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xploratory Study on Developing Entrepreneurship Survey Index(ESI) in Korea

창업동향지수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 Lee, Dong-Ho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Department of Fisheries Business Administration) ;
  • Song, Yoon-Hee (Pusan National University, Division of Business Administration)
  • 이동호 (경상대학교 수산경영학과(해양산업연구소)) ;
  • 송윤희 (부산대학교 경영학부)
  • Received : 2010.04.26
  • Accepted : 2010.07.06
  • Published : 2010.07.31

Abstract

The entrepreneurship is a key success factor of industrial development in global competitive environments. but there is no entrepreneurship index/indicator which gives comprehensive advantages for monitoring and forecasting entrepreneur environments in Korea. The purpose of the study is developing Entrepreneurship Survey Index(ESI) which considering various significant entrepreneur factors. The suggested ESI in this exploratory study consists of entrepreneurship business index(EBI), entrepreneurship environment index(EEI) and entrepreneurship preparation index(EPI). The EBI is composed of overall business factors which revised from practical studies and expert reviews. The EEI is mainly retrieved Global Entrepreneurship Monitor(GEM) and partially modified by an expert advisor to identify entrepreneur environments. The EPI is developed for evaluating and confirming the capability, plan and intention of the pre-entrepreneurship. The practical survey of using the proposed ESI will enhance the power of forecasting the entrepreneurship environment changes and provide effective entrepreneurship policy making for stakeholder.

글로벌 경쟁환경에서 창업정신은 주요한 산업의 발전요인으로 작용한다. 그러나 창업환경에 대한 활동을 정기적으로 감독하여 창업동향을 전망할 수 있는 지표가 현재 우리나라에는 없다. 본 연구에서는 창업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변수들을 고려하여 이를 기반으로 창업활동의 수준과 환경에 대한 다양한 분석을 할 수 있는 창업동향지수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탐색적 연구를 통해서 제안하는 창업동향지수는 크게 창업경기지수와 창업환경지수, 그리고 창업 준비지수로 구성되어 있다. 창업경기지수는 창업초기기업과 예비창업자를 대상으로 체감 및 예측 창업 상황에 대해서 기존의 연구 및 전문가들과의 논의를 통해 연구된 항목들을 조사하도록 제안한다. 창업환경지수는 기존 창업기업 또는 법인과 예비 창업자를 대상으로 창업 환경에 대한 다양한 요인들로부터 그 인식 및 인지를 조사하도록 하며, 마지막으로 창업준비지수는 예비창업자를 대상으로 창업자 역량, 창업계획 및 의도 그리고 창업 준비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도록 구성할 것을 제안하였다. 연구에서 제안하는 지수를 활용한 실증조사 결과는 산업전반에 걸친 다양한 경제심리지표들과 함께 산업전반의 동향과 전망을 예측하는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한국은행, "경제심리지표의 이해와 최근동향," 한국은행 경제통계국 통계조사팀, 2005.
  2. 양준모, "경기실사지수(BSI)의 활용성 제고방안," 금융경제연구, 제115호, 2001.
  3. 재정경제부, "최근 기업경기실사지수(BSI) 동향," 재정경제부 보도자료, 2003.
  4. 중소기업창업지원법, 2009.
  5. 한국창업보육협회, "창업교육을 통한 기업가정신 함양 방안," 한국창업보육협회, 2008.
  6. GERA(Global Entrepreneurship Research Consortium), Global Entrepreneurship Monitor - 2008 Executive Report, 2009.
  7. 중소기업청, "글로벌기업가정신연구(GEM) 2008 연구 보고서," 2009.
  8. 한국창업보육협회, "창업이 국가 경제 성장 및 고용 창출에 미치는 효과 분석," 한국창업보육협회, 2008.
  9. World Bank Group, http://www.doingbusiness.org/economyrankings, 2009.
  10. World Economic Forum, http://www.weforum.org/en/initiatives/gcp/GlobalCompetitivenessReport/index.htm, 2009.
  11. 대한상공회의소, "2009년 2/4분기 기업경기전망 조사," 대한상공회의소, 2009.
  12. 산업연구원,"제조업 업종별 경기실사지수(BSI)," 산업연구원 동향분석실 정책자료, 2009.
  13. 산업은행,"2008년 2/4분기 KDB 산업경기 전망조사," 산업은행경제연구소, 2008.
  14. 소상공인진흥원,"'09년 1월 소상공인 경기동향," 소상공인진흥원, 2009.
  15. 전국경제인연합회,"2009년 기업경기실사지수," 전국경제인연합회, 2009.
  16. 한국신용보증기금 보증월보, "중소기업 경기전망조사(BSI) 결과," 한국신용보증기금, 2005.
  17. 한국벤처산업연구원, "2008년 4분기 벤처기업 동향 조사(BSI)," 한국벤처산업연구원,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