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교육과학기술부. (2008). 다문화가정 부모자녀 통합 한국어 교육 프로그램 개발.
- 교육인적자원부. (2006). 다문화가정 자녀교육 실태 조사.
- 국립국어원. (2007). 방송매체를 이용한 다문화가정 한국어 교재 개발.
- 국립국어원. (2008). 국제결혼가정 자녀의 한국어 방문교육 교재 개발.
- 김민화, 신혜은. (2008). 다문화가정 취학 전 유아 한국어교육 지원을 위한 기초연구. 아동학회지, 29(2), 155-176.
- 김선정. (2007). 결혼 이주 여성을 위한 한국어 교육. 이중언어학, 33, 423-446.
- 김영태, 장혜성, 임선숙, 백현정. (1994). 그림어휘력 검사. 서울: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 김혜진. (2009). 다문화가정 자녀의 자존감 향상을 위한 미술치료 연구-초등학교 저학년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박미경, 엄정애. (2007). 결혼이민자가정 유아의 유아교육기관 생활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아동학회지, 28(2), 115-136.
- 박혜원, 곽금주, 박광배. (1989). 한국 웩슬러 유아지능검사 (K-WPPSI). 서울: 도서출판 특수교육.
- 보건복지부. (2005). 국제결혼 이주여성 실태조사 및 보건.복지 지원 정책방안.
- 서정희. (2008). 집단미술치료가 다문화가정 자녀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배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선우현, 김하정. (2009). 다문화가정 유아를 위한 아동중심 집단놀이치료. 아동교육, 18(4), 143-155.
- 송선진. (2007). 국제결혼가정 자녀의 사회화과정이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안혜령, 이순형. (2009). 여성결혼이민자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의 학업성취 비교. 아동학회지, 30(1), 1-10.
- 여성가족부. (2007). 결혼이민자가족 실태조사 및 향후 추진 계획.
- 오성배. (2005). 코시안 아동의 성장과 환경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교육, 32(3), 61-83.
- 우현경, 정현심, 최나야, 이순형, 이강이. (2009).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한국어능력과 유아기 자녀의 언어발달. 아동학회지, 30(3), 23-36.
- 이승미. (2007). 점토를 통한 집단미술치료가 다문화가족 아동의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 이양희, 정병수, 박수린, 황새라, 김상원, 조수연. (2008). 다문화가정 아동의 탄력성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한국아동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133.
- 이차숙, 노명환. (2000). 유아언어 교육론. 서울: 동문사.
- 정옥분. (2008). 아동학 연구방법론. 서울: 학지사.
- 정은희. (2004). 농촌지역 국제결혼 가정 아동의 언어발달과 언어환경. 교육학연구, 37(1), 389-406.
- 정현영. (2006). 다문화가정 자녀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아시아 여성과 한국남성의 이중문화 가정자녀를 중심으로. 숭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조수진, 윤희원, 진대연. (2008). 다문화가정자녀를 위한 학습 한국어 교재 개발의 방향. 이중언어학, 37, 235-264.
- 조영달. (2006). 다문화가정 자녀교육 지원 대책. 교육인적자원부.
- 조용환. (2006). 질적 연구: 방법과 사례. 서울: 교육과학사.
- 채혜경. (2008). 결혼이민자가정 유아의 문해능력과 가정문해환경.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최나야, 이순형. (2007). 음운론적 인식과 처리능력이 4-6세 유아의 한글 단어 읽기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8(4), 73-95.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07). 다문화가정 자녀의 학교생활 실태와 교사.학생의 수용성에 관한 연구.
- 행정안전부. (2009). 다문화가정 관련 통계자료.
- Bogdan, R., & Biklen, S. (2006). Qualitative Research for Education: An Introduction to Theories and Method (5th ed.). Boston: Allyn & Bacon.
- Bretherton, I., & Munholland, K. A. (1999). Internal working models in attachment relationships: A construct revisited. In J. Cassidy & P. R. Shaver (Eds.), Handbook of Attachment Theory and Research, (pp. 89-111). New York: Guilford Press.
- Cunningham, A. E., & Stanovich, K. E. (1997). Early reading acquisition and its relation to reading experience and ability 10 years later. Developmental Psychology, 33(6), 934-945. https://doi.org/10.1037/0012-1649.33.6.934
- Hoff, E., & Naigles, L. (2002). How children use input acquiring a lexicon. Child Development, 73(2), 418-433. https://doi.org/10.1111/1467-8624.00415
- Ladd, G. W., & Mize, J. (1983). A cognitive-social learning model of social-skill training. Psychological Review, 90(2), 127-157. https://doi.org/10.1037/0033-295X.90.2.127
- National Adult Literacy Database (2009). Canada's Literacy and Essential Skills Network, Retrieved 2009. 7. 20, from http://www.nald.ca.
- NICHD Early Child Care Research Network. (2004). Multiple pathways to early academic achievement. Harvard Educational Review, 74(1), 1-29.
- Ramey, C. T., & Ramey, S. L. (2004). Early learning and school readiness: Can early intervention make a difference? Merrill-Palmer Quarterly, 50(4), 471-491. https://doi.org/10.1353/mpq.2004.0034
- Weizman, Z. O., & Snow, C. E. (2001). Lexical input as related to children's vocabulary acquisition: Effect of sophisticated exposure and support for meaning. Developmental Psychology, 37(2), 265-279. https://doi.org/10.1037/0012-1649.37.2.265
Cited by
-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Literacy Program for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vol.54, pp.1, 2016, https://doi.org/10.6115/fer.2016.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