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Inquiry into the Aesthetic Characteristics in the Process of Modernization of Korean and Japanese Women's Costumes

한, 일 여성 전통 복식의 현대화에 나타난 미적 특성 고찰

  • Lee, Jin-Min (Dept. of Clothing and Textiles, Seoul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10.04.05
  • Accepted : 2010.04.24
  • Published : 2010.05.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Korean and Japanese women's traditional costumes in Modernization that happened in Korea and Japan during the late 19th century and the 20th century. The meaning of modernity has indefinite and comprehensive aspects, and the essence of modernity is found in searching for new changes. Modernization is the process of realizing modernity, and costume modernization can be discussed from the viewpoint of seeking new changes, functionality and popularization of costume. As Korean and Japanese costumes went through modernization, western costume became daily clothes of both two countries. The modernization of Korean and Japanese women's traditional costumes were achieved in the two directions. First, Korean and Japanese women's traditional costumes changed to search for functionality modeled of western costume. Korean costume went through dress reform movement and were generally simplified. Japanese costume made a change of wearing mode and introduced new garment like 'Hakama'. Second, the new style of traditional costume appeared. In Korea, 'Saenghwal Hanbox' was shown in the late 20c and in Japan, The reproduced dress(更生服)' and The women's standard dress(婦人標準服)' were shown in the late 1930's and the early 1940's. These kinds of new garment style were the more active compromise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Keywords

References

  1. 김영희 (1998). 개화기의 양복도입과 수용과정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유수경 (1989). 한국 여성 양장의 변천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권혜영 (1982). 한국 여성 양복의 변천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황의숙 (1995). 한국여성 전통복식의 양식변화에 관한연구-개화기 이후의 복식을 중심으로-. 복식, 26, pp. 289-309.
  5. 이송희 (1984). 개화기 복식의 변천과 그 요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경희 (1994). 한국 개화기 여성복식의 변천 요인: 집단복식을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7. 박미애 (1994). 개화기 일본의복의 양장화에 관한 고찰. 세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은영자 (1981). 개화기 일본의 복식변천에 관한 고찰. 계명대 과학논집, 7(1), pp. 87-99.
  9. 황정윤 (2002). 일본 여성복식의 양장화에 관한 고찰. 경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차용희 (1974). 일본 근대복식과 우리복식. 전주교육대학 논문집. pp. 233-249.
  11. 남윤숙 (1992). 한일 여성복의 양장화에 관한 비교 연구. 복식, 19, pp. 41-51.
  12. 장양이 (1978). 개화기 우리나라와 일본의 복식변천 고찰.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이경미 (1999). 19세기 개항 이후 한, 일 복식제도 비교.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오세영 (1995). 근대성과 현대성. 예술문화연구, 5(1). pp. 212-213, p. 217.
  15. 임정택 (1994). 계몽으 현대성. 모더니티란 무엇인가. 서울: 민음사, pp. 51-52.
  16. 이상우 (1999). 동양미학론. 서울: 시공사, pp. 19-20.
  17. 김윤희 (1998). 현대 한국적 복식에 나타난 인체와 복식에 대한 미의식.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21.
  18. 김윤희 (1996). 복식의 근대성에 대한 연구. 복식 30, pp. 127-138.
  19. 유수경 (1990). 韓國女性洋裝變遷史, 서울: 일지사, pp. 127-138.
  20. Christopher Breward (1995). The Culture of Fashion, New York: Manchester Univ. Press, p. 182.
  21. Gilles Lipovetsky (1994). The Empire of Fashion. Catherine Porter(역), Princeton Univ. Press. p. 90.
  22. 小池三枝, 野口 ひろみ, 吉村佳子 (2000). 槪說日本服飾史. 東京: 光生館, p. 124.
  23. 井上雅人 (2001). 洋服と日本人. 東京: 廣濟堂出版, p. 57.
  24. 江馬 務 (1956). 日本服飾史要. 京都: 星野書店, p. 278.
  25. 유순례 (2001). 20세기 한국 여성복에 나타난 근대성, 탈근대성, 세계화에 관한 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43.
  26. 진미희 (1990). 한복 변천에 관한 연구-1950년대 이후 여자 한복을 중심으로-. 복식, 15 p. 159.
  27. 이인자, 이태옥 (1993). 한복 생활화를 위한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복식, 21, p. 177.
  28. 황의숙 (1995). 한국여성 전통복식의 양식변화에 관한연구-개화기 이후의 복식을 중심으로-. 복식, 26, pp. 289-306.
  29. Liza Dalby (2001). KIMONO.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p. 73.
  30. Liza Dalby (2001). KIMONO.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p. 101.
  31. Liza Dalby (2001). KIMONO.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p. 105.
  32. Liza Dalby (2001). KIMONO.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p. 129.
  33. 井上雅人 (2001). 洋服と日本人. 東京: 廣濟堂出版, p. 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