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Game Robot based-on Network

네트워크 기반 게임 로봇의 설계 및 구현

  • Choi, Chan-Yung (Dept. of Computer Science & Engineering,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Im, Kyoung-Mi (Dept. of Computer Science & Engineering,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Cho, Seok-Bong (Division of Computer & Information Technology, Woosong College) ;
  • Lim, Jae-Hyun (Dept. of Computer Science & Engineering, Kongju National University)
  • 최찬영 (공주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 임경미 (공주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 조석봉 (우송정보대학 컴퓨터정보계열) ;
  • 임재현 (공주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Received : 2010.04.06
  • Accepted : 2010.07.06
  • Published : 2010.07.31

Abstract

This paper implements the algorithm for Janggi game robot based on network for the disabled people. The movement of target on janggi for them is designed using wireless robot and voice recognition. To remove obstacles, we implement the algorithm for moving object based on $A^{\ast}$ algorithm. We test the janggi game and certify effectiveness of moving object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algorithm for them.

본 논문은 지체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네트워크 기반의 장기 게임(Janggi Game) 로봇을 구현하였다. 이를 위해 장기 게임에서 말의 이동은 무선 로봇과 음성인식 기법을 이용하여 설계 및 구현하였으며, 말의 제거와 장애물 처리 등은 물체 이동 알고리즘인 $A^{\ast}$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하였다. 알고리즘의 구성 요소 및 구현 내용을 통해 지체장 애인의 원활한 장기 게임 진행을 실험하고 물체 이동 알고리즘의 효용성을 증명한다.

Keywords

References

  1. 전황수, 허필선, "국내의 자동차-IT 융합 추진동향", 전자통신동향분석, 제24권, 제2호, 2009.
  2. 지경용, 김유진, "IT-BT 융합분야에서 의료용 로봇시장의 동향 및 전망", 전자통신동향분석, 제23권, 제2호, 2008.
  3. 조영조, 오상록, "지능형 서비스 로봇과 URC(Ubiquitous Robotic Companion)", 한국통신학회지, 제21권, 10호, pp.13-21, 2004.
  4. C. W. Lee, Z. bien, G. Giralt, P. Corke and M. Kim, "Technical Challenge for Dependable Robots in Human Environments", Report on the First IART/IEEE-RAS Joint Workshop, 2001.
  5. ANSI, "American National Standard for Industrial Robots and Robot Systems-Safety Requirements. American National Standard Institute", New York, NY, RIA/ANSI R15.06, 1999.
  6. T. Fong, I. Nourbakhsh, K. Dautenhahn, "A survey of socially interactive robots" Robotics and Autonomous Systems, vol.42, pp.143-166, 2003. https://doi.org/10.1016/S0921-8890(02)00372-X
  7. 김현, 조영조, 오상록, "URC(Ubiquitous Robotic Companion) : 네트워크 기반 서비스 로봇", 한국정보과학회, 정보과학회지, 제24권, 제3호, pp.5-11, 2006.
  8. 이승익, 장철수, 정승욱, 김중배, "로봇 소프트웨어 아키텍처의 연구동향과 현황", 전자통신동향분석, 제20권, 제2호, 2005.
  9. YG Ha, JC Sohn, YJ Cho, H Yoon, "Towards a Ubiquitous Robotic Companion :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Ubiquitous Robotic Service Framework", ETRI journal, 2005. https://doi.org/10.4218/etrij.05.0105.0138
  10. 김영명, "네트워크(URC) 로봇 개요 및 기술개발 현황", KT 솔루션사업본부 로봇사업팀 보고서, 2007.
  11. Peter E. Hart, Nils J.Nilsson, Bertram Raphael, "A Formal Basis for the Heuristic Determination of Minimum Cost Paths in Graphs", IEEE Trans. on Systems Science and Cybernetics, Vol.SSC-4, No.2, pp.100-107, 1968.
  12. 이동원, 장영건, 박찬곤, 최훈일, 조철환, "보편적 설계 개념을 도입한 시각장애인 및 지체장애인용 음성 웹브라우저 개발", 정보통신연구진흥원, 2002.
  13. D. Spiliotopoulos, et al., "Human-robot interaction based on spoken natural language dialogue" Proc. of the European Workshops Service and Humanoid Robots, 2001.
  14. http://mindstorms.leg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