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istorical Study on Pearl Ornaments of the Yuan and Pearl Gowns of Princess Jegukdaejang in the Late Goryeo

원(元)의 진주(眞珠) 장식방법 및 고려(高麗) 후기 제국대장공주의 진주의(眞珠衣) 형태 고증 연구

  • Choi, Jeong (Dept. of Human Environmental Sciences, Wonkwang University)
  • 최정 (원광대학교 생활과학부, 원광대학교 생활자원개발연구소)
  • Received : 2010.03.18
  • Accepted : 2010.06.07
  • Published : 2010.07.31

Abstract

Pearl gowns(Jeanju-eui)' of Princess Jekukdaejang which were imported from Yuan to Goryeo in 13'th century, but correct shape and detail were unkown. Princess Jekukdaejang was a queen of Goryeo and a daughter of Kublai Khan of early Yuan period, and pearls were the most precious jewel in Mongolia of medieval time. It is possible that the shapes of Jeanju-eui were nomadic mogolian women's costume or very new style yet in early Yuan just like sleeveless long vest. In the period of Yuan, pearls were beaded on the stiff thin fabric for summer or ornaments of ladies. Big pearls were made use of point spot of pattern or line of pattern, and small pearls were usually used to fill up devided parts or to bind outline. The shapes of deducted pearl gown are five kinds of women's deel and four kinds of long vest, and deducted parts for pearl decoration are golden band from shoulder to wrist and on the knees of gown, cloud shape collar, patches on the breast and on the back, slant collar, and patterns of fabric. Red color(the favorite color of Yuan ladies), artifical pearls, ramie, and golden brocade with the gloss of satin are selected as stuffs for sample of pearl gown, but 'reproducting old fabrics' was the most important problem in making correct pearl gowns. Suggested is a cooperation with fabric makers to develop alternate fabircs with patterns just like Yuan's.

Keywords

References

  1. Badrakh. G. (2006). Article about Mongolian traditional ancient clothes: Article about Mongolian clothes dated back to Chinggis's time. In C.Жавхлан (Eds.), ЧЦНГЦС ХААНААС ДЭЭД УЗЦҴН ѲВѲГ ДЭЭДСЦҴН МОНГОЛ ХУВЦАС (pp. 35-61). улаа нoаатар: хэвлэн ний тлэх/хувьлах/олшруулахы г хуулиар хориглоно.
  2. 王業宏(2005). 蒙元女装的基本類形及穿著方法. In 趙豊, 尙剛(Eds.), 絲綢之路与元代藝術 (pp. 259-264). 香港: 藝紗堂/服飾出版.
  3. 최규순, 包銘新(2006). 元代 質孫服중 "毛子"에 관한 고찰. 복식, 56(2), pp. 125-133.
  4. 정인지 외(1451), 손영종 외 역 (1963). 북역 고려사 (제3책), 서울: 신서원, p. 265.
  5. 정인지 외(1451), 고전연구실 역 (2002). 신편 고려사 열전 11. 서울: 신서원, p. 141.)
  6. 정인지 외(1451), 손영종 외 역 (1963). 북역 고려사 (제3책), 서울: 신서원, p. 276.
  7. Ad-Din, Rashid (13C). Jami at-tavarikh, 김호동 역주 (2003). 라시드 앗 딘의 집사 2: 칭기스칸 기. 파주: 사계절출판사, p. 21.
  8. Ad-Din, Rashid (13C). Jami at-tavarkh, 김호동 역주 (2003). 라시드 앗 딘의 집사 2: 칭기스칸 기. 파주: 사계절출판사, p. 385
  9. Ad-Din, Rashid (13C). Jami at-tavarikh. 김호동 역주 (2005). 라시드 앗 딘의 집사 3: 칸의 후예들. 파주: 사계절출판사, p. 136.
  10. Ad-Din, Rashid (13C). Jami at-tavarikh. 김호동 역주 (2005). 라시드 앗 딘의 집사 3: 칸의 후예들. 파주: 사계절출판사, p. 439-450.
  11. 안정복(1778), 민족문화추진회 역 (1978). 동사강목 6, 서울: 민족문화문고간행회, p. 48, p. 165.
  12. 최해율 (2001). 몽골여자복식의 변천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68.
  13. 최규순, 包銘新 (2006). 元代質孫服중 "毛子"에 관한 고찰. 복식, 56(2), pp. 129-130.
  14. 심연옥 (2004). 至心歸命禮-불복장 직물 문양집. 수덕사 근역성보관, p. 14.
  15. 趙豊, 金琳主編(2005). 黃金絲綢靑花瓷, 香港:藝紗堂, p. 45.
  16. 심연옥 (2004). 至心歸命禮-불복장 직물 문양집. 수덕사 근역성보관, p. 22.
  17. 박원길, 김기선, 최형원 (2006). 몽골비사의 종합적 연구. 서울: 민속원, pp. 359-400 참조.
  18. Amgalan, Mishigdorjyn (2000). The cultural monuments of Western Mongolia. MONSUDAR, p.33, p. 122.
  19. 최해율 (2001). 몽골여자복식의 변천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재인용, pp. 68-69.
  20. 최해율 (2008). 유목민의 꽃-몽골여자복식의 흐름. 서울: 민속원, p. 98.
  21. 王業宏 (2005). 蒙元女装的基本类形及穿著方法. In 趙豊, 尙剛(Eds.), 絲綢之路与元代藝術(pp. 176-178). 香港: 藝紗堂/服飾出版.
  22. 耬淑琦(2005). 元代服飾工藝及修復的介紹. In 趙丰, 尙剛主編(Eds.). 絲綢之路与元代藝術(p. 262). 香港:藝紗堂/服飾出版.
  23. 최해율 (2001). 몽골여자복식의 변천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93-94 참조
  24. 常沙娜 主編(2004). 中國織繡服飾全集 4: 歷代服飾卷 下, 天津:天津人民美術出版社, p. 117.
  25. 최해율 (2001). 몽골여자복식의 변천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78.
  26. 최해율 (2007). 원대(元代) 상류층 귀부인의 의상유행 성향 및 화장법 연구. 비교민속학, 34, p. 279.
  27. 최해율 (2008). 유목민의 꽃-몽골여자복식의 흐름. 서울: 민속원, 재인용, p. 101.
  28. 中華 五千年网, 자료검색일 2009.10.31, 자료출처 http://www.zh5000.com/zhjd/gxjd/2006/sb/eswse/gxjd-2668.htm
  29. Battuta, Ibn (14C). Tuhfatu'd nuzzar fi gharaibi'l amsar wa 'ajaibi'l asfar(殊邦遍踏奇聞寶錄). 정수일 역주 (2001). 이븐 바투타 여행기 1. 서울: 창작과 비평사, pp. 478-481.
  30. Battuta, Ibn (14C). Tuhfatu'd nuzzar fi gharaibi'l amsar wa 'ajaibi'l asfar(殊邦遍踏奇聞寶錄). 정수일 역주 (2001). 이븐 바투타 여행기 1. 서울: 창작과 비평사, pp. 497.
  31. 최해율 (2001). 몽골여자복식의 변천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75.
  32. 常沙娜 主編(2004). 中國織繡服飾全集 2: 刺繡卷. 天津: 天津人民美術出版社, p. 73.
  33. Baiar, Dovdoin (1994). Уингсийн угсааны хаад язгууртнычулуун х р г., 박원길 역 (1994). 몽골석인상의 연구. 서울: 도서출판 혜안, p. 73.
  34. 朴通事 (1517). 飜譯朴通事. 장숙영 역 (2008). 번역 박통사 (상) 주석. 서울: 한국문화사, pp. 94-95
  35. Bloom, Jonathan & Blair, Sheila (1997). Islamic Arts. 강주헌 역 (2003). 이슬람 미술. 파주: 한길아트, p. 235.
  36. D'Ancona, Jacob (1273). The City of Light. David Selbourne 영역 (1997). 오성환, 이민아 역 (2000). 빛의 도시. 서울: 까치글방, p. 170, p. 314, p. 468.
  37. Battuta, Ibn (14C). Tuhfatu'd nuzzar fi gharaibi'l amsar wa 'ajaibi'l asfar(殊邦遍踏奇聞寶錄). 정수일 역주 (2001). 이븐 바투타 여행기 2. 서울: 창작과 비평사, p. 328.
  38. Ad-Din, Rashid (13C). 김호동 역주 (2005). 라시드 앗 딘의 집사 3: 칸의 후예들. 파주: 사계절출판사, p. 259.
  39. Badrakh, G. (2006). Article about Mongolian traditional ancient clothes: Article about Mongolian clothes dated back to Chinggis's time. In C.Жавхлан (Eds.), ЧЦНГЦС ХААНААС ДЭЭД УЗЦҴН ѲВѲГ ДЭЭДСЦҴН МОНГОЛ ХУВЦАС p. 48
  40. Bloom, Jonathan & Blair, Sheila (1997). 강주헌 역 (2003). 이슬람 미술. 파주: 한길아트, p. 230.
  41. Baiar, Dovdoin (1994). 박원길 역 (1994). 몽골석 인상의 연구. 서울: 도서출판 혜안, p. 79.
  42. 趙丰 編(1999). 織綉珍品-Treasures in silk, 香港: 藝紗堂, p. 273.
  43. 鈴木勤編(1970). モンゴル帝國: 世界歷史シリーズ 12, Japan: 世界文化社, p. 28.