessed through a preschool-children's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test as well as through a reading ability test. Results showed there was a significant experimental effect (p<.05) in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test scores. After the experiment, children showed higher scores in the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test than before. Results of the program evaluation revealed this program was helpful for promoting Korean language ability in children and assisted their adjustment to school for children from multi-cultural backgrounds.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과학기술부. (2008). 다문화가정 부모자녀 통합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 개발.
  2. 교육인적자원부. (2006). 다문화가정 자녀교육 실태 조사.
  3. 국립국어원. (2007). 방송매체를 이용한 다문화가정 한국어 교재 개발.
  4. 국립국어원. (2008). 국제결혼가정 자녀의 한국어 방문교육 교재 개발.
  5. 김민화, 신혜은. (2008). 다문화가정 취학 전 유아 한국어교육 지원을 위한 기초연구. 아동학회지, 29(2), 155-176.
  6. 김선정. (2007). 결혼 이주 여성을 위한 한국어 교육. 이중언어학, 33, 423-446.
  7. 김영태, 장혜성, 임선숙, 백현정. (1994). 그림어휘력 검사. 서울: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8. 김혜진. (2009). 다문화가정 자녀의 자존감 향상을 위한 미술치료 연구-초등학교 저학년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박미경, 엄정애. (2007). 결혼이민자가정 유아의 유아교육기관 생활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아동학회지, 28(2), 115-136.
  10. 박혜원, 곽금주, 박광배. (1989). 한국 웩슬러 유아지능검사 (K-WPPSI). 서울: 도서출판 특수교육.
  11. 보건복지부. (2005). 국제결혼 이주여성 실태조사 및 보건.복지 지원 정책방안.
  12. 서정희. (2008). 집단미술치료가 다문화가정 자녀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배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선우현, 김하정. (2009). 다문화가정 유아를 위한 아동중심 집단놀이치료. 아동교육, 18(4), 143-155.
  14. 송선진. (2007). 국제결혼가정 자녀의 사회화과정이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안혜령, 이순형. (2009). 여성결혼이민자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의 학업성취 비교. 아동학회지, 30(1), 1-10.
  16. 여성가족부. (2007). 결혼이민자가족 실태조사 및 향후 추진 계획.
  17. 오성배. (2005). 코시안 아동의 성장과 환경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교육, 32(3), 61-83.
  18. 우현경, 정현심, 최나야, 이순형, 이강이. (2009).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한국어능력과 유아기 자녀의 언어발달. 아동학회지, 30(3), 23-36.
  19. 이승미. (2007). 점토를 통한 집단미술치료가 다문화가족 아동의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20. 이양희, 정병수, 박수린, 황새라, 김상원, 조수연. (2008). 다문화가정 아동의 탄력성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한국아동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133.
  21. 이차숙, 노명환. (2000). 유아언어 교육론. 서울: 동문사.
  22. 정옥분. (2008). 아동학 연구방법론. 서울: 학지사.
  23. 정은희. (2004). 농촌지역 국제결혼 가정 아동의 언어발달과 언어환경. 교육학연구, 37(1), 389-406.
  24. 정현영. (2006). 다문화가정 자녀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아시아 여성과 한국남성의 이중문화 가정자녀를 중심으로. 숭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5. 조수진, 윤희원, 진대연. (2008). 다문화가정자녀를 위한 학습 한국어 교재 개발의 방향. 이중언어학, 37, 235-264.
  26. 조영달. (2006). 다문화가정 자녀교육 지원 대책. 교육인적자원부.
  27. 조용환. (2006). 질적 연구: 방법과 사례. 서울: 교육과학사.
  28. 채혜경. (2008). 결혼이민자가정 유아의 문해능력과 가정문해환경.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9. 최나야, 이순형. (2007). 음운론적 인식과 처리능력이 4-6세 유아의 한글 단어 읽기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8(4), 73-95.
  30.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07). 다문화가정 자녀의 학교생활 실태와 교사.학생의 수용성에 관한 연구.
  31. 행정안전부. (2009). 다문화가정 관련 통계자료.
  32. Bogdan, R., & Biklen, S. (2006). Qualitative Research for Education: An Introduction to Theories and Method (5th ed.). Boston: Allyn & Bacon.
  33. Bretherton, I., & Munholland, K. A. (1999). Internal working models in attachment relationships: A construct revisited. In J. Cassidy & P. R. Shaver (Eds.), Handbook of Attachment Theory and Research, (pp. 89-111). New York: Guilford Press.
  34. Cunningham, A. E., & Stanovich, K. E. (1997). Early reading acquisition and its relation to reading experience and ability 10 years later. Developmental Psychology, 33(6), 934-945. https://doi.org/10.1037/0012-1649.33.6.934
  35. Hoff, E., & Naigles, L. (2002). How children use input acquiring a lexicon. Child Development, 73(2), 418-433. https://doi.org/10.1111/1467-8624.00415
  36. Ladd, G. W., & Mize, J. (1983). A cognitive-social learning model of social-skill training. Psychological Review, 90(2), 127-157. https://doi.org/10.1037/0033-295X.90.2.127
  37. National Adult Literacy Database (2009). Canada's Literacy and Essential Skills Network, Retrieved 2009. 7. 20, from http://www.nald.ca.
  38. NICHD Early Child Care Research Network. (2004). Multiple pathways to early academic achievement. Harvard Educational Review, 74(1), 1-29.
  39. Ramey, C. T., & Ramey, S. L. (2004). Early learning and school readiness: Can early intervention make a difference? Merrill-Palmer Quarterly, 50(4), 471-491. https://doi.org/10.1353/mpq.2004.0034
  40. Weizman, Z. O., & Snow, C. E. (2001). Lexical input as related to children's vocabulary acquisition: Effect of sophisticated exposure and support for meaning. Developmental Psychology, 37(2), 265-279. https://doi.org/10.1037/0012-1649.37.2.265

Cited by

  1.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Literacy Program for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vol.54, pp.1, 2016, https://doi.org/10.6115/fer.2016.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