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Knowledge of Housing in Home Economics Textbooks from 1908 to 1914

고등여학교 가사과목 교과용도서의 주거지식(1908-1914)

  • Received : 2010.02.16
  • Accepted : 2010.07.06
  • Published : 2010.07.31

Abstract

Three books of home economics were published in Korea 1907 and approved as textbooks for women's education by Korean government from 1908 to 1910 and by the Choseon Government-General from 1912 to 1914. The textbooks contained modern knowledge about housing which was focused on hygine matters and most systematic among the knowledge of that time. The original book of the three was Sinsen Gajunhak(新選家政學) by Shimoda Yutako published in Japan 1990 after her surveying western home economics knowledge. It means the modern housing knowledge educated in Korea around 1910 was affected by Western modern thinking in home economics field that gave the responsibility of housing cleanness for family members' health to housewives. So the knowledge even made the educated women to practice their learning only as wives, which was still traditional.

1907년 현공렴이 발행한 가정학 분야 책 "한문가정학(漢文家政學)", "신편가정학(新編家政學)", "신선가정학(新撰家政學)"은 1908년 한국정부에서 인가된 후 1912-1914년에 걸쳐 조선총독부에서 불인가될 때까지 고등여학교 가사과목 교과용도서로 사용되었다. 그 안에는 주택에 관한 근대적 지식이 포함되어 있었다. 이는 당시 다른 과목의 교과용도서나 신문·잡지·학회지 등에 등장하는 주거지식과 마찬가지로 위생에 초점을 맞추고 있지만, 구성은 좀 더 체계적이다. 이 세 책 모두 일본에서 발간된 하전가자(下田歌子)의 "신선가정학(新選家政學)"(1900)을 편역한 것으로, 당시 일본에서 가족건강을 위해 주거위생의 책임을 여성에게 부과하려 한 근대가정학 분야의 움직임이 반영되어 있다. 이 지식은 여성의 사회진출보다는 가정 내 주부의 역할에 고착하고 세세한 방법을 가르치는데 치중했다. 그들이 배운 주거지식은 주부로서 주거위생의 인식과 실천을 독려하기 위한 방법론이었다. 새로운 주거지식을 접한 여학생들이 그 지식을 심화하거나 실천할 여지도 거의 없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명숙, "일제시대 제1차 조선교육령 제정 과정 연구", 한국교육사학, 제29권 제1호, pp.1-24, 2007.
  2. 김명선, 한말(1876-1910) 근대적 주거의식의 형성,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p.96-155, 2004.
  3. 박선미, "여자유학생의 근대적 지식의 획득", 근대여성, 제국을 거쳐 조선으로 회유하다, 창비, pp.155-182, 2007
  4. 전미경, "1900-1910년대 가정교과서 연구",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제17권 제1호, pp.131-141, 2005.
  5. 船﨑惠美子, "學祖下田歌子 香雪叢書 他にみられる家庭敎育と女性の社會進出についての一考察", 實踐女子短大評論 第15號, pp.69-80, 1994.
  6. 成田龍一, "近代都市と民衆", 成田龍一 編, 都市と民衆, 吉川弘文館, pp.3-56, 1993.
  7. 衛藤君代.熊澤亞矢子.佐藤美奈子, "下田歌子の食物敎育について", 實踐女子大學生活科學部短紀 第32號, pp.21-27, 1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