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가면극 복식의 색채 특성과 이미지

The Characteristics and Images of Costume Colors in Korean Masque Drama

  • 이미숙 (전남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의류학과.생활과학연구소) ;
  • 정경희 (전남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의류학과.생활과학연구소) ;
  • 사진강 (전남대학교 예술대학 미술학과)
  • Lee, Mi-Suk (Dept. of Clothing and Textiles, College of Human Ecolog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uman Ecology Research Institute) ;
  • Chung, Kyung-Hee (Dept. of Clothing and Textiles, College of Human Ecology,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uman Ecology Research Institute) ;
  • Sa, Jin-Kang (Dept. of Fine Arts, College of Art,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투고 : 2010.01.02
  • 심사 : 2010.04.12
  • 발행 : 2010.05.31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images of costume colors in Korean Masque Drama. For this study, 242 color samples were selected by extracting digital color data by using the Eyedropper Tool of Photoshop 7.0. The RGB color data were transformed to HV/C and the attributes of color and tone were analyzed. Color images were analyzed with the IRI color image scale. As a result, neutral, red, purple blue, and yellow were found to be the most frequently used colors in the Korean Masque costumes. In the ton analysis, white tone showed high frequency and next orders were dp, s, v, b, sf. In the hue & tone, the most frequent color was white, followed by R(v), PB(dp), R(dp), YR(s), GY(s) and mGY. Color images were focused on dynamic, gorgeous, and natural images.

키워드

과제정보

연구 과제 주관 기관 : 한국학술진흥재단

참고문헌

  1. 권영걸, 김영인 편저 (2003), 성공하는 기업의 컬러마케팅. 서울: 도서출판국제. p. 7.
  2. 윤지영, 하지수 (2006). 한국 전통자수의 색채와 배색에 관한 연구. 복식, 56(8), p. 96.
  3. 이지현, 김영인 (2006). 한국복식의 색체특성과 문화기호적 해석에 관한 연구. 복식, 56(2), p. 57.
  4. 남영애 (1992). 일본무용의 기초연구. 서울: 삼신각, p. 85.
  5. 양유미, 이미숙 (2009). 한국 가면극 복식의 미적특성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5(4), p. 324.
  6. 김영인, 강병희, 조희래 (1998). 한국적 복식 디자인의 개발을 위한 색동의 색채분석. 한국의류학회지, 22(3), pp. 384-395.
  7. 이지현, 김영인 (2006). 한국복식의 색체특성과 문화기호적 해석에 관한 연구. 복식, 56(2), p. 56-69.
  8. 윤지영, 하지수 (2006). 한국 전통 자수의 색채와 배색에 관한 연구. 복식, 56(8), pp. 95-112.
  9. 김영인, 권영걸, 이지현, 채정우, 이지현, 박재석 (2004). 한 . 중 . 일 색채의 기호학적 비교분석과 색채공간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색채학회지. 18(1), pp. 97-111.
  10. 김은경, 김영인 (2009). 조선시대 규방문화에 표현된 색채특성. 복식 59(3). pp. 109-130.
  11. 권광희 (1985). 하회별신굿 탈놀이의 복식.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이일지 (2004). 조선시대 산대놀이 복식의 변모과정과 의복상징에 관한 연구. 복식, 54(2), pp. 79-94.
  13. 이은주 (2007). 하회탈놀이 공연복식에 대한 시점 검토와 그에 따른 복식제안. 공연문화연구, 14, pp. 41-79.
  14. 양유미, 이미숙 (2009). 한국 가면극 복식의 미적특성 연구.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5(4), pp. 321-335.
  15. 이정식 (2003). 한 . 중 . 일의 전통연극에 사용되는 五色을 중심으로 한 색채문화연구. 한중인문학연구, 11, pp. 41-69.
  16. 채금석, 권형신 (2003). 흑 . 백에 대한 한국인의 미의식-조선시대 민속극을 중심으로. 한복문화학회, 6(2), pp. 111-121.
  17. 김지영, 김영인 (2006). 기층문화를 통한 한국복식의 색채 특성 연구. 복식, 56(5), pp. 29-43.
  18. 김지언 (2008). 한 . 일 전통극의 색채문화비교. 한국의류학회지, 32(10), pp. 1629-1639.
  19. 김지언 (2009). 한 . 중 전통극에서의 색채문화 비교-오방색을 중심으로, 한복문화. 12(2), pp. 5-16.
  20. 김지언 (2009). 한 . 중 전통극에서의 색채문화 비교-오방색을 중심으로, 한복문화. 12(2), pp. 14.
  21. 한옥근 (1996), 한국 고전극 연구. 서울: 국학자료원, pp. 223-224.
  22. 이광진 (2003). 한국 전통민속극의 관광축제화 방안 연구. 관광연구저널, 17(1). pp. 148-149.
  23. 최준식 (2000). 한국미, 그 자유분방함의 미학. 서울: 효형출판, pp. 152-153.
  24. 전경욱 (1998). 한국가면극, 그 역사와 원이. 서울: 열화당, p. 434.
  25. 한옥근 (2009). 한국 전통극의 미학적 탐구. 서울: 푸른사상, pp. 124-125.
  26. 한옥근 (2009). 한국 전통극의 미학적 탐구. 서울: 푸른사상, pp. 104-105.
  27. 양유미 (2009). 한.중.일 전통극의 복식 비교 연구.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 22.
  28. 전경욱 (1998). 한국가면극, 그 역사와 원이. 서울: 열화당, p. 393.
  29. 양유미 (2009). 한.중.일 전통극의 복식 비교 연구.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 20.
  30. 채금석, 권형신 (2003). 흑 . 백에 대한 한국인의 미의식-조선시대 민속극을 중심으로. 한복문화학회, 6(2), pp. 112.
  31. 정상복, 황갑연, 전병술, 안재호 (2001). 중국유가철학에 있어서의 이성과 욕망의 관계 연구. 서울: 시대와철학, p. 254.
  32. 유근향 (2003). 오간색의 전통색 체계에 관한 연구. 디자인과학연구, 6(3), p. 4.
  33. 강윤숙 (1993). 복식에 나타난 오행색 의미에 관한 연구. 복식, 20, p. 13.
  34. 김지언 (2009). 한 . 중 전통극에서의 색채문화 비교-오방색을 중심으로, 한복문화. 12(2), pp. 15.
  35. 강윤숙 (1993). 복식에 나타난 오행색 의미에 관한 연구. 복식, 20, p. 14.
  36. 강윤숙 (1993). 복식에 나타난 오행색 의미에 관한 연구. 복식, 20, p. 15.
  37. 양유미 (2009). 한.중.일 전통극의 복식 비교 연구.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 62.
  38. 자료검색일 2009.7.30-8.5, 자료출처 www.bongsantal.com, www.sandae.com, www.okwangdae.com, www.hahoemask.co.kr, www.google.com, www.naver.com
  39. 이지현, 김영인 (2006). 한국복식의 색체특성과 문화기호적 해석에 관한 연구. 복식, 56(2), p. 59.
  40. 김지영, 김영인 (2006). 기층문화를 통한 한국복식의 색채 특성 연구. 복식, 56(5), pp. 37.
  41. 김현숙 (1995). 무대의상 디자인의 세계. 서울: 고려원, pp. 29-30.
  42. 김은경, 김영인 (2009). 조선시대 규방문화에 표현된 색채특성. 복식 59(3). pp. 116.
  43. 이은주 (2007). 하회탈놀이 공연복식에 대한 시점 검토와 그에 따른 복식제안. 공연문화연구, 14, pp. 57.
  44. 김지영, 김영인 (2006). 기층문화를 통한 한국복식의 색채 특성 연구. 복식, 56(5), pp. 38.
  45. 이재립 (2002). 한국적 미의식의 정체성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1
  46. 채금석, 권형신 (2003). 흑 . 백에 대한 한국인의 미의식-조선시대 민속극을 중심으로. 한복문화학회, 6(2), pp. 118.에서 재인용
  47. 채금석, 권형신 (2003). 흑 . 백에 대한 한국인의 미의식-조선시대 민속극을 중심으로. 한복문화학회, 6(2), pp. 115-118.
  48. 이재윤 (2001). 한국 민속극의 복식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